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장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하절기에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져 병원성 미생물이 활발히 증식하기 때문에, 병원균에 오염된 물과 음식을 섭취할 경우 설사나 복통, 구토 등 위장관증상을 일으키는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에 걸리기 쉬워지므로 예방수칙 준수를 통한 감염 예방이 필요하다고 당부하였다.

  * 제4급감염병 중 장관감염증(살모넬라균감염증, 캄필로박터균감염증 등),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비브리오패혈증 등 


  최근 5년간(’19~’23년)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발생 현황을 보면 살모넬라균 감염증,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등 장관감염증은 하절기, 특히 7~8월에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데, 올해는 전년 동기간에(1~6월) 비해 살모넬라균 감염증은 약 40%,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약 20% 이상 발생이 증가하여 더욱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붙임1 참고)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물과 음식을 통해 감염되는 특성상 집단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재(’23.6.24. 기준)까지 총 305건(4,638명)이 신고되었는데, 이는 전년 동기간 대비 건수(’22년 172건)로는 1.8배, 유증상자 수(’22년 3,034명)로는 약 1.5배 증가한 수치이다.

  * 시간, 장소 등 연관성이 있는 2명 이상이 동일한 음식물(물 포함)을 섭취하여 설사, 복통, 구토 등 장관감염증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올해는 전년에 비해 감염병별 환자수 뿐만 아니라 집단발생 건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방학과 하계 휴가 등이 예정되어 있는 7~8월에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질병관리청과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하절기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에 신속 대응하기 위하여 ‘하절기 비상방역체계’를 지난 5월 1일부터 운영 중에 있으며, 오는 9월 30일까지 환자 발생 및 집단환자 발생상황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대응할 예정이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고, 음식은 충분히 익히거나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어 먹는 등 안전하게 조리하여 섭취해야 한다.


  아울러, 조리도구를 식품별(생선, 육류, 채소 등)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등 조리 위생수칙도 준수해야 한다.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1)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2)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3) 물은 끓여 마시기

  (4)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 먹기

  (5)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 조리하지 않기

  (6)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7) 칼, 도마 조리 후 소독하고 생선‧고기‧채소 도마 분리 사용하기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올해 하절기는 예년에 비해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환자 발생 신고도 작년보다 높은 추세이므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에 보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하며, “안전한 음식물 섭취와 손 씻기 등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과 집단설사(2인 이상) 환자가 발생하면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3-07-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696 오픈박스 아레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5 2023.06.27
1695 달걀 만진 손은 깨끗하게! 여름철 불청객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2 2023.06.28
1694 이식형 심장박동기 수술 후, 생활 속 주의사항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4 2023.06.28
1693 온․오프라인 캠핑용 식기 및 조리기구 중금속 검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7 2023.06.29
1692 메트로마켓 / METRO MARKET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7 2023.06.30
1691 싸구요 / ssa9yo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8 2023.06.30
1690 롯데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4 2023.06.30
1689 여름 휴가철, 렌터카 이용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7 2023.06.30
1688 엠폭스 예방 접종 및 행동주의로 엠폭스 위험을 줄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1 2023.07.03
1687 센트베리-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1 2023.07.04
1686 오픈리퍼 / LIPPERK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2 2023.07.05
1685 신세계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7 2023.07.05
» ‘손 씻기, 음식 익혀 먹기’로 안전하고 건강한 여름 나기 준비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8 2023.07.05
1683 여름철 잦은 호우, 빗길 교통사고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5 2023.07.05
1682 대출까지 받게 하는 전화금융사기, 회복 불가능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예방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6 2023.07.06
1681 여름철 야외 물놀이 시, 물에 빠짐 사고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9 2023.07.06
1680 리슈만편모충증 2년 만에 해외유입 감염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2 2023.07.07
1679 복날 삼계탕 조리할 때…캠필로박터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7 2023.07.10
1678 여름철 대비, 고위험군 예방접종 적극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9 2023.07.10
1677 롯데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2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 266 Next
/ 26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