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우리 국민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분석결과, 어린이청소년의 3명 중 1명 이상세계보건기구(WHO) 하루 권고기준*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당류는 1일 총열량의 10% 미만(12,000kcal 섭취 시, 당류 50g, 무게가 3g인 각설탕 16~17개 수준)

 

어린이청소년 중 여학생권고기준을 초과하는 사람의 비율* 남학생 경우보다 높았고 여자 어린이·청소년의 경우 총열량 10.4%, 11.2%가공식품으로부터 당류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붙임 2-1, 2-2, 2-3).

 

* 어린이(6~11) : 36.4%, 44.2%, 청소년(12~18) : 30.3%, 51.6%

 

이는 여자 어린이·청소년과자류·빵류 등의 섭취 증가하고 같은 연령층의 남자에 비해 여전히 음료류, 캔디류 등을 간식으로 자주 섭취하는 것영향 미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붙임 2-4, 2-5, 2-6).

 

다만, 2021 우리 국민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34.6g)은 하루 총열량(1,837 kcal)7.5%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10%)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1936.8g 대비 6% 감소했습니다(붙임 2-3, 2-6).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감소이유는 당이 든 탄산음료탄산수 대체하고 믹스커피 대신 블랙커피 등의 섭취량증가음료류로부터 당류 섭취감소한 것이 주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붙임 2-6).

 

* 음료류를 통한 당류 섭취량(g/) : (’19) 12.5 (’21) 10.7

* 탄산수 섭취량(g/) : (’19) 3.0 (’21) 7.8

* 믹스커피/블랙커피 섭취량(g/) : (‘19) 13.8 (‘21) 12.6 / (‘19) 82.4 (‘21) 88.5

*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g/) : (’19) 36.8 (’21) 34.6

 

한편, 식품 포장의 영양성분 함량 표시를 확인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당류를 6.5g(각설탕 2개 분량)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구매할 때 영양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붙임 2-7).

 

따라서 소비자가 식품 구매 시 당류 함량 등의 표시확인하고 제품선택할 수 있도록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홍보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식약처에서는 취학 전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생애주기별균형 잡힌 식생활도모하기 위해 개인식습관 손쉽게 진단하고 맞춤형 가이드제공하는 영양지수 프로그램개발해 지난해부터 제공하고 있습니다.

 

*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NQ) : 식사행동,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점수화한 지표(취학전 어린이, 학령기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용)

 

아울러, 식습관형성되는 어린이·청소년 시기당류 섭취를 줄인 건강한 식생활 실천할 수 있도록 체험형 교육*식품안전영양교육 지원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 미취학아동, 초등학생 대상 튼튼먹거리 탐험대운영(`23, 990)

** 고등학생 대상 식품안전영양교육 지원사업(`23년 상반기, 194개교, 20개교, 22개교)

 

한편, 과도한 당류 섭취줄이고 소비자 선택권 확대하기 위해 나트륨당류 저감 표시기준개정하여 당류 함량을 줄인 제품에 , 감소, 라이트, 줄인, 적은 등의 표시를 할 수 있는 대상 식품유형선정하고 가이드라인배포할 예정입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 실태 조사실시하고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등을 지속 제공하여 일상생활에서 균형 잡힌 식생활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6-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05 무신고 수입 빵류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1 74
9004 출소자‧노숙인 등은 아동‧청소년 관련 희망일자리사업 참여 제한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1 76
9003 유통 크릴오일 제품 검사 결과, 49개 제품 부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1 85
9002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1 83
9001 국민권익위, “후계농 영농자금 신청연령 현실에 맞게 높여야” 개선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1 79
9000 리스테리아 검출 훈제연어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70
8999 한시적 긴급복지지원제도 2020년말까지 확대 시행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69
8998 건설일용근로자 45만 명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로 가입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74
8997 부동산대책 관련「지방세법 시행령」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66
8996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단위가격 표시 필요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72
8995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77
8994 [보도참고] 고속도로 휴게소 '건강하게 쉬었다 갈 지도'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75
8993 특정 피부질환 표방 화장품 온라인 점검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69
8992 청년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 … 「청년기본법」제정, 8월 5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73
8991 포드, 한불, 벤츠, 현대, 기아 결함시정(리콜) 실시[총 5개사 4,725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30 80
Board Pagination Prev 1 ...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