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예년과 달리 여름철에도 인플루엔자(독감) 등 호흡기감염병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개인위생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전국의 의원급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기관(196개) 감시 결과, 올해 28주차(7.9∼7.15)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발생이 외래환자 1천명 당 16.9명으로, 최근 3주 연속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붙임 1-1 참고). 

   * 25주(6.18.∼6.24.) 15.0명 → 26주(6.25.∼7.1.) 16.1명 → 27주(7.2.∼7.8.) 16.3명 → 28주(7.9.∼7.15.) 16.9명


  통상적으로 여름철에 접어들면 인플루엔자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나, 올해는 봄철 유행의 증가세가 감소된 6월말 이후에도 유행이 꺾이지 않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연령대별로 인플루엔자 발생은 소아를 포함한 학생 연령층*에서 주로 발생하였는데, 초등 연령층인 7-12세(43.0명)에서 가장 높았고, 13-18세(25.2명), 1-6세(18.5명) 순으로 발생이 높았다(붙임 1-2 참고). 

  * 7-12세(43.0명) > 13-18세(25.2명) > 1-6세(18.5명) > 19-49세(14.8명) > 0세(9.3명) > 50-64세(7.7명) > 65세이상(4.8명)


  인플루엔자 표본감시기관을 통해 수집된 호흡기환자의 원인병원체 감시결과*에서는 28주차(7.9.∼7.15.)에 일반 감기의 원인이 되는 리노바이러스(18.6%)**, 아데노바이러스(15.9%)*** 검출이 높았으며, 코로나19(12.3%)가 다음으로 높았다(붙임1-3 참고). 

   * 28주 병원체 검출률: 리노바이러스 (18.6%) > 아데노바이러스 (15.9%) > 코로나19 (12.3%) >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11.1%) >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10.5%) > 인플루엔자 (6.3%) 순 

  ** 리노바이러스: 기침, 콧물, 코막힘 등 가벼운 감기증상을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발열 증상이 적은 편으로 연중 발생 

 *** 아데노 바이러스: 발열, 기침, 콧물 등 다양한 임상증상을 일으키며 연중 발생


  코로나19 병원체의 연령별 발생 비율은 19~49세(29.3%), 65세 이상(26.8%), 50~64세(17.1%) 순* 으로 높았다 (붙임 1-3, 1-4 참고). 

  * 코로나19 병원체 연령별 발생 비율(28주): 19-49세(29.3%), 65세 이상(26.8%), 50-64세(17.1%), 0-6세(12.2%), 7-12세(7.3%), 13-18세(7.3%) 순


  참고로 코로나19에 대한 전수감시결과에서도 표본감시기관을 통한 병원체 조사 결과와 연령대별 발생비율이 유사한 상황*을 보이면서, 28주에는 전주대비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이 증가하였다(붙임 2 참고). 

  * 코로나19 전수감시결과 확진자 연령별 발생 비율(28주): 19-49세(42.6%), 50-64세(19.1%), 65세 이상(18.5%), 13-18세(11.9%), 7-12세(5.4%), 0-6세(2.4%) 순


  인플루엔자는 6.3%로 상대적으로 낮은 발생 비율을 보였으나, 최근 5년 동기간 대비 발생은 이례적으로 높은 상황으로(붙임 1-1, 1-3 참고), 일반적으로 겨울철, 봄철 2번의 유행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던 것과 비교하면 이번 22~23절기(’22.9~’23.8월)는 봄철 이후 유행이 장기화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여름철에도 유행이 지속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밀폐· 밀집한 장소나 인구이동으로 사람간 접촉이 늘어나는 하계 휴가지 등에서는 인플루엔자, 코로나 19 등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외출 전·후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기침 예절, 호흡기 증상 발생 시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수칙의 실천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다중이용시설, 대중교통 등 이용 시 일반 국민들에게는 마스크 자율 착용을 권장하되, 고위험군은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고드리며, 감염취약시설 중 입소형 시설(요양원, 요양시설 등) 및 병원급 의료기관의 실내에서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호흡기감염병으로 진단된 경우라면 본인과 가족, 이웃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호흡기감염병 예방·관리수칙 ] 


 □ 일반 예방·관리수칙 

  -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 마스크 착용 등 기침예절 준수(특히,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 집단시설에서의 예방·관리수칙 

  - 업무종사자 손씻기 생활화

  - 업무종사자 마스크 착용 등 기침예절 준수

  - 업무종사자가 호흡기증상이 있는 경우 입소자 상대 업무 제한

  - 호흡기증상이 있는 입소자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제한 및 진료 받기

  - 호흡기증상이 있는 방문객 출입 자제  



[ 질병관리청 2023-07-2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00 해파리에 쏘이면 즉시 물 밖으로 나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5 2017.07.24
3899 홍콩·대만, 여름임에도 인플루엔자 유행··· 현지 여행시 주의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2 2017.07.24
3898 물놀이 사고, 생존수영 교육으로 대비하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5 2017.07.24
3897 유리조각이 혼입된 ‘혼합음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17.07.24
3896 온열질환자 증가하는 8월, 예방수칙 더욱 준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07.24
3895 반려동물용 탈취제·물휴지에서 CMIT/MIT 등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9 2017.07.25
3894 기아자동차㈜ 쏘렌토UM 차량 도어래치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8 2017.07.27
3893 제품에서 이물 발생한 에이제이(주) '핸드워시'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8 2017.07.28
3892 제품에서 이취 발생한 ㈜팜스토리/홈앤쇼핑(주)‘브라질 넛’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6 2017.07.28
3891 핸들바 파손으로 낙상 위험 있는 자전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7 2017.07.31
3890 부품 파손으로 낙상 위험이 자전거 스템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8 2017.07.31
3889 화재 위험있는 잔디깎는 기계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4 2017.07.31
3888 추락위험 있는 Trango社의 등반장비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07.31
3887 부품 내구성 문제가 발생한 전기 믹서 2개 제품,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3 2017.08.01
3886 취미·레저용 드론, 안전기준 마련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7 2017.08.01
3885 제모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1 2017.08.03
3884 온열질환, 8월 첫 주와 둘째 주를 가장 조심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17.08.03
3883 휴대용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2 2017.08.03
3882 “제5호 태풍(노루) 피해, 이렇게 대비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7 2017.08.07
3881 필리핀 여행 시 콜레라 감염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3 2017.08.07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