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질병관리청, 「2022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 발간 -


- 법정감염병 신고 환자 수 28,517,466명(10만 명당 55,332명)으로 전년 대비 4,159.7% 증가

   * 표본감시 감염병(제4급)은 제외한 환자 수 

 ※ 증가한 감염병은 코로나19, 뎅기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말라리아 등 19종 


- 다만, 코로나19(28,424,635명) 제외 시 92,831명(10만 명당 180명)으로 전년 대비 6.6% 감소

  ※ 감소한 감염병은 결핵, A형 간염, B형간염, 수두 등 16종 


- 의료기관 및 관련기관 등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신고와 적극적 협조 당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2022년 질병보건통합시스템으로 신고된 법정감염병 현황을 분석하여 「2022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 를 발간하였다.


  연보에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조에 명시된 89종*의 법정감염병 통계가 수록되어 있으며, 2022년에는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66종 중 40종의 감염병이 신고되었고, 26종은 신고 건이 없었다.

  * 전수감시 대상 감염병 66종 + 표본감시 대상 감염병 23종


  2022년 법정감염병 신고 환자 수*는 28,517,466명(인구 10만 명당 55,332명) 으로, 2021년 669,478명(인구 10만 명당 1,294명) 대비 크게 증가하였으나,

  * 표본감시 감염병 제외한 제1급∼제3급 감염병 신고 환자 수의 합계 


  코로나19(28,424,635명)를 제외하면, 신고 환자 수는 92,831명(인구 10만 명당 180명)으로 전년(99,406명) 대비 6.6% 감소하였다.


  전년 대비 신고 건수가 증가한 주요 감염병은 코로나19(4,886.2%), 뎅기열(3,333.3%),  말라리아(42.9%), CRE 감염증(31.1%) 등이며, 감소한 주요 감염병은 A형간염(△71.3%), B형간염(△26.7%), C형간염(△17.9%), 수두(△11.4%), 결핵(△11.3%) 등 이었다.


   * 2020, 2021년 제1급 신종감염병증후군은 코로나19로 신고·보고된 건수이며,  2022년부터 제2급으로 전환


  2022년 주요 감염병 급별 신고 현황은 다음과 같다. 


  제1급감염병은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이 ’20년 60,727명, ’21년 570,072명이었고, ’22년 코로나19가 2급 감염병으로 전환되면서 제1급감염병 신고 건은 없었다.

 *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감염병 또는 병명을 알 수 없으나 새로 발생한 감염성증후군으로, 급속한 전파가 우려되어 긴급조치가 필요한 질환. ’09-’10년 신종 인플루엔자, ’20년 코로나19(’22.4.25.부터 코로나19는 제2급 감염병으로 지정)


  제2급감염병은 전년 대비 크게 증가(’21년 80,611명 → ’22년 28,499,967명) 하였으나, 코로나19 제외 시 75,332명으로, 전년 대비 6.6% 감소하였다.

  전년 대비 증가한 주요 감염병으로는 코로나19가 4,886.2% 증가 (’21년 570,072명* → ’22년 28,424,635명),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이 31.1% 증가(’21년 23,311명 → ’22년 30,548명) 하였다. 엠폭스는 2022년 6월 제2급 감염병으로지정한 이후 4명이 발생하였다. 

 *  신종감염병증후군(코로나19)


  전년 대비 감소한 주요 감염병으로는, A형간염은 전년 대비 71.3% 감소하였고(‘21년 6,583명 → ’22년 1,890명), 30~50대 연령대가 전체 발생의 69.2%(1,307명)를 차지하였으며, 결핵은 전년(’21년, 18,335명) 대비 11.3% 감소한 16,264명으로, 이는 2012년 대비 58.9% 감소한 수치이다. 또한 수두는 전년 대비 11.4% 감소하였고(’21년 20,929명 → ’22년 18,547명), 연령대별로는 10대에서 16,407명(88.4%)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제3급감염병은 전년 대비 6.9% 감소(’21년 18,795명 → ’22년 17,499명)하였다. 

전년 대비 감소한 주요 감염병으로는 B형간염이 26.7% (’21년 453명 → ’22년 332명), C형간염은 17.9%(’21년 10,115명 → ’22년 8,308명) 등이 있다.


  전년 대비 증가한 주요 감염병으로는 말라리아가 42.9% 증가하였으며(’21년 294명 → ’22년 420명), 국내 발생 환자(382명) 중 62.6%는 말라리아 위험지역인 인천, 경기·강원 북부에서 신고되었고, 현역 및 제대 군인이 27.7%(106명)를 차지하였다.


  뎅기열은 3,333.3% 증가하였으며(’21년 3명 → ’22년 103명), 모두 해외유입 사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입 지역은  아시아 102명, 아프리카 1명 이었다.


 라임병은 전년 대비 175% 증가(’21년 8명 → ‘22년 22명)하였으며, 국내 감염 추정사례 17명, 국외 감염 추정사례 5명이었다.

  쯔쯔가무시증은 전년대비 5.4% 증가(’21년 5,915명→ ’22년 6,235명)하였으며, 전체 신고건의 92.3%(5,754명)가 50대 이상이었고, 79.7%가 10~11월(4,972명)에 신고되었다. 


 해외유입 감염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 이후 매년 400~700명 내·외로 신고 되고 있었으나, 코로나19 유행으로 ’21년에는 11,992명, ’22년에는 56,046명으로 367.4% 증가하였다. 

  코로나19를 제외(55,864명)하면 전년 대비 487.1% 증가하였으며(’21년 31명 → ’22년 182명), 모기를 매개로 감염되는 뎅기열(103명), 말라리아(38명)의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주요 유입지역은 아시아 지역(베트남, 필리핀, 태국, 일본 등)이 전체의 약 53.5%를 차지하였다.


  법정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22년 27,269명으로, 전년(’21년 5,547명) 대비 391.6% 증가하였으며,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26,397명을 제외한 사망자 수는 872명으로 전년(’21년 517명) 대비 68.7% 증가하였다.

  * 결핵(결핵 사망자 수는 ‘사망원인통계(통계청, ’23.9월 예정)’에 공표) 및 표본감시 감염병 제외

 **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사망집계는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 제5조제1항·제3항에 따라, HIV 감염인이 후천성면역결핍증으로 인한 사망이나 그 외의 사인으로 사망한 경우를 모두 포함 


  ’22년에 사망자가 발생한 주요 감염병은 코로나19(26,397명, 96.8%) 외에 CRE 감염증(539명, 2.0%), 후천성면역결핍증(142명, 0.5%), 폐렴구균 감염증(56명, 0.2%),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40명, 0.1%) 등이 있다. 

 *  ’21년 사망 주요 감염병 코로나19(5,024명), CRE 감염증(277명), 후천성면역결핍증(112명), 폐렴구균 감염증(36명),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10명)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3년째 이어진 코로나19의 유행 상황에서도 법정감염병 현황을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감염병 환자 발생을 적극적으로 신고해 주신 의료기관 등에 감사드리며,


  특히, 지난해 모기· 진드기 등 매개체를 통해 감염되는 말라리아, 쯔쯔가무시증 등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야외활동 시 모기 및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준수하시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 매개체 감염병 예방수칙(붙임8 및 붙임9 참조)


▲ (모기 매개 감염병) 야외활동 시 퇴치용품(기피제 등) 사용, 진한 향수·화장품 사용하지 않기, 야외활동 후 땀 제거 및 땀이 묻은 옷 세탁하기 등

▲ (진드기 매개 감염병) 야외활동 시 밝은 색 긴 소매 옷, 양말 등 착용하기, 기피제 사용, 풀밭에 앉을 때 돗자리 사용, 귀가 즉시 옷을 털어 세탁하기, 샤워하면서 벌레(진드기)에 물렸는지 확인하기 등


  또한,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는 감염병 발생에 대한 시계열적 비교·분석으로 보건정책 및 학술연구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2022년도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는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게시 예정(6.30.)



[ 질병관리청 2023-06-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88 ‘학대 위험에 노출된 발달장애인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5.04 22
4387 7월부터 우울·불안 등 겪는 국민에게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 제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1 21
4386 청소년, 오늘부터 홀덤펍‧홀덤카페 출입 안 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7 21
4385 공공 사전청약 제도적 한계 고려, 신규 시행 중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14 21
4384 더울때는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자주 마셔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7 21
4383 국민불편 해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개인간 거래 시범사업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8 21
4382 아동학대로 이어지지 않도록 학대 판단 안 된 사례도 선제적으로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5 21
4381 내가 사는 동네, 법령부터 조례까지 한 눈에 확인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5 21
4380 중증외상 원인 1위 운수사고, 2위 추락·미끄러짐 고령층 낙상 사회문제 대두, 노인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 상반기 보급에 박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9 21
4379 외국인도 재난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위급·긴급 재난문자 영문표기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8 21
4378 중증장애인에서 경증장애인까지 모두 주치의의 전문장애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8 21
4377 재산세 부과 기준이 되는 건축물 시가표준액(안) 의견을 듣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5 21
4376 긴급한 보호가 필요한 주민등록번호 변경 처리기간 90일에서 45일 이내로 단축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9 21
4375 농촌 마을에 찾아가는 “왕진버스”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18 21
4374 셀프 포토 스튜디오 서비스, 결제 및 상품 정보제공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4 21
Board Pagination Prev 1 ...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