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익수(물에 빠짐) 사고는 여름철에 주로 발생(43.2%), 특히 7~8월에 집중

- 주로 바다, 강 등 야외(53.5%)에서, 오후 시간대(12-18시)에 발생(50.4%)

- 익수사고의 28.9%는 9세 이하 어린이에서 발생, 70세 이상 익수사고 발생자의 36.2%는 사망

- 익수사고로 응급실 내원 환자 4명 중 1명(’21년 기준 26.4%)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 안전수칙 준수 등 익수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 당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다가오는 방학 및 휴가철을 맞아 여름철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익수(물에 빠짐) 사고에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올해 여름철은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으로 야외활동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5년간(2016-2020년)의 익수사고 발생현황을 분석하여 익수사고 발생 위험요인과 취약대상 등을 확인하였다.


  2016-2020년 동안 익수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붙임 1 참고).

  * 자해·자살 등 의도적 익수를 제외한 비의도적 익수사고 현황을 추출하여 분석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06년 5개 병원 참여로 시작하여, ’23년 현재 23개 병원에서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대상으로 손상 발생 원인 및 유형 등을 조사


  익수사고로 23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총 811명으로, 남자는 574명(70.8%), 여자는 237명(29.2%)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2.4배 정도 많았다.


  연령별로는 9세 이하 어린이에서 발생 분율이 가장 높았으며(28.9%), 70세 이상 고령층에서도 다수 발생(18.7%)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익수사고로 148명(18.2%)이 사망하였으며, 70세 이상 고령층의 36.2%는 익수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놀이 관련 활동이 많아지는 여름(43.2%)에 주로 발생하였으며, 특히 휴가철이 절정에 이르는 7월(16.8%)과 8월(18.7%)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평일보다는 주말(토요일 20.2%, 일요일 17.8%)에 발생 빈도가 높았으며, 사고의 절반가량은 덥고 활동량이 많은 오후 시간대(12-18시)에 발생(50.4%)하였다.


  익수사고의 대부분은 여가활동(47.3%) 및 일상생활(29.1%) 중에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익수사고 발생장소는 주로 바다, 강 등 야외(53.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락시설 등 다중이용시설(목욕탕·워터파크 등, 23.2%), 수영장 등 운동시설(10.7%)에서도 다수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는 손상*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발생 원인(손상기전, 손상유발물질 등) 및 손상 발생 특성(손상 발생장소·시간, 손상시 활동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주요 결과는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

  * 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 위험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


  현재「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는 2021년 조사결과까지 공개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에는 2022년 발생한 손상통계의 주요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손상정보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자료 열람 및 내려받기 경로: 국가손상정보포털(https://www.kdca.go.kr/injury) > 자료실 > 통계집 >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


  질병관리청은 익수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어린이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물놀이 안전수칙을 국가손상정보포털(https://www.kdca.go.kr/injury) 및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www.kdca.go.kr)을 통해 안내하고 있다(붙임 3 참고).



< 어린이를 위한 물놀이 안전수칙 >


 ○ 물놀이를 할 때 항상 어른과 같이 물에 들어가기

 ○ 물놀이를 할 때 반드시 구명조끼 착용하기

 ○ 물놀이 전 충분한 준비운동 하기

 ○ 물에 들어가기 전, 심장에서 먼 곳부터 물 적시기

 ○ 식사를 한 후 바로 물에 들어가지 않기

 ○ 물놀이를 하면서 사탕이나 껌 등 씹지 않기

 ○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 하기

 ○ 파도가 높거나, 물이 세게 흐르거나, 깊은 곳에서는 수영하지 않기

 ○ 계곡, 강가, 바닷가에서는 잠금 장치가 있는 샌들 신기

 ○ 수영장 근처에서 뛰어다니지 않기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매년 익수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전체 손상환자의 0.1%에 불과하나 그 중 25% 이상(’21년 기준 26.4%)이 사망할 정도로 사망 위험이 높은 손상이기 때문에 안전수칙 등을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특히 익수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어려운 어린이와 노인 등을 중심으로 익수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관리에 유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등을 통해 익수를 포함한 화상, 중독, 추락·낙상, 운수사고 등 여러 손상 관련 통계를 지속 생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전수칙 등을 개발·배포함으로써 손상예방관리를 통한 건강한 국민, 안전한 사회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3-07-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71 아플라톡신 검출된 SUKRO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5.15
3570 식품에 사용이 금지된 원료가 함유된 수입 건강기능식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5.12
3569 교차오염으로 알러지 유발할 수 있는 Sheila G’s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5.12
3568 기준치를 초과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Flora Natura 식품보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3.05.12
3567 배터리팩 과열로 화재ㆍ화상 위험있는 Higdon Outdoors 물새 사냥용 미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5.12
3566 충돌 시 사용자 보호가 미흡해 머리부상 위험 있는 JBM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5.12
3565 경고 알람이 울리지 않는 GLBSUNION CUZMAK 일산화탄소 경보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3.05.12
3564 배터리팩 과열로 화재 위험 있는 Bissell 무선 습식 청소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5.12
3563 기준치 초과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LaGrande Epicerie de paris 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5.12
3562 이소프로필 에스테르가 함유되어 있는 속눈썹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5.12
3561 대장균이 검출된 Fami 두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5.12
3560 금지성분인 히드로퀴논이 포함된 Dream Cosmetics 미백 화장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5.12
3559 허용치를 초과하는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Kaytee 새사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5.12
3558 크로노박터 사카자키균이 함유되어 있는 Gerber goodstart 영유아 분유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5.12
3557 잠금장치 고장으로 내부 자석을 삼킬 위험있는 YETI 아이스쿨러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5.12
3556 사용자 부상 위험이 있는 Tendon 등산용 로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05.12
3555 녹이 발생할 수 있는 스프링이 혼입된 GEX 반려동물용 물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05.12
3554 박테리아 오염 및 에틸렌옥사이드 함유 가능성 있는 런드레스(The Laundress) 세탁세제·섬유유연제 등 리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9 2023.05.12
3553 ‘(주)티움커뮤니케이션’관련 쇼핑몰 이용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5.10
3552 캠핑가기 좋은 5월 화재 안전에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7 2023.05.09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