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하절기에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져 병원성 미생물이 활발히 증식하기 때문에, 병원균에 오염된 물과 음식을 섭취할 경우 설사나 복통, 구토 등 위장관증상을 일으키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에 걸리기 쉬워지므로 예방수칙 준수를 통한 감염 예방이 필요하다고 당부하였다.

  * 제4급감염병 중 장관감염증(살모넬라균감염증, 캄필로박터균감염증 등),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비브리오패혈증 등 


  최근 5년간(’19~’23년)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발생 현황을 보면 살모넬라균 감염증,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등 장관감염증은 하절기, 특히 7~8월에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데, 올해는 전년 동기간에(1~6월) 비해 살모넬라균 감염증은 약 40%,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약 20% 이상 발생이 증가하여 더욱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붙임1 참고)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물과 음식을 통해 감염되는 특성상 집단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재(’23.6.24. 기준)까지 총 305건(4,638명)이 신고되었는데, 이는 전년 동기간 대비 건수(’22년 172건)로는 1.8배, 유증상자 수(’22년 3,034명)로는 약 1.5배 증가한 수치이다.

  * 시간, 장소 등 연관성이 있는 2명 이상이 동일한 음식물(물 포함)을 섭취하여 설사, 복통, 구토 등 장관감염증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올해는 전년에 비해 감염병별 환자수 뿐만 아니라 집단발생 건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방학과 하계 휴가 등이 예정되어 있는 7~8월에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질병관리청과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하절기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에 신속 대응하기 위하여 ‘하절기 비상방역체계’를 지난 5월 1일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오는 9월 30일까지 환자 발생 및 집단환자 발생상황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대응할 예정이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음식은 충분히 익히거나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먹는 등 안전하게 조리하여 섭취해야 한다.


  아울러, 조리도구를 식품별(생선, 육류, 채소 등)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 위생수칙도 준수해야 한다.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1)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2)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3) 물은 끓여 마시기

  (4)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 먹기

  (5)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 조리하지 않기

  (6)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7) 칼, 도마 조리 후 소독하고 생선‧고기‧채소 도마 분리 사용하기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올해 하절기는 예년에 비해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환자 발생 신고도 작년보다 높은 추세이므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에 보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하며, “안전한 음식물 섭취와 손 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과 집단설사(2인 이상) 환자가 발생하면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3-07-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13 주행 중 돌발서행 발생하는 기아㈜ K8 하이브리드 차량 무상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4.01.05
4012 땜납부에 납 과다 함유된 RAYPAL 자전거 라이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4.01.05
4011 단락 발생 위험 있는 Nuby 야간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4.01.05
4010 아동이 질식할 위험이 있는 Goki 기차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4.01.05
4009 앞바퀴 스포크에 뒤틀려 낙상 위험 있는 Vaude 자전거 가방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4.01.05
4008 케이블 플라스틱에 SCCPs 등을 함유한 디지털 달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5
4007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 과다 함유한 Flynova Pro 플라잉 스피너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1.05
4006 영유아 질식할 위험 있는 셀프 수유쿠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4.01.05
4005 적합성 평가 미흡으로 익사 위험 있는 Swimbubs 유아용 수영조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4.01.05
4004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4.01.05
4003 제조결함 및 누출 등으로 인해 변질 우려가 있는 Wang 떡볶이 떡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4.01.04
4002 시력 손상 위험 있는 VSSHE 반려동물용 레이저포인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4.01.04
4001 과체온으로 인한 사망 가능성 있는 Milkiwai 영유아용 침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4.01.04
4000 안전인증 받지 않은 Tupa 등산용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4
3999 배터리 열 보호 장치 미비한 Kuzupro 무선드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4.01.04
3998 감전 및 화재 위험 있는 Kemei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4.01.04
3997 과도한 납 함유한 Yuming 네일 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4.01.04
3996 알러지 유발 성분인 우유, 아황산염이 미표기된 Ola-Ola 마가루 파우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4.01.04
3995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Jay robb 단백질 파우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4.01.04
3994 땜납부에 납이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는 Flawlbss 얼굴용 제모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4.01.04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