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과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발생이 집중되는 6~11월, 농업인을 대상으로 진드기 물림 주의 및 감염 예방을 위한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국내에서 주로 발생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이하 SFTS)’이며, 쯔쯔가무시증은 10~11월, SFTS는 6~10월 중 집중 발생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최근 3년간(2020년~2022년) 발생 및 사망 동향은 다음과 같다. 발생 동향을 보면, 쯔쯔가무시증는 지속 증가추세이며, SFTS는 2021년에 감소하였으나 지난해에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두 질병의 사망 동향 역시 발생 동향과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SFTS는 올해 19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 4명이 사망했을 만큼 높은 치명률을 유지하고 있다.(2023.6.13. 기준)


  또한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농작업(농업, 텃밭 작업, 주말농장 포함)의 비율이 절반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2022년 기준으로 쯔쯔가무시증은 53.1%, SFTS는 50.8%가 농작업 중 진드기에 물려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농업인은 농작업 및 텃밭 작업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질병관리청과 농촌진흥청이 권고하는 농작업 전/중/후 예방수칙은 다음과 같다. (붙임 1, 2 참고)


  먼저, 농작업 전에는, ➊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긴 소매와 긴 바지로 된 농업용 작업복을 입고, 장갑과 장화 등을 착용하여야 한다. 또한 ➋소매는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어 진드기가 옷 속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➌진드기가 옷에 달라붙었을 때 바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밝은색의 옷을 입는 것도 권장한다.   


  농작업 중에는, ➊풀 위에 앉을 때 작업용 방석이나 돗자리를 사용하도록 하고, ➋보조적으로 진드기 기피제를 약 4시간마다 옷과 노출된 피부에 뿌려주면 진드기 물림 예방에 도움이 된다.


  농작업 후에는, ➊작업복은 충분히 털어내고 바로 세탁해야 하며, ➋몸을 씻으면서 벌레 물린 상처나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만약 ➌몸에 진드기가 붙어있을 경우, 손톱으로 진드기를 터뜨리거나 무리해서 떼어내려 하면 진드기의 혈액에 의해 추가 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가까운 보건소나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제거해야 한다.


  한편, 질병관리청과 농촌진흥청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 등으로부터 농업인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2022년 7월에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각 시군 농업기술센터-보건소와 함께 진드기 매개 감염병 공동교육 및 홍보, 매개체 감시, ‘농업인 안전365 캠페인’ 등에서 적극 협력하고 있다.


  또한, ▲농작업 손상 예방관리,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관리 등 감염병 외 분야에 대해서도 정보공유와 공동 대응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최고의 예방법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므로, 농작업 전후 예방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주실 것”을 당부하는 한편, “농작업 후 2주 이내 발열, 두통, 소화기 증상,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농작업 등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아, 적기에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최근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 가운데 농작업 관련 감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영농현장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며, “평소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숙지하고, 농작업 시에는 예방수칙 준수와 실천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무더위가 시작되는 요즘 건강관리와 안전사고 예방에 힘써주실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11일 발표한「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에 백신개발 우선순위 감염병(9개*)으로 SFTS를 포함하였다. 

  * 코로나19, 인플루엔자, 니파, 라싸, 뎅기, SFTS, RSV, 치쿤구니아, 신증후군출혈열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질병 부담이 높은 SFTS의 근본적인 예방관리를 위해 mRNA(메신저 리보핵산) 백신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이를 위해 지난해 7월 19일 미국 모더나사와 공동 연구협력 협약(RCA, Research Collaboration Agreement)을 체결하였으며, 단백질 재조합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백신 연구 개발 및 비임상연구 지원 등도 적극 추진 중에 있다. 




[ 질병관리청 2023-06-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73 롯데하이마트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6.30
3872 여름 휴가철, 렌터카 이용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6.30
3871 화재 발생 위험이 있는 AprilAire 증기분무식 가습장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8.17
3870 부패 가능성이 있는 Post 시리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8.17
3869 전화금융사기, 요즘은 이렇게까지도 속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8.31
3868 가스 누설 위험 있는 Russell Hobbs 가스레인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9.08
3867 방향 제어 기능 상실할 수 있는 Raymarine 오토파일럿 시스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9.08
3866 집에서 직접 치아교정? 거짓.과대 광고 제품입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9.12
3865 LG전자 인증판매점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10.11
3864 SK스토아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11.06
3863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11.22
3862 골프장 예약취소 시 위약금 과다 청구로 소비자불만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11.27
3861 사용 중 칼날이 떨어져 사용자 부상 위험이 있는 Cuisinart 믹서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2.15
3860 가품판매 쇼핑몰 라운딩샵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3.13
3859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7)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3.20
3858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1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3.20
3857 여드름 관련 화장품 사용 시 주의사항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3.25
3856 프레임 균열로 부상 위험 있는 전기 화물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4.16
3855 피싱 사이트를 이용한 불법 금융투자 사기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4.05.23
3854 벤젠 검출된 자외선차단제(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2.07.13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