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 의뢰된 의심검체에서 피부리슈만편모충 감염 확인

- 해외유입기생충감염증(제4급감염병)에 해당하는 리슈만편모충증, ’21년도 이후 2년 만에 해외유입을 통한 환자 발생  

- 위험지역* 여행 시 매개체인 모래파리(sand fly) 물림 주의 당부

  * 아프가니스탄, 알제리, 브라질, 콜롬비아, 이란, 이라크, 파키스탄, 페루, 시리아 등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리슈만편모충증 의심환자의 검체에서 리슈만편모충 감염을 확인하였고, ’21년 이후 2년 만에 환자가 발생했다고 밝히며,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 중앙 아시아 등 주요 위험지역 여행 시 매개체인 모래파리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번에 확인된 환자는, 멕시코와 갈라파고스제도 등 중남미 지역을 여행하고 귀국한 후 증상이 발현되어 입원한 사례로, 피부리슈만편모충증으로 진단되었다. 질병관리청은 ’23년 6월 상급종합병원(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의 검사의뢰를 받아 의심환자의 피부병변 조직검체에서 리슈만편모충 특이 유전자*를 검출하였고, 유전자 서열분석을 통해 Leishmania mexicana**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고, 양성 판정 결과를 전달하였다. 

  * 리슈만편모충 유전자검사의 표적유전자 (internal transcribed spacer1, ITS1)

 ** Leishmania mexicana :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 등에서 피부 리슈만편모충증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


  리슈만편모충증은「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4급 법정감염병인 해외유입기생충증에 해당한다. 모래파리(Sand fly)가 흡혈할 때 리슈만편모충(Leishmania spp.)이 사람에게 감염되는 매개체감염병으로  감염 부위에 따라 피부, 피부점막, 내장리슈만편모충증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 최초로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약 29건의 해외유입사례가 확인되었다.


  아메리카 지역의 내장리슈만편모충증의 치명률이 7%인 것에 비해 피부리슈만편모충증은 치명적이진 않지만,  감염될 경우 팔다리, 안면 등 피부 노출부에 구진, 수포, 결절 및 궤양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 부위에 광범위한 반흔조직의 발생 등 장기간 피부이상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되지 않도록 유의가 필요한 질병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리슈만편모충증의 매개체인 모래파리가 국내에 서식하고 있지 않아 국내발생 가능성은 없다”고 밝히며, “해외여행이 증가하면서, 리슈만편모충증을 비롯한 다양한 해외유입감염병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여행객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리슈만편모충증의 경우, 모래파리 활동시간대인 야간의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긴 옷을 입어 노출을 최소화하고, 노출되는 피부에는 기피제를 바르는 것 등 



[ 질병관리청 2023-07-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11 Delta 유모차(Cross-Country All-Terrain Jogging Stroller), 낙상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2 2017.12.06
3710 GL LED랜턴(SOLAR ZOOM CAMPING LAMP), 감전 및 화재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7.12.06
3709 Sudali Toys 병원놀이 완구(Doctor Toy Set), 유해물질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6 2017.12.06
3708 Selecta Spielzeug AG 영유아용 모빌(Limbo Mini Mobile),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7.12.06
3707 Le Toy Van 완구(Petilou Tunnel Puzzle-Momma Bear), 질식 위험으로 교환·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12.06
3706 AIRWAIR INTERNATIONAL 신발 2종, 유해물질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7.12.06
3705 Caro White 미백 로션(Lightning Beauty Lotion), 피부염 유발 물질 검출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12.06
3704 송년회 모임에서 비상구 위치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17.12.07
3703 식용곤충식품 위해사고 경험 10명 중 1명꼴로 나타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8 2017.12.08
3702 가짜 금융회사 앱(App)을 설치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1 2017.12.11
3701 올 한해 국민 안전신고 21만 건, 지난해보다 40%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17.12.11
3700 가족을 납치했다는 사기 전화에 침착하게 대응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17.12.12
3699 겨울엔 빙판길 낙상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7.12.13
3698 나노 식품 및 화장품, 안전 관리·감독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7.12.13
3697 내가 사는 지역 안전지수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7.12.13
3696 생리대·기저귀, 안전관리 및 품질개선에 민관 공동 노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7.12.13
3695 추운겨울, 손발에 감각이 없고 덜덜덜 떨린다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17.12.14
3694 인터넷 판매 식품 허위.대광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4 2017.12.14
3693 스키 탈 때 안전수칙 꼭 지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9 2017.12.14
3692 일부 패션팔찌에서 납과 카드뮴 다량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7.12.14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