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인구 고령화에 따라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이식형 심장박동기*(pacemaker)에 대한 이식 수술제품 정보, 이식 수술 후 일반적·생활 속 주의사항 에 대해 안내합니다.

 

* 부정맥과 같이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일어나는 경우, 환자의 심장박동을 규칙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이식되는 의료기기(사용 통계: ’173,731’204,954)

 

<이식 수술 제품 정보>

이식형 심장박동기 수술은 주로 왼쪽 쇄골 아래쪽 3~5cm 가량 절개 박동기 본체 이식하고, 전극(박동 유도선) 혈관 통해 심장 연결하는 것으로, 수술 시간은 보통의 경우 1시간 가량 소요됩니다.

 

이식형 심장박동기 19개 제품(5개 업체), 전극은 총 23개 제품(5개 업체)각각 허가돼 판매 중이며, 자세한 제품 정보 식약처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의료기기정보포털(https://udiportal.mfds.go.kr) > 생활속 의료기기 > 의료기기 database검색 > 품목명 '이식형심장박동기' 또는 '이식형심장박동기전극'으로 검색

 

<이식 수술 후 일반적인 주의사항>

심장박동기를 이식한 환자는 우선 수술 후 6~8주까지 과격한 운동이나 활동 피해야 하며, 특히 심장박동기 전극이 이식된 부분 가까운 팔 움직임큰 운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심장박동기 이식 후 6 3개월째 각각 검진을 받고, 이후에는 최소 6개월 주기 정기검진을 받는 것을 권고합니다. 강한 전자파노출된 후 현기증실신호흡곤란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 의료진의 처방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이식 수술 후 생활 속 주의사항>

휴대전화 등 무선 통신기기심장박동기 최소 15cm 거리두고 사용하고, 셔츠 가슴 있는 주머니에 넣거나 가방메고 있을 때 심장박동기 근처위치하지 않도록 합니다.

 

공항 보안검색대를 통과해야 하는 경우, 이식 정보가 기재된 환자 카드 제시하고 수동 검색요청합니다. 또한, 상점이나 백화점 등에 설치된 전자식 도난방지시스템, 전파식별(RFID) 시스템* 근처에서 멈추거나 기대어 서지 않습니다.

 

* 태그라벨카드 등을 비접촉식으로 읽는 시스템

 

고전압 장비 또는 높은 전류 전원 사용하거나 근처에서 일하는 경우* 의사 사전 상담해야 하며, 심장박동기 사용금지 기호 표시된 지역 들어가지 않습니다.

 

* 전기용광로, 가마, 변전소, 고압송전선로 등

 

 아울러 고주파초음파 온열치료기, 자석사용 양압지속유지기용 마스크는 심장박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특히 병원에서 고주파초음파방사선 치료시 심장박동기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먼저 의료진 상의하고, 치료 후에는 심장박동기 기능 점검해야 합니다. 자기공명영상(MRI)의 경우, 촬영 가능하도록 설계 심장박동기 전극 한하여 허가받은 사용방법따라 촬영이 가능합니다.

 

한편 식약처는 이식형 심장박동기 수술 후 주의사항 관련 안전정보지와 카드뉴스를 마련했으며, 식약처 대표 누리집(mfds.go.kr) > 법령/자료 > 홍보물자료> ‘일반홍보물또는 카드뉴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인체 내 이식되는 의료기기에 대한 제품정보, 수술 후 또는 생활 속 주의사항 정보지속적으로 제공, 환자가 의료기기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6-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89 국내 플러그 기준에 부적합한 충전기 사용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8.30
3388 국내․외 대규모 축제 전후 엠폭스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6.20
3387 국내결혼중개 서비스 계약 해지 거부·위약금 과다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3.10.25
3386 국내외 유명 투자전문가를 사칭하는 채팅App(오픈채팅방)의 해외주식 매수추천에 유의해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 2024.06.18
3385 국내유통 음료류 벤젠으로 인한 위해 우려 없어 !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18.02.28
3384 국립공원 사망사고 절반은 심장돌연사, 가을철 산행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2 2017.09.29
3383 국립공원 이용시 사회적 안전거리 준수와 겨울철 안전사고 대비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0.11.30
3382 국민 10명 중 7명은 아파트 단지 내 보행안전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18.05.31
3381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2.02
3380 국민의 의견을 들어 안전감찰을 추진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18.10.11
3379 국민청원 검사, 시중 모든 '인공눈물' 무균시험 적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20.06.29
3378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노니 분말.환 제품'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5.02
3377 국세청 사칭, 이메일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6.03
3376 국세청 사칭, 이메일・문자메시지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9 2024.01.10
3375 국외 원숭이두창 대비, 위기경보 “관심단계”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0 2022.06.03
3374 국제거래 소비자의 10% 이상이 소비자피해 경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3 2020.07.29
3373 국표원, 수영복·전격살충기 등 48개 제품 리콜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6 2017.07.18
3372 국표원, 액체괴물·전기매트 등 132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18.12.20
3371 국표원, 어린이가방·학용품 등 51개 제품 리콜명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3 2019.02.27
3370 궁금한 독성정보, 톡스인포에서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9.02.22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