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3년 모기의 하루 평균 수, 전년 동기간 대비 약 2배 증가(25주차 기준)

- 전체 모기 중 말라리아 매개모기 비율, 전년 동기간 대비 1.2~2배 증가

- 말라리아 위험지역 거주 및 여행자는 예방수칙 준수로 감염 주의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3년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사업」을 통해 말라리아 위험지역(인천, 경기북부, 강원)에서 말라리아 매개모기 증가가 확인되어, 해당 지역에서의 말라리아 감염 주의를 당부하였다.


  위험지역 내 50개 채집지점에서 매개모기 밀도를 감시한 결과, 하루 평균 모기지수*가 25주차에 7.1마리로 최근 5년간의 동기간 평균(1.5마리) 대비 약 5배, 전년(3.5마리)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26주차는 9.2마리로 각 약 2.5배, 1.3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모기지수(Trap Index, TI) = 하룻밤에 한 대의 유문등에서 채집된 모기의 평균수


  또한, 채집된 전체모기 중에서 말라리아 매개모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25주차에는 54%로 전년(25.8%) 대비 2배 증가, 26주차에는 61.7%로 전년(49.9%) 대비 1.2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매개모기가 증가하는 만큼 말라리아 전파 가능성이 높아져*, 질병청은 지자체와 함께 위험지역 내 물웅덩이와 같은 유충 서식지 제거 및 환자 발생지역 주변의 성충 방제 강화 등 매개모기 발생 억제를 위한 조치를 추진 중에 있으며,

  * ’23년 26주차까지 말라리아 발생자 수는 302명, 전년 동기간(112명) 대비 169.6% 증가


  질병청은 관계 부처* 등과 함께 협력하여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매주 채집된 모기를 모기지수로 환산하여 발생량을 확인하고 있다. 취합된 감시 자료는 매주 목요일, ‘병원체 및 매개체 감시 주간정보’로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에 공개한다.

  * 국방부 육군본부, 인천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 북부지원,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 및 해당 지역 보건소 등 

 ** 질병관리청 감염병누리집/발간자료/실험실소식지 : http://npt.kdca.go.kr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말라리아 위험지역의 지자체는 말라리아 매개모기 방제를 강화하고, 해당 지역 주민과 위험지역 방문자는 개인 예방수칙 실천과 의심 증상 발생 시 신속히 가까운 보건소 등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진단 받을 것”을 강조하였다.


< 말라리아 예방수칙 >

 - 국내에서는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4월부터 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 ~일출 직전)에는 야외 활동을 가능한 자제

 - 야간 외출 시에는 긴 소매, 긴 바지를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 기피제를 뿌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개인 예방법 실천

 - 옥내의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의 정비 및 모기장 사용을 권고하고, 실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할 것

 -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 군 복무 후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을 것

 - 말라리아 경보발령지역 거주자는 관내 보건소에서 무료로 신속진단키트 검사  및 예방약을 복용할 것 


< 말라리아 의심증상 >

 - 말라리아의 주요 증상은 오한, 고열, 발한 등이 48시간 주기로 반복됨

 - 초기에는 권태감 및 발열증상이 수일간 지속되며, 두통이나 구토, 설사 등을 동반할 수 있음.




[ 질병관리청 2023-07-1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53 부품결함 있는 다이빙 부력조절용 쟈켓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12.06
3452 피부 부작용 위험 있어 리콜된 여성용 니플 테이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12.13
3451 라벨 미표기 땅콩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Holland & Barrett 대두 레시틴(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12.15
3450 오유어데이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2.12.26
3449 슈즈오페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1.13
3448 내장제 박테리아 오염이 확인된 Lamaze 치아발육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1.12
3447 대리점거래 분쟁 및 피해 예방을 위한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6.23
3446 썸데이룩 -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6.27
3445 이식형 심장박동기 수술 후, 생활 속 주의사항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6.28
3444 화재 및 감전 위험있는 Tyzygmy 리튬 배터리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7.13
3443 롯데온 및 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8.08
3442 코로나19 여름철 확산세 둔화 중이나 방역수칙 준수 지속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8.16
3441 여름철 영유아의 눈곱을 동반한 감기 증상,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려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3.08.22
3440 겨울철 야외활동을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1.17
3439 어그(UGG) 부츠 판매하는 사기의심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1.22
3438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파라다이스 펀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2.16
3437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서던 피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2.16
3436 일부 제품에 재봉 바늘 혼입된 유아용 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2.20
3435 과도한 농도의 붕소 함유로 화학적 위험성 있는 슬라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3.13
3434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Gamesa 시리얼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3.18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