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익수(물에 빠짐) 사고는 여름철에 주로 발생(43.2%), 특히 7~8월에 집중

- 주로 바다, 강 등 야외(53.5%)에서, 오후 시간대(12-18시)에 발생(50.4%)

- 익수사고의 28.9%는 9세 이하 어린이에서 발생, 70세 이상 익수사고 발생자의 36.2%는 사망

- 익수사고로 응급실 내원 환자 4명 중 1명(’21년 기준 26.4%)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조사, 안전수칙 준수 등 익수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 당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다가오는 방학 및 휴가철을 맞아 여름철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익수(물에 빠짐) 사고에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올해 여름철은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으로 야외활동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5년간(2016-2020년)의 익수사고 발생현황을 분석하여 익수사고 발생 위험요인과 취약대상 등을 확인하였다.


  2016-2020년 동안 익수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붙임 1 참고).

  * 자해·자살 등 의도적 익수를 제외한 비의도적 익수사고 현황을 추출하여 분석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06년 5개 병원 참여로 시작하여, ’23년 현재 23개 병원에서 응급실 내원 손상환자 대상으로 손상 발생 원인 및 유형 등을 조사


  익수사고로 23개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총 811명으로, 남자는 574명(70.8%), 여자는 237명(29.2%)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약 2.4배 정도 많았다.


  연령별로는 9세 이하 어린이에서 발생 분율이 가장 높았으며(28.9%), 70세 이상 고령층에서도 다수 발생(18.7%)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익수사고로 148명(18.2%)이 사망하였으며, 70세 이상 고령층의 36.2%는 익수사고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놀이 관련 활동이 많아지는 여름(43.2%)에 주로 발생하였으며, 특히 휴가철이 절정에 이르는 7월(16.8%)과 8월(18.7%)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평일보다는 주말(토요일 20.2%, 일요일 17.8%)에 발생 빈도가 높았으며, 사고의 절반가량은 덥고 활동량이 많은 오후 시간대(12-18시)에 발생(50.4%)하였다.


  익수사고의 대부분은 여가활동(47.3%) 및 일상생활(29.1%) 중에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익수사고 발생장소는 주로 바다, 강 등 야외(53.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락시설 등 다중이용시설(목욕탕·워터파크 등, 23.2%), 수영장 등 운동시설(10.7%)에서도 다수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는 손상*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손상 발생 원인(손상기전, 손상유발물질 등) 및 손상 발생 특성(손상 발생장소·시간, 손상시 활동 등)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주요 결과는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를 통해 공개하고 있다.

  * 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 위험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


  현재「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는 2021년 조사결과까지 공개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에는 2022년 발생한 손상통계의 주요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손상정보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자료 열람 및 내려받기 경로: 국가손상정보포털(https://www.kdca.go.kr/injury) > 자료실 > 통계집 > 손상 유형 및 원인 통계


  질병관리청은 익수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어린이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물놀이 안전수칙을 국가손상정보포털(https://www.kdca.go.kr/injury) 및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s://www.kdca.go.kr)을 통해 안내하고 있다(붙임 3 참고).



< 어린이를 위한 물놀이 안전수칙 >


 ○ 물놀이를 할 때 항상 어른과 같이 물에 들어가기

 ○ 물놀이를 할 때 반드시 구명조끼 착용하기

 ○ 물놀이 전 충분한 준비운동 하기

 ○ 물에 들어가기 전, 심장에서 먼 곳부터 물 적시기

 ○ 식사를 한 후 바로 물에 들어가지 않기

 ○ 물놀이를 하면서 사탕이나 껌 등 씹지 않기

 ○ 정해진 곳에서만 물놀이 하기

 ○ 파도가 높거나, 물이 세게 흐르거나, 깊은 곳에서는 수영하지 않기

 ○ 계곡, 강가, 바닷가에서는 잠금 장치가 있는 샌들 신기

 ○ 수영장 근처에서 뛰어다니지 않기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매년 익수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전체 손상환자의 0.1%에 불과하나 그 중 25% 이상(’21년 기준 26.4%)이 사망할 정도로 사망 위험이 높은 손상이기 때문에 안전수칙 등을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특히 익수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어려운 어린이와 노인 등을 중심으로 익수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관리에 유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 등을 통해 익수를 포함한 화상, 중독, 추락·낙상, 운수사고 등 여러 손상 관련 통계를 지속 생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전수칙 등을 개발·배포함으로써 손상예방관리를 통한 건강한 국민, 안전한 사회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3-07-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96 괴로운 소변「신경인성 방광」, 지속적인 예방과 함께 꾸준한 수분섭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17.12.14
3695 ‘가상통화 관련주’ 투자시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0 2017.12.14
3694 겨울철 안전산행…안전장비와 방한복 준비는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7.12.15
3693 인플루엔자 발생 증가, 아동 및 청소년 예방수칙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17.12.15
3692 자궁경부암 예방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 중1(2004년생) 여학생은 올해 내 ‘꼭’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17.12.18
3691 겨울철, 심근경색·뇌졸중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7.12.19
3690 시중 유통 한식된장·청국장, 곰팡이 독소 안전기준에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7.12.19
3689 겨울철 면역력 주의보,‘대상포진 백신’안전하게 접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7.12.20
3688 젊은 여성(1인), 보이스피싱으로 8억원 피해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7 2017.12.21
3687 금감원, 나이롱환자 등의 허위입원을 조장하는 한방병원 무더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17.12.21
3686 고령자 안전사고, 일상생활에서 예방이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7.12.21
3685 지속되는 한파, 저체온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7.12.21
3684 피젯스피너, 어린이 안전사고 주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9 2017.12.22
3683 겨울철 야영장…화재나 가스중독 사고 주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4 2017.12.22
3682 dmBio 렌틸콩 스튜 통조림(Linseneintopf)에 플라스틱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17.12.26
3681 Shore Lunch 생선 튀김가루(Breading/Batter Mix)에서 살모넬라균 검출돼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17.12.26
3680 Toothette Oral Care 구강 스프레이(Advance Oral Moisturizer Spray) 일부 생산분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4 2017.12.26
3679 조영제 부작용 예방책 마련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7.12.27
3678 생리대.팬티라이너 74종 VOCs 인체 위해 우려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7.12.28
3677 벌꿀 제품, 품질관리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17.12.28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