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우리 국민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분석결과, 어린이청소년의 3명 중 1명 이상세계보건기구(WHO) 하루 권고기준*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 가공식품으로 섭취하는 당류는 1일 총열량의 10% 미만(12,000kcal 섭취 시, 당류 50g, 무게가 3g인 각설탕 16~17개 수준)

 

어린이청소년 중 여학생권고기준을 초과하는 사람의 비율* 남학생 경우보다 높았고 여자 어린이·청소년의 경우 총열량 10.4%, 11.2%가공식품으로부터 당류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붙임 2-1, 2-2, 2-3).

 

* 어린이(6~11) : 36.4%, 44.2%, 청소년(12~18) : 30.3%, 51.6%

 

이는 여자 어린이·청소년과자류·빵류 등의 섭취 증가하고 같은 연령층의 남자에 비해 여전히 음료류, 캔디류 등을 간식으로 자주 섭취하는 것영향 미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붙임 2-4, 2-5, 2-6).

 

다만, 2021 우리 국민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34.6g)은 하루 총열량(1,837 kcal)7.5%로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10%)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1936.8g 대비 6% 감소했습니다(붙임 2-3, 2-6).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이 감소이유는 당이 든 탄산음료탄산수 대체하고 믹스커피 대신 블랙커피 등의 섭취량증가음료류로부터 당류 섭취감소한 것이 주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붙임 2-6).

 

* 음료류를 통한 당류 섭취량(g/) : (’19) 12.5 (’21) 10.7

* 탄산수 섭취량(g/) : (’19) 3.0 (’21) 7.8

* 믹스커피/블랙커피 섭취량(g/) : (‘19) 13.8 (‘21) 12.6 / (‘19) 82.4 (‘21) 88.5

*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g/) : (’19) 36.8 (’21) 34.6

 

한편, 식품 포장의 영양성분 함량 표시를 확인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당류를 6.5g(각설탕 2개 분량)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구매할 때 영양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붙임 2-7).

 

따라서 소비자가 식품 구매 시 당류 함량 등의 표시확인하고 제품선택할 수 있도록 영양표시에 대한 교육·홍보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식약처에서는 취학 전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생애주기별균형 잡힌 식생활도모하기 위해 개인식습관 손쉽게 진단하고 맞춤형 가이드제공하는 영양지수 프로그램개발해 지난해부터 제공하고 있습니다.

 

*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NQ) : 식사행동,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점수화한 지표(취학전 어린이, 학령기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용)

 

아울러, 식습관형성되는 어린이·청소년 시기당류 섭취를 줄인 건강한 식생활 실천할 수 있도록 체험형 교육*식품안전영양교육 지원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 미취학아동, 초등학생 대상 튼튼먹거리 탐험대운영(`23, 990)

** 고등학생 대상 식품안전영양교육 지원사업(`23년 상반기, 194개교, 20개교, 22개교)

 

한편, 과도한 당류 섭취줄이고 소비자 선택권 확대하기 위해 나트륨당류 저감 표시기준개정하여 당류 함량을 줄인 제품에 , 감소, 라이트, 줄인, 적은 등의 표시를 할 수 있는 대상 식품유형선정하고 가이드라인배포할 예정입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 실태 조사실시하고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등을 지속 제공하여 일상생활에서 균형 잡힌 식생활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6-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33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로 의료기관 간 ‘의료 질’ 격차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27
4132 요양병원 감염관리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7 12
4131 요양병원 호스피스 시범사업, 9월22일부터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3 96
4130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접촉 대면면회 허용(10.4~) 및 입국 후 1일차 PCR검사 의무 중단(10.1~)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30 13
4129 요양보호사·이미용사 자격증 인터넷으로 발급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0 111
4128 요양시설 입소자의 신속한 코로나 진료를 위해 찾아가는 대면 진료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6 13
4127 요즘 대세 '드론', 추석연휴 때 날려볼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27 43
4126 요즘 잘 나가는 농산물 직거래, 국민호응도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15 105
4125 욕실 바닥 미끄럽지 않게, “실내건축기준” 마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8 83
4124 욕실세정제, 세정력 및 용기강도 제품별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5 43
4123 욕실용 필터샤워기 일부 제품, 잔류염소 제거성능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30 20
4122 욕실화 2종 자발적 리콜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0.30 18
4121 용도지역별 도로 확보율 기준 현실화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4 228
4120 용산기지 버스투어, 2020년에도 계속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6 10
4119 용산어린이정원 안전성 검증 세 차례 모두 '합격'... "일반 어린이공원만큼 깨끗"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8 12
Board Pagination Prev 1 ... 645 646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