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빅데이터를 이용한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 중간결과 발표 

- 코로나19 확진된 1천2백만여 명을 4개월 간 추적관찰, 27개 주요 질환의 발생위험을 접종여부, 횟수별로 비교

- 2회 이상 접종자는 미접종자 대비 심장, 혈전, 신장, 호흡기 등 질환의 발생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

- 심층연구를 위한 코로나19 확진이력 있는 국민 참여 및 관심 지속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직무대리 장희창)은 코로나19 감염 이후에도 지속되는 증상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를 추진 중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한 만성 코로나19증후군(코로나19 후유증) 중간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연구책임자 한림대의대 이재갑 교수)는 임상코호트 기반의 장기간 관찰연구, 코로나19 빅데이터 활용연구,  발생기전 규명 등 다각적인 조사연구를 통해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치료를 위한 진료지침과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하여 수행하는 사업이다.


  본 사업 중 질병관리청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코로나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공동연구책임자 가천대 의대 정재훈 교수)의 중간결과에 따르면, 


  국내 오미크론 유행시기에 확진된 1,200만여 명*을 대상으로, 확진 이후 4개월간 추적 관찰하여 27개 주요 질환(심혈관계, 혈전 관련, 신경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내분기계 등) 발생 위험을 코로나19 백신 접종여부에 따라 비교한 결과, 

  * (확진시기) ’22.1.15 ~ ’22.4.15 (3개월 간) 


  2회 이상 백신접종자는 미접종자 대비 코로나19 감염 이후 심혈관질환(허혈성심질환, 심부전, 부정맥, 심정지), 혈전 관련 질환(폐색전증, 정맥혈전증), 신장질환(급성신부전, 혈액투석), 호흡기 질환(만성폐쇄성폐질환, 간질성폐질환), 간경화, 당뇨병 등의 질환 발생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심정지 발생은 2회 이상 예방접종군에서 54%(95% 신뢰구간 45% ~ 63%), 간질성폐질환 발생은 62%(95% 신뢰구간 47% ~ 73%) 낮았다(붙임 1 참고).


  또한, 3회 백신 접종자는 2회 접종자와 비교했을 때, 심장질환(심부전 15%, 부정맥 16%, 심정지 27%), 신장질환(혈액투석 27%) 등의 질환 발생위험이 추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붙임 1 참고).

  빅데이터 기반으로 한 코로나19 관련 표준질병코드(U09.9)를 통해 코로나19 확진자가 높은 시기인 ’20년 10월부터 ’22년 10월까지(2년 1개월 간)의 국내 발생양상을 분석한 결과, 만성 코로나19증후군*으로 진단된 사례는 총 9만 4천여명으로, 확진자의 0.4%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질병분류 코드 U09.9: 상세불명의 코로나-19 이후 병태, ‘20.10월 신설


  위 시기에는 표준질병코드(U09)*에 의한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진단 빈도도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다른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U09 코드로 진단된 사례에서도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더 진단 빈도가 높았다(붙임 1 참고). 

  질병청은 향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19 급성기에 복용한 치료제가 만성 코로나19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 만성 코로나19증후군으로 간주 될 수 있는 질환군을 추적관찰하여 코로나19 이후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군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그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아울러,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사업에서는 소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코호트를 구축하여 장기관찰 임상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하여 코로나19 확진이력이 있고, 지속되는 증상(만성기침, 호흡곤란, 불안/우울, 피로, 기억력 저하 등)이 있는 국민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며,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 사무국을 통해 참여방법* 등을 안내하고 있다(붙임 2 및 붙임3 참고). 

  * 코로나 확진이력이 없어도 비교연구를 위해 참여가능


  국립감염병연구소 장희창 소장은 “국내 확진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조사연구는 진료지침 제시 및 관리대책 방안 마련을 위해 중요하며, 조사연구가 충실히 진행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리며, 추가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라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2023-07-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65 최근 개인정보 관련 민원 동향 및 소비자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8 71
9964 올 여름 휴가는 농촌체험휴양마을로 오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6 71
9963 등록 상조업체 총 243개, 지난해보다 10개 사 감소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71
9962 식약처, 여름철 축산물 특별점검 및 수거검사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5 71
9961 메르스 추가환자 6명 발생, 총 25명(사망 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2 71
9960 카드뮴 기준초과 검출 수입‘건 고사리’회수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01 71
9959 볼보, 포드, 한국지엠, 할리데이비슨 리콜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9 71
9958 제모기 제대로 알고 사용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7 71
9957 아파트 관리문제, 정부가 발벗고 나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1 71
9956 가짜 백수오 관련 홈쇼핑 업체의 소극적 환불조치로 소비자 상담 급증... 환불 및 피해보상 요구 거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1 71
9955 다문화 가족이 함께 읽는 다언어 의약품 안전사용 책자‘알고 싶은 약 이야기’발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0 71
9954 7월부터 의료급여 진료비용 알림서비스 개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5 71
9953 국민이 직접 만드는 정책, 국민생활 현장속으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3 71
9952 금융감독원의 이동수과장을 주의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1 71
9951 신학기 학교 내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3 71
Board Pagination Prev 1 ...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