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5조 16억원으로 ‘14년(4조 6,048억원) 대비 8.6% 증가하였으며, ’11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도 10.4%로 고속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 생산실적(억원): 33,664(’11)→ 38,773(’12)→ 42,241(’13)→ 46,048(’14)→50,016(’15)
○ 또한 의료기기 수출은 27.1억달러로 전년 대비 5.2% 증가한 반면, 의료기기 수입은 29.4억달러로 전년 대비 0.9% 감소하여 무역적자가 `14년 대비 41% 크게 줄었다.
※ 무역수지 적자 : 3.9억(`14)→ 2.3억(`15)
○ 이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수출이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 중국 수출(억달러): 1.06(’11)→ 1.75(’12)→ 2.31(’13)→2.54(’14)→3.31(’15)

□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국내 의료기기 생산 지속적으로 증가 ▲인구고령화 및 성형시술에 따른 관련 의료기기 생산 증가 ▲수출 증가 및 수입 감소로 무역적자 대폭 줄어 등이었다.

< 국내 의료기기 생산 지속적으로 증가 >
○ 지난해 국내 제조업 성장률은 1.3%이었으나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14년(4조 6,048억원) 대비 8.6% 증가한 5조 16억원으로 나타났다.
※ 2015년 국내 제조업 성장률 1.3%【‘15년 국민계정 잠정치, 한국은행】
○ 또한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5조 2,656억원으로 전년(5조 199억원)에 비해 4.9% 증가하였다.
※ 시장규모(억원): 43,064('11)→ 45,923('12)→ 46,315('13)→50,199('14)→52,656('15)
* 시장규모: 생산+수입-수출(시장규모 산출은 원가 기준)
○ 품목별로는 급속한 인구의 고령화로 치과용임플란트(6,480억원)의 생산이 가장 많았으며 초음파영상진단장치(4,417억원), 의료용영상처리용장치·소프트웨어(1,664억원)가 뒤를 이었다.
○ 제조업체로는 오스템임플란트(4,849억원), 삼성메디슨(주)(2,547억원), 한국지이초음파(유)(1,232억원) 순이었으며, 상위 15개사가 전체 생산의 32.9%(1조 6,433억원)를 차지하였다.

< 인구고령화 및 성형시술에 따른 관련 의료기기 생산 증가 >
○ 의료기기 상위 15위 품목 중 전년대비 생산이 가장 크게 증가한 품목은 필러(조직수복용생체재료)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이다.
○ 특히, 필러(조직수복용생체재료)는 1,092억원으로 ‘14년(595억원) 대비 83.5% 증가하였다.
- 이는 미용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얼굴 주름 부위의 개선을 위한 성형용 필러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중국 성형시장의 증가로 중국 수출이 급증하였다.
※ 필러제품 중국 수출금액(‘14년, 8.9백만달러 → ’15년, 49.5백만달러)(456.2% 증가)
※ 중국 성형시장 규모 : 500만명, 133.8억 달러,(’15년), 연평균 29% 성장률, 2020년 시장규모는 408억 달러로 세계최대 성형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KOTRA 중국 우한 무역관)
○ 또한 고령화에 따른 영향으로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가 883억원으로 전년(636억원) 대비 38.7% 증가하였으며, 치과용임플란트 6,480억원, 치과용귀금속합금 1,162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각 8.3%, 11.5% 늘어났다.

< 수출 증가 및 수입 감소로 무역적자 대폭 줄어 >
○ 지난해 의료기기 수출은 27.1억달러로 전년도 25.8억달러 보다 5.2% 증가하였고, 의료기기 수입은 29.4억달러로 전년도 29.7억 달러에 비하여 0.9% 감소하여 ’15년 무역적자는 2.3억달러로 전년(3.9억달러) 대비 41.% 크게 줄었다.
○ 국내 의료기기가 가장 많이 수출된 국가는 미국(4.8억달러), 중국(3.3억달러), 독일(2.3억달러), 일본(1.9억달러) 순이었다.
- 특히, 전년 대비 수출 증가율은 사우디아라비아(43.%)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중국(30.3%), 미국(18.2%), 베트남(14.2%), 독일(14.3%), 태국(14.6%) 순으로, 선진국과 신흥국에 고루 수출이 늘었다.
○ 수출 상위업체는 한국지이초음파(유)가 2.4억달러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삼성메디슨(주)(1.9억달러), (주)에스디(1.2억달러)가 그 뒤를 이었다.
- 의료기기 수출 상위 품목들은 초음파영상진단장치(5억달러), 치과용임플란트(1.5억달러), 디지털엑스선촬영장치(1.2억달러) 순이었다.
○ 수입 상위업체는 한국존슨앤존슨메디칼(주)(1.4억달러), 한국로슈진단(1.2억달러), 지멘스헬스케어(주)(1.1억달러) 순이다.
- 수입 상위 품목은 소프트콘텍트렌즈(1.3억달러), 스텐트(1.2억달러), 인공신장기용여과기(0.7억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 식약처는 최근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증가하는 것은 국내 의료기기의 안전과 품질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제도의 합리화 및 국제조화 등을 통해 국제 경쟁력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5-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6 크림 과자, 고춧가루의 자가품질 검사항목 조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88
2635 `15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 1.8조원, 지난해 대비 1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85
2634 크림 과자, 고춧가루의 자가품질 검사항목 조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107
2633 `15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 1.8조원, 지난해 대비 1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125
2632 전국 도매시장 마늘 원산지 위반 대거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114
2631 사우디아라비아 여행 시 메르스 주의 당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97
2630 대형마트3사, 옥시제품 전매장에서 철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91
2629 유사수신, 보이스피싱 등 불법 금융사기, 무엇이든 신고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2 147
2628 현장의 목소리 수용, 금융생활이 더욱 편리해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1 85
2627 변액보험 관련 불합리한 관행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1 105
2626 바닷가 주변 횟집 비브리오균 특별검사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0 103
2625 「경추간판장애」, 50대에서 진료인원수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0 256
2624 자동차관리법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0 90
2623 ’16년 7월~’16년 9월 전국 77,800세대 아파트 입주 예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0 98
2622 중고차 구입, 고지내용과 실제와 다르다는 불만 많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7 98
Board Pagination Prev 1 ...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