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지역별 집중호우로 하천 범람과 침수 등 수해 발생에 따라, 위생환경이 취약해지고 모기 등 매개체가 증가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풍수해 감염병 유행을 대비해 청장 주재로 7월 17일 오전 「호우대비 긴급감염병 현황점검」 회의를 개최하여 감염병 대응상황을 점검하였다.


  풍수해 감염병에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 섭취로 인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A형간염, 장관감염증 등), 모기 증식이 쉬운 환경 조성으로 인한 모기매개 감염병(말라리아, 일본뇌염), 오염된 물 등에 직접 노출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파상풍, 렙토스피라증, 안과 질환 등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풍수해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고, 손씻기 등 위생수칙을 철저하게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침수지역에서 수해복구 등의 작업 시에는, 방수장갑(고무장갑) 등으로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작업 종료 후에는 반드시 깨끗이 씻을 것을 당부했다. 더불어 지자체에는 모기 등 매개체 급증을 방지하기 위한 철저한 방제를 요청했다.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하수관의 범람 등으로 오염된 물을 통한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A형 간염, 장관감염증(살모넬라균 감염증 등)과 같은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 조리 전· 후와 식사 전에는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도록 하고, 안전한 물(포장된 생수나 끓인 물)과 익힌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한다.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경우 식재료 세척 등 조리과정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며, 물이 닿거나 일정시간(약 4시간) 이상 냉장이 유지되지 않은 음식은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식품의 올바른 보관이 어려워짐에 따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조리수칙 및 개인위생수칙을 반드시 준수하여야 한다.


 ○ 모기매개 감염병


  수해지역에서는 물 웅덩이등에서 모기가 증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모기매개 감염병(말라리아 및 일본뇌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되는 물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을 제거하고, 야간에 야외활동을 자제하며, 가정 내 모기장 사용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접촉성 피부염, 렙토스피라증, 안과질환


  수해로 오염된 지역에서는 렙토스피라증*, 유행성 눈병(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이나 피부병도 주의하여야 한다.

   *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 설치류의 배설물 및 이에 오염된 물이나 흙, 음식 등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특히 주로 집중호우나 홍수 이후 오염된 물에 접촉할 경우 상처 부위를 통해 감염됨


   피부가 오염된 물에 노출되면 렙토스피라증이나 피부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침수지역에서 수해복구 등 작업 시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방수처리가 된 작업복과 장화 등을 착용하고, 피부에 상처 또는 찰과상이 있는 경우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수해복구 작업 중에는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하며, 작업 후 노출된 피부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내야 한다.


  또한, 풍수해로 인한 이재민 임시 거주시설 또는 대피시설에 거주하는 경우, 밀집 환경으로 인한 호흡기 감염병 집단발생 예방을 위하여 손 씻기, 정기적인 환기 등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현재 질병관리청은 지자체와 함께 하절기 비상방역체계(5.1~9.30)를 구축하여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대비 24시간 상시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호우로 인해 피해를 입으신 지역과 국민들께 위로의 말씀을 전하고, 안전한 물·음식물 섭취와 개인위생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집단발생 시 전파를 막기 위하여 설사 등 증상이 있는 경우 보건소로 신속히 신고해달라”고 당부하였다.


  또한 권역별 질병대응센터가 참여한 현황점검회의에서 이번 피해로 전국적 감염병 집단발생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감염병 역학조사 등 시·군·구 보건소를 지원하는데 최선을 다할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임시시설에서 생활 중인 이재민들의 감염병 예방과 관리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하면서 지자체와 협력하여 해당 이재민 시설 등에 마스크, 소독제, 체온계 등의 방역물품이 신속하게 지원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임을 밝혔다.


   <수해 발생시 감염병 예방수칙>


○ 손 자주 씻기(특히 외출 후, 식사 전, 배변 후, 30초 이상 올바른 손씻기)
○ 끓인 물이나 안전하게 포장된 물을 마시기
○ 음식물 용기가 오염이 의심되는 경우 세척 혹은 폐기하기
○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며, 조리한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도록 하고, 설사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조리에 참여하지 않기
○ 집주변 물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 제거, 야간 외출자제, 가정 내 모기장 사용, 외출 시 밝은색 긴 옷 착용 및 기피제 사용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 침수지역에서는 작업 시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방수복, 장화, 방수장갑 활용) 노출된 경우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내기
○ 눈이 불편할 경우 손으로 만지지 말고 안과 전문의 진료받기
○ 발열, 설사가 있는 경우에는 진료 받고, 집단발생이 의심되는 경우 보건소에 신고하기




[ 질병관리청 2023-07-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16 Zoggs 수경세척제, 안구 통증 유발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6 2018.09.07
3915 살모넬라균 오염돼 감염 위험 있는 Pub Original 스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22.06.14
3914 Graco 휴대용 아기침대(Travel Lite Crib), 표시사항 위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5 2017.10.31
3913 라벨 미표기(아몬드) 성분 함유한 Montezuma's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4 2022.06.14
391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10.28~2016.11.3)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3 2016.11.07
3911 카드뮴 과다 함유해 건강 위험있는 Clearine 장신구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22.06.13
3910 휴가철 등 야외활동 시 야생진드기 매개 감염병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18.07.09
3909 피셔프라이스 전동바운서, 과열로 인한 화재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18.02.07
3908 Safety-1st, 쉽게 파손되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2 2017.06.02
3907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Roasted Garlic 구운 마늘가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1 2021.01.29
3906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등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1 2017.05.25
3905 2016년 7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1 2017.01.04
3904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0 2017.01.26
3903 의류제품 소비자분쟁, 절반 이상이 사업자 책임으로 나타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9 2017.03.31
3902 Dazzling White 치아미백제, 고농도 과산화수소 함유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8 2019.03.12
3901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8 2017.01.12
390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9.9.∼2016.9.2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8 2016.09.26
3899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6.10~2016.6.1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8 2016.06.20
3898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단계 검역.검사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97 2017.03.21
3897 Atomik 운동 보조제, 우울증 및 호흡 곤란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6 2019.03.12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