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인구 고령화에 따라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이식형 심장박동기*(pacemaker)에 대한 이식 수술제품 정보, 이식 수술 후 일반적·생활 속 주의사항 에 대해 안내합니다.

 

* 부정맥과 같이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일어나는 경우, 환자의 심장박동을 규칙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이식되는 의료기기(사용 통계: ’173,731’204,954)

 

<이식 수술 제품 정보>

이식형 심장박동기 수술은 주로 왼쪽 쇄골 아래쪽 3~5cm 가량 절개 박동기 본체 이식하고, 전극(박동 유도선) 혈관 통해 심장 연결하는 것으로, 수술 시간은 보통의 경우 1시간 가량 소요됩니다.

 

이식형 심장박동기 19개 제품(5개 업체), 전극은 총 23개 제품(5개 업체)각각 허가돼 판매 중이며, 자세한 제품 정보 식약처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의료기기정보포털(https://udiportal.mfds.go.kr) > 생활속 의료기기 > 의료기기 database검색 > 품목명 '이식형심장박동기' 또는 '이식형심장박동기전극'으로 검색

 

<이식 수술 후 일반적인 주의사항>

심장박동기를 이식한 환자는 우선 수술 후 6~8주까지 과격한 운동이나 활동 피해야 하며, 특히 심장박동기 전극이 이식된 부분 가까운 팔 움직임큰 운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박동기 이식 후 6 3개월째 각각 검진을 받고, 이후에는 최소 6개월 주기 정기검진을 받는 것을 권고합니다. 강한 전자파노출된 후 현기증실신호흡곤란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 의료진의 처방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이식 수술 후 생활 속 주의사항>

휴대전화 등 무선 통신기기심장박동기 최소 15cm 거리두고 사용하고, 셔츠 가슴 있는 주머니에 넣거나 가방메고 있을 때 심장박동기 근처위치하지 않도록 합니다.

 

공항 보안검색대를 통과해야 하는 경우, 이식 정보가 기재된 환자 카드 제시하고 수동 검색요청합니다. 또한, 상점이나 백화점 등에 설치된 전자식 도난방지시스템, 전파식별(RFID) 시스템* 근처에서 멈추거나 기대어 서지 않습니다.

 

* 태그라벨카드 등을 비접촉식으로 읽는 시스템

 

고전압 장비 또는 높은 전류 전원 사용하거나 근처에서 일하는 경우* 의사 사전 상담해야 하며, 심장박동기 사용금지 기호 표시된 지역 들어가지 않습니다.

 

* 전기용광로, 가마, 변전소, 고압송전선로 등

 

 아울러 고주파초음파 온열치료기, 자석사용 양압지속유지기용 마스크는 심장박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특히 병원에서 고주파초음파방사선 치료시 심장박동기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먼저 의료진 상의하고, 치료 후에는 심장박동기 기능 점검해야 합니다. 자기공명영상(MRI)의 경우, 촬영 가능하도록 설계 심장박동기 전극 한하여 허가받은 사용방법따라 촬영이 가능합니다.

 

한편 식약처는 이식형 심장박동기 수술 후 주의사항 관련 안전정보지와 카드뉴스를 마련했으며, 식약처 대표 누리집(mfds.go.kr) > 법령/자료 > 홍보물자료> ‘일반홍보물또는 카드뉴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인체 내 이식되는 의료기기에 대한 제품정보, 수술 후 또는 생활 속 주의사항 정보지속적으로 제공, 환자가 의료기기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6-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93 알로인A 및 알로인B 함량이 높은 Lanzaloe 알로에 주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3.04.07
3492 화장품 금지 성분인 과산화바륨이 함유된 Kali Mehandi 염모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4 2023.04.07
3491 분리된 배선이 포함되어 전기 감전이 위험이 있는 Blueque 젤네일 램프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3.04.07
3490 손잡이 파손 위험으로 리콜된 Mytrex Rebive 전기마사지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23.04.07
3489 작동 중 컵 분리로 절단 위험이 있는 Amazon Basics 믹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23.04.07
3488 터릿(Turret) 파손으로 익사 위험이 있는 XDEEP 스쿠버 레귤레이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4.07
3487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위험 있는 Revellino 장난감 자동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3.04.07
3486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Hatley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3.04.07
3485 리튬이온 배터리 발화 위험 있는 Ancheer 전기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23.04.07
3484 LIFE스토리 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3.04.07
3483 감전 위험 있는 Svater 야외용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0 2023.04.06
3482 착용 중 벗겨질 위험 있는 Giro Sport Design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6 2023.04.06
3481 톨루엔 성분 과다 함유한 Zhanlida 접착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23.04.06
3480 내부 단락 발생 가능성 있는 Anker 보조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3.04.06
3479 단락에 의한 발화 가능성 있는 FB-507 전기면도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4.06
3478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Brooklyn Bean 캡슐 음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5 2023.04.06
3477 에틸렌옥사이드가 초과 검출된 BONCABE 파프리카맛 조미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4.06
3476 퀵 릴리즈 레버가 충분히 고정되지 않은 Chevrolet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3.04.05
3475 금지 성분인 하이드로퀴논이 포함된 Fair & Whit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3.04.05
3474 라벨에 미표기된 알러지 성분(땅콩)이 포함된 Go Max Go 초콜릿 캔디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23.04.05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