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질병관리청, 7월부터 11월까지 공항·항만 13개 검역(지)소에서 동남아 여행객 대상 무료 뎅기열 신속진단검사 제공

  * (공항) 인천, 김해, 청주, 무안, 대구 / (항만) 부산, 평택, 군산, 목포, 여수, 포항, 울산, 마산


- 최근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지역에 뎅기열 환자가 급증함에 따라, 국내 유입 환자도 전년 동기간 대비 5.5배 증가(2022년 10명 → 2023년 55명, 6.24일 기준) 


- ➊해외여행 전 뎅기열 예방수칙 숙지,

  ➋여행 후 발열 등 뎅기열이 의심되면 검역소에서 무료 신속진단검사 받을 것을 권고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우리나라 국민이 여행지로 선호하는 동남아시아에서 뎅기열 발생이 유행 중에 있고, 여름 휴가 등 해외여행으로 국내유입 위험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검역단계에서 뎅기열 선제검사로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뎅기열은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환으로 발열, 심한 두통, 근육통, 관절통, 발진 등 비특이적 증상을 보이며, 전체환자 중 약 5%는 중증 뎅기 감염증(뎅기출혈열 또는 뎅기쇼크증후군)으로 진행될 수 있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할 경우 약 20%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또한 전세계 뎅기열 발생은 최근 20년간 10배 이상 급증하였으며, 올해 6월 8일 기준으로 전세계적으로 2,162,214명 발생하고 974명이 사망하였다(ECDC).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국내 자체발생은 없으나 뎅기열을 매개하는 흰줄숲모기가 국내 전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며, 해외유입으로 인한 환자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토착화가 우려되고 있다. 


[일본 뎅기열 토착감염 사례]

○ 2014년 일본 도쿄 요요기 공원에서 해외여행력이 없는 162명의 시민들이 모기에 물린 후 뎅기열 집단발생(outbreak)하여 환자 및 매개체 집중관리 실시


  국내 뎅기열 환자는 코로나19 이전 연 200명 내외로 지속 발생하였으며, 대부분 필리핀,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을 방문 후 감염되었다. 2023년 6월 24일 기준 뎅기열 환자는 55명으로 전년 동기간(10명) 대비 5.5배 증가하였다. 

  * 2023년 유입국가: 인도네시아15, 베트남12, 필리핀10, 태국10, 인도3, 말레이시아2,  라오스1, 볼리비아1, 싱가포르1 


  이에 질병관리청은 뎅기열 국내유입 및 전파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선제대응의 일환으로 2022년 검역단계 뎅기열 환자 능동감시를 수행하여 부산·김해공항검역소에서 발열 등 뎅기열 감염이 우려되는 입국자 110명 중 확진환자 3명을 조기에 발견하는 성과를 얻었다.


  또한 동남아시아 출국자 대상으로 모기물림 주의 문자발송, 베트남행 기내 승객 대상 뎅기열 예방수칙 홍보자료 배포 등 질병 정보를 제공하였다.


  올해는 뎅기열 능동감시가 13개 공·항만 검역(지)소로 확대 시행되며,  7월부터 11월까지 해당 공·항만으로 입국하는 내국인 중 발열, 모기물림 등 뎅기열 감염 의심 시 신속진단검사를 무료로 실시하고, 입․출국자 대상으로 감염예방 및 증상발생 시 대처방법을 적극 홍보할 예정이다.


< 검사 가능한 국립검역소 >

- (공항 검역소) 인천공항, 김해공항, 청주공항, 무안공항, 대구공항 

- (항만 검역소) 부산, 평택, 군산, 목포, 여수, 포항, 울산, 마산


  다만 뎅기열 신속진단검사는 간이키트 검사이므로 양성자는 검역소에서 발급받은 양성확인서를 지참하고 가까운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확인진단검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동남아시아 등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국민들에게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이 될 수 있도록 여행 전 뎅기열 예방수칙을 숙지하고, 여행 후 뎅기열 감염이 의심된다면 검역소에서 신속진단검사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뎅기열 예방수칙 >


 ① 여행 전

  - 여행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감염병→해외감염정보→국가별감염병예방정보

  - 모기 예방법을 숙지하고 모기기피 용품* 및 상비약 준비하기

     * 모기 기피제, 모기장, 모기향, 밝은색 긴팔 상의 및 긴 바지 등


 ② 여행 중

  - 모기가 많이 있는 ‘풀 숲’ 및 ‘산 속’ 등은 가급적 피하기

  - 외출 시 긴 팔 상의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모기는 어두운 색에 유인되므로, 활동 시 밝은 색 옷 착용하기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하기


 ③ 여행 후

  - 귀국 시 뎅기열 의심증상(발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등)이 있으면 신속진단검사 가능한 검역소에서 무료로 검사받기

  - 귀국 후 2주 이내 뎅기열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 방문하고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여행력을 알리기

  - 헌혈 보류기간(4주) 동안 헌혈을 금지하기 




[ 질병관리청 2023-06-3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01 “실거주 확인 없이 상속인에게 부과한 임대료 반환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2 9
2700 “신차 실내 공기질”… 17개 차종 기준 충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22 12
2699 “신고·진정으로 인한 입건 전 조사 진행상황도 피해자에게 통지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10 15
2698 “식품업체.음식점 위생점검에 참여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6 86
2697 “식용곤충 안전 사육기준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71
2696 “식당 사장님, 이제 인터넷으로 민원서류 제출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2 29
2695 “스팩(SPAC), 지난 7년간 얼마나 성장했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6 47
2694 “스마트폰 사용 줄이고, 가족과 대화 늘리고” 치유캠프 함께 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23 12
2693 “숨어있는 4대 사회보험료 환급금을 돌려드립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15
2692 “소득·재산 숨기고 사채놀이까지” 가짜 기초생활수급자 적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1 43
2691 “소규모 건설공사 일용직 근로자, 공공임대주택 입주 쉬워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6 23
2690 “세 살 올바른 식습관 여든까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5 99
2689 “설 명절 선물-금품수수 등 ‘공직자 행동강령’ 위반, 집중 신고 받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07 16
2688 “생사조차 모르는 아버지 재산·수입 조회 동의서 받아 오라고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04 37
2687 “새마을금고 가계대출 관리 대폭 강화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04 167
Board Pagination Prev 1 ...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