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 의뢰된 의심검체에서 피부리슈만편모충 감염 확인

- 해외유입기생충감염증(제4급감염병)에 해당하는 리슈만편모충증, ’21년도 이후 2년 만에 해외유입을 통한 환자 발생  

- 위험지역* 여행 시 매개체인 모래파리(sand fly) 물림 주의 당부

  * 아프가니스탄, 알제리, 브라질, 콜롬비아, 이란, 이라크, 파키스탄, 페루, 시리아 등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리슈만편모충증 의심환자의 검체에서 리슈만편모충 감염을 확인하였고, ’21년 이후 2년 만에 환자가 발생했다고 밝히며,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 중앙 아시아 등 주요 위험지역 여행 시 매개체인 모래파리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번에 확인된 환자는, 멕시코와 갈라파고스제도 등 중남미 지역을 여행하고 귀국한 후 증상이 발현되어 입원한 사례로, 피부리슈만편모충증으로 진단되었다. 질병관리청은 ’23년 6월 상급종합병원(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의 검사의뢰를 받아 의심환자의 피부병변 조직검체에서 리슈만편모충 특이 유전자*를 검출하였고, 유전자 서열분석을 통해 Leishmania mexicana**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양성 판정 결과를 전달하였다. 

  * 리슈만편모충 유전자검사의 표적유전자 (internal transcribed spacer1, ITS1)

 ** Leishmania mexicana :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 등에서 피부 리슈만편모충증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


  리슈만편모충증은「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4급 법정감염병인 해외유입기생충증에 해당한다. 모래파리(Sand fly)가 흡혈할 때 리슈만편모충(Leishmania spp.)이 사람에게 감염되는 매개체감염병으로  감염 부위에 따라 피부, 피부점막, 내장리슈만편모충증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 최초로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약 29건의 해외유입사례가 확인되었다.


  아메리카 지역의 내장리슈만편모충증의 치명률이 7%인 것에 비해 피부리슈만편모충증은 치명적이진 않지만,  감염될 경우 팔다리, 안면 등 피부 노출부에 구진, 수포, 결절 및 궤양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 부위에 광범위한 반흔조직의 발생 등 장기간 피부이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되지 않도록 유의가 필요한 질병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리슈만편모충증의 매개체인 모래파리가 국내에 서식하고 있지 않아 국내발생 가능성은 없다”고 밝히며, “해외여행이 증가하면서, 리슈만편모충증을 비롯한 다양한 해외유입감염병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여행객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리슈만편모충증의 경우, 모래파리 활동시간대인 야간의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긴 옷을 입어 노출을 최소화하고, 노출되는 피부에는 기피제를 바르는 것 등 



[ 질병관리청 2023-07-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509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팩트체크 8가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0.02.05
1508 전기히터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7 2020.02.05
1507 2월 초 갑작스런 한파 시작, 한랭질환 발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20.02.05
1506 베이비 모니터 설치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20.02.04
1505 어르신들, 겨울철 넘어져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20.02.04
1504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자 관련 보이스피싱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2 2020.02.03
1503 스키장 어린이 사고! 예방법 꼭 기억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0.01.31
1502 생활 속 안전위험요인 신고는 「안전신문고」로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30
1501 중국 우한시에 여행경보 2단계(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2 2020.01.23
1500 설 명절, 감염병 예방수칙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0.01.23
1499 한랭질환자 지속 발생, 설 연휴 취약계층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0 2020.01.22
1498 잘못된 의약품 정보에 절대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7 2020.01.21
1497 검역단계에서 해외유입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 확인 감염병 위기경보를 ‘주의’단계로 상향,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0.01.20
1496 홍콩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2 2020.01.17
1495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20.01.16
1494 감염병 예방수칙 지켜 건강한 설 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0.01.16
1493 사기사이트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20.01.15
1492 2019년 중 주요 손해보험사기 피해사례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20.01.14
1491 설 연휴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0.01.14
1490 설 명절 전 후 사이버범죄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20.01.14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