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예년과 달리 여름철에도 인플루엔자(독감) 등 호흡기감염병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개인위생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전국의 의원급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기관(196개) 감시 결과, 올해 28주차(7.9∼7.15)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이 외래환자 1천명 당 16.9명으로, 최근 3주 연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붙임 1-1 참고). 

   * 25주(6.18.∼6.24.) 15.0명 → 26주(6.25.∼7.1.) 16.1명 → 27주(7.2.∼7.8.) 16.3명 → 28주(7.9.∼7.15.) 16.9명


  통상적으로 여름철에 접어들면 인플루엔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나, 올해는 봄철 유행의 증가세가 감소된 6월말 이후에도 유행이 꺾이지 않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로 인플루엔자 발생은 소아를 포함한 학생 연령층*에서 주로 발생하였는데, 초등 연령층인 7-12세(43.0명)에서 가장 높았고, 13-18세(25.2명), 1-6세(18.5명) 순으로 발생이 높았다(붙임 1-2 참고). 

  * 7-12세(43.0명) > 13-18세(25.2명) > 1-6세(18.5명) > 19-49세(14.8명) > 0세(9.3명) > 50-64세(7.7명) > 65세이상(4.8명)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기관을 통해 수집된 호흡기환자의 원인병원체 감시결과*에서는 28주차(7.9.∼7.15.)에 일반 감기의 원인이 되는 리노바이러스(18.6%)**, 아데노바이러스(15.9%)*** 검출이 높았으며, 코로나19(12.3%)가 다음으로 높았다(붙임1-3 참고). 

   * 28주 병원체 검출률: 리노바이러스 (18.6%) > 아데노바이러스 (15.9%) > 코로나19 (12.3%) >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11.1%) >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10.5%) > 인플루엔자 (6.3%) 순 

  ** 리노바이러스: 기침, 콧물, 코막힘 등 가벼운 감기증상을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발열 증상이 적은 편으로 연중 발생 

 *** 아데노 바이러스: 발열, 기침, 콧물 등 다양한 임상증상을 일으키며 연중 발생


  코로나19 병원체의 연령별 발생 비율은 19~49세(29.3%), 65세 이상(26.8%), 50~64세(17.1%) 순* 으로 높았다 (붙임 1-3, 1-4 참고). 

  * 코로나19 병원체 연령별 발생 비율(28주): 19-49세(29.3%), 65세 이상(26.8%), 50-64세(17.1%), 0-6세(12.2%), 7-12세(7.3%), 13-18세(7.3%) 순


  참고로 코로나19에 대한 전수감시결과에서도 표본감시기관을 통한 병원체 조사 결과와 연령대별 발생비율이 유사한 상황*을 보이면서, 28주에는 전주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이 증가하였다(붙임 2 참고). 

  * 코로나19 전수감시결과 확진자 연령별 발생 비율(28주): 19-49세(42.6%), 50-64세(19.1%), 65세 이상(18.5%), 13-18세(11.9%), 7-12세(5.4%), 0-6세(2.4%) 순


  인플루엔자는 6.3%로 상대적으로 낮은 발생 비율을 보였으나, 최근 5년 동기간 대비 발생은 이례적으로 높은 상황으로(붙임 1-1, 1-3 참고), 일반적으로 겨울철, 봄철 2번의 유행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던 것과 비교하면 이번 22~23절기(’22.9~’23.8월)는 봄철 이후 유행이 장기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여름철에도 유행이 지속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밀폐· 밀집한 장소나 인구이동으로 사람간 접촉이 늘어나는 하계 휴가지 등에서는 인플루엔자, 코로나 19 등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외출 전·후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기침 예절, 호흡기 증상 발생 시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수칙의 실천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다중이용시설, 대중교통 등 이용 시 일반 국민들에게는 마스크 자율 착용을 권장하되, 고위험군은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고드리며, 감염취약시설 중 입소형 시설(요양원, 요양시설 등) 및 병원급 의료기관의 실내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호흡기감염병으로 진단된 경우라면 본인과 가족, 이웃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수칙 ] 


 □ 일반 예방·관리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마스크 착용 등 기침예절 준수(특히,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 집단시설에서의 예방·관리수칙 

  - 업무종사자 손씻기 생활화

  - 업무종사자 마스크 착용 등 기침예절 준수

  - 업무종사자가 호흡기증상이 있는 경우 입소자 상대 업무 제한

  - 호흡기증상이 있는 입소자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제한 및 진료 받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방문객 출입 자제  



[ 질병관리청 2023-07-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09 상품권 매입 사이트 이용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0 2020.12.02
4108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초콜렛 케이크 과자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80 2017.03.06
4107 파트룰(PARTRULL) 안전문 전액 환불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7 2016.06.27
4106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제, 살균보존제 MIT/CMIT 불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6 2016.07.27
4105 과열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핸드그라인더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5 2016.11.30
4104 체결풀림으로 인한 낙상 우려 있는 Black Diamond 무상 교환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5 2016.06.13
4103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3 2016.05.10
4102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71 2016.04.21
4101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7 2016.12.01
4100 화상위험 있는 커피메이커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3 2017.04.27
4099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61 2016.04.26
4098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1.4~2016.11.10)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8 2016.11.14
4097 추락, 부상의 위험이 있는 로프등반장비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6 2017.04.07
4096 패류독소 조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5 2017.03.06
4095 화재 위험있는 잔디깎는 기계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4 2017.07.31
4094 상조관련 소비자피해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4 2016.05.18
4093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3 2017.04.19
4092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3 2016.06.29
4091 전자파 차단제품 차단효과 없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2 2016.12.09
4090 현대자동차㈜ LF쏘나타 2.0터보 차량, 내열성 부족으로 손상되는 인테이크 호스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9 2017.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