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주요 해외유입 감염병(7종)의 발생이 전년 동기간 대비 약 5배 증가

  *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세균성이질, 콜레라), 호흡기 감염병(홍역), 모기매개 감염병(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치쿤구니야열, 말라리아)


○ 질병청,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해 주의해야 할 감염병의 예방수칙과 주의사항 안내

  - 여행 전 : 질병청 누리집에서 방문국가 감염병 정보 확인

  - 여행 중 :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입국 시 : 검역관리지역 입국 시 Q-CODE 입력

  - 여행 후 : 의심 증상 발생 시 1339, 의료기관 방문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여름철을 맞아 해외여행을 계획한 국민들의 안전한 여행을 위하여, 해외여행 시 특별히 주의해야 할 감염병 7종을 선정하여 해당 감염병의 발생 현황, 특성 및 예방수칙을 안내했다.

  * 주의 대상 감염병(7종) :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2종(세균성이질, 콜레라), 호흡기 감염병 1종(홍역), 모기매개 감염병 4종(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말라리아) 


  올해 7월 15일까지 기준 해당 7종 감염병의 해외유입 발생은 총 145명으로 전년 동 기간발생건수(27명) 대비 약 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 세균성이질(0명→ 15명), 콜레라(0명→ 0명), 홍역(0명→ 4명), 뎅기열(14명→ 76명), 치쿤구니야열(3명→ 7명), 지카바이러스 감염증(0명→ 1명), 말라리아(10명→ 42명)


  이에 질병관리청은 해외를 여행하는 국민들이 감염병에 걸리지 않도록 여행 준비단계부터 여행단계, 귀국단계까지 해외여행 전 과정에 걸쳐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도록 당부하였다.

  *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 자세한 사항은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www.kdca.go.kr)  또는 해외감염병NOW(http://해외감염병now.kr)에서 확인 가능



  [해외여행 감염병 예방수칙]


  ➊해외여행 준비단계에서는 여행 국가에 발생한 감염병 정보를 확인하여 필요 시 예방접종 등 위험요인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➋여행 중 외출 후나 식사 전 손을 30초 이상 비누로 씻기,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끓이거나 익혀 먹기, 야생동물과의 접촉 자제 등이 감염병 예방을 위한 수칙을 준수할 것을 요청하였다. 


  ➌여행 후 입국 단계에서는 검역관리지역에서 들어올 경우 입국 전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을 통해 건강상태를 정확히 입력하고, 입국 중 이상증상이 느껴질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하여 사전에 대처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❹검역대를 통과하여 의심 증상 발생 시에는 해외감염병신고센터 또는 1339에 알린다. 또한 증상이 계속될 경우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진료 시 해외여행 여부를 알릴 것을 당부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질병관리청 2023-07-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34 ‘로타바이러스 백신’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0 2018.01.19
3733 ‘무늬만 가상통화 관련주’ 투자 유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8.02.22
3732 ‘무늬만’ 신규사업, 불공정거래 집중조사 및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18
3731 ‘벤스가구’ A/S·배송 지연으로 인한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12.02
3730 ‘보물선 관련주’투자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18.07.18
3729 ‘빈대’ 민원, 전주 대비 2.8배 이상 급증…민원예보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11.15
3728 ‘손 씻기, 음식 익혀 먹기’로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 나기 준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07.05
3727 ‘쇼핑카트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1 2017.11.28
3726 ‘어린이 키성장’ 등 불법·부당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3.16
3725 ‘온라인에서 성행하는 유령 유사수신 업체’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4.01.25
3724 ‘유명 연예인‘을 내세우면서, ‘플랫폼, NFT 투자‘ 등을 통해 ‘고수익이 가능하다‘고 유혹하는 불법 자금모집 업체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3.02.09
3723 ‘전화·문자금융사기’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10.25
3722 ‘주식 리딩방’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0.06.23
3721 ‘킨더(Kinder)’ 초콜릿 해외직구 구매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8 2022.04.11
3720 ’23년 상반기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0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11.13
3719 “ 죽음에 이르는 질식사고,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3 2018.03.15
3718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8.04.03
3717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9.03.26
3716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6 2020.08.10
3715 “7대 안전무시 관행, 이것만은 꼭 바꿉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18.05.03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