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여름 휴가철에 맞춰 2023년 상반기 온오프라인에서 유통되고 있는 캠핑용 식기 및 조리기구의 중금속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원은 캠핑용 식기 및 조리기구 176건의 중금속 용출 검사를 실시하여 해외직구 제품 1건을 제외한 나머지 검사 제품들이 기준 이내인 것을 확인하였다.

   카드뮴비소니켈, 6가크롬 등 중금속 5종에 대해 식품에 직접 닿는 면의 재질별(금속제도자기제합성수지제검사 방법에 따라 용출 검사하였다.

    176종 중 알루미늄 제품(도시락중국산) 1건에서 니켈이 기준량을 초과하였다.

  용출검사는 식품 등에 직접닿아 사용되는 기구 및 용기 포장의 재질에서 식품으로 이행될 수 있는 유해 물질에 대해 4% 초산 등의 침출 용매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출처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

 

 이번에 조사한 캠핑용 식기·조리기구는 온라인(해외직구 포함) 오프라인의 캠핑용 전문매장마트 등에서 유통되는 제품들로 원산지는 중국산이 12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국산 제품은 47건이었다.

 

캠핑을 즐기는 시민들이 늘면서 관련 상품을 해외직구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졌다하지만 해외직구 제품은 안전성 확인에 어려움이 있어 구매 시 주의가 필요하다.

 

 연구원은 캠핑용 식기 및 조리기구의 올바른 사용을 위해 사용 전 식기의 재질을 확인한 후 세척 방법과 더불어 그에 맞는 사용법을 숙지할 것을 당부했다.

    알루미늄 제품의 경우 새 제품은 물을 넣고 끓인 후 사용하면 표면 피막을 견고하게 만들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수세미를 사용하며 산도가 높은 산성식품이나 염분 많은 식품은 장기간 보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사용 시 자세한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안전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용승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앞으로도 시민이 즐겨 찾는 캠핑용 식기 및 조리기구를 포함한 식품용 기구·용기 등에 대한 유용한 정보제공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국제거래 소비자포털 2023-06-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939 Pipers Crisps 감자칩, 리스테리아균 감염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9.11.04
2938 인어꼬리 모양의 슬라임 완구, 붕소 과다 검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19.11.04
2937 감염병 예방에도 월동 준비 필요! 질병별 예방수칙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11.05
2936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메신저 피싱)! 이것만 알면 매년 수천억 원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11.07
2935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증 증가시기,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0 2019.11.11
2934 중국 내 폐 페스트 환자 2명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19.11.14
2933 해외직구 화장품에서 MIT(메칠이소치아졸리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9 2019.11.14
2932 해외송금 알바를 가장한 보이스피싱 피해금 인출책 모집광고를 조심하세요 -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9 2019.11.15
2931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4 2019.11.15
2930 다가오는 겨울, 가스보일러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11.15
2929 10년 이상 장기 사용한 냉장고·김치냉장고 화재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9.11.18
2928 스페인 카탈루냐주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11.19
2927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관련 소비자피해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8 2019.11.21
2926 다이어트 보조식품 판매 사이트 `케토 플러스(Keto Plus)' 거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19.11.21
2925 전기난로, 안전한 사용으로 화재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6 2019.11.21
2924 패키지 해외여행 내 레저·체험활동 및 이동수단 안전관리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11.28
2923 본격적인 겨울 시작, 한랭 질환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19.11.29
2922 만성질환자를 위한 자가투여 주사제 안전사용 정보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5 2019.11.29
2921 겨울철 증가하는 고령소비자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11.29
2920 착향제 구성 성분 중 알레르기 유발성분(식약처 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9.12.02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