•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7종)의 발생이 전년 동기간 대비 약 5배 증가

  *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세균성이질, 콜레라), 호흡기 감염병(홍역), 모기매개 감염병(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치쿤구니야열, 말라리아)


○ 질병청,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해 주의해야 할 감염병의 예방수칙과 주의사항 안내

  - 여행 전 : 질병청 누리집에서 방문국가 감염병 정보 확인

  - 여행 중 :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입국 시 : 검역관리지역 입국 시 Q-CODE 입력

  - 여행 후 : 의심 증상 발생 시 1339, 의료기관 방문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여름철을 맞아 해외여행을 계획한 국민들의 안전한 여행을 위하여, 해외여행 시 특별히 주의해야 할 감염병 7종을 선정하여 해당 감염병의 발생 현황, 특성 및 예방수칙을 안내했다.

  * 주의 대상 감염병(7종) :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2종(세균성이질, 콜레라), 호흡기 감염병 1종(홍역), 모기매개 감염병 4종(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말라리아) 


  올해 7월 15일까지 기준 해당 7종 감염병의 해외유입 발생은 총 145명으로 전년 동 기간발생건수(27명) 대비 약 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 세균성이질(0명→ 15명), 콜레라(0명→ 0명), 홍역(0명→ 4명), 뎅기열(14명→ 76명), 치쿤구니야열(3명→ 7명), 지카바이러스 감염증(0명→ 1명), 말라리아(10명→ 42명)


  이에 질병관리청은 해외를 여행하는 국민들이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여행 준비단계부터 여행단계, 귀국단계까지 해외여행 전 과정에 걸쳐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당부하였다.

  *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 자세한 사항은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www.kdca.go.kr)  또는 해외감염병NOW(http://해외감염병now.kr)에서 확인 가능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


  ➊해외여행 준비단계에서는 여행 국가에 발생한 감염병 정보를 확인하여 필요 시 예방접종 등 위험요인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➋여행 중 외출 후나 식사 전 손을 30초 이상 비누로 씻기,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끓이거나 익혀 먹기, 야생동물과의 접촉 자제 등이 감염병 예방을 위한 수칙을 준수할 것을 요청하였다. 


  ➌여행 후 입국 단계에서는 검역관리지역에서 들어올 경우 입국 전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을 통해 건강상태를 정확히 입력하고, 입국 중 이상증상이 느껴질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하여 사전에 대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❹검역대를 통과하여 의심 증상 발생 시에는 해외감염병신고센터 또는 1339에 알린다. 또한 증상이 계속될 경우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진료 시 해외여행 여부를 알릴 것을 당부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관리청 2023-07-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99 가열된 물이 새어나와 화상 위험 있는 Dretec 전기포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21.06.24
3698 가열조리용 굴…꼭 익혀서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14
3697 가을 나들이 철 위험신고는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19.09.30
3696 가을 나들이철 위험 신고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7.10.10
3695 가을 나들이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0.23
3694 가을 단풍 시작, 등산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0.04
3693 가을 등산, 안전수칙 준수로 안전산행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20.10.14
3692 가을 산행 및 벌초 시 벌 쏘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09.07
3691 가을 산행은 무리하지 말고 안전을 먼저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19.10.18
3690 가을 수확기 안전수칙 준수로 농기계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 2018.10.25
3689 가을 수확철,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0.26
3688 가을 신학기 대비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 합동점검 사전예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17.08.08
3687 가을 지역축제 안전수칙 반드시 지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4 2017.10.12
3686 가을, 등산과 낚시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10.18
3685 가을철 건강한 나들이를 위한 식중독 예방 요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18.08.30
3684 가을철 구별 어려운 독버섯, 먹을 경우 생명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7.09.25
3683 가을철 농작업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08.30
3682 가을철 농작업 중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1 2021.09.07
3681 가을철 땅벌 주의, 작은 틈새까지도 집요하게 공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8.10.01
3680 가을철 발열 질환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18.09.05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