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6월 12일부터 6월18일까지 5명*(#107~#111)의 추가 확진환자가 발생하여 현재까지 국내 발생 누적 확진환자는 총 111명이라고 밝혔다.

   * (6월12일) 1명, (6월14일) 1명, (6월15일) 2명  6월 2주 확진환자는 내국인 5명으로 모두 남성이며, 4월 4주차 최고점까지 빠르게 도달한 이후 천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고위험군 예방접종도 확진자가 밀집된 서울․경기 지역의 고위험군 대상으로 주말 및 평일(야간 포함) 접종기관*을 확대(6주, 5.20~6.24)하여 실시중(5.8~)이며 6.18일까지 1차접종은 누적  4,365명이고, 2차 접종은 682명이 접종 완료하였다.  

  * 133개(서울 42개, 경기 72개, 그 외 19개), (6월16일) 1명


  방대본은 지난 6월 13일 전국 72개 의료기관 감염내과 의료진, 관련 학회·협회* 대상 설명회를 개최하여, 예방접종효과, 임상증상 및 환자특성 등 최신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일선 의료진과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 대한감염학회, 대한비뇨의학회, 대한피부과학회, 대한대장항문학회, 대한개원의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대한의사협회

  

최근, 미국에서 실시한 고위험군 대상 백신접종별 질병위험도 평가*에 따르면, 미접종자의 엠폭스 발생률은 백신 2회 접종자, 1회 접종자보다 각각 10배, 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백신을 접종하면 중증도와 입원률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미국CDC 이환율 및 사망률 주간보고서(Morbidity and Mortality Wkly Rep 2023 Apr 4;72(13): 342-7) 

  접종편의를 위해 6월 중 고위험군 친화적 일차의료기관을 접종기관으로 추가 지정하고, 고위험군 커뮤니티 대상 안내문 게시, 전국 의료기관에 홍보물 및 포스터 배포 등 엠폭스 접종 안내를 지속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6월은 전 세계 대도시에서 성소수자 관련 행사 및 퍼레이드*가 집중되어 있는 달로 우리나라에서도 서울퀴어문화축제(‘23.6.22~7.9)가 예정되어 있다.

  * 방콕(6.4), 텔아이브(6.5.-11.), 상파울로(6.7-11.), 마드리드(6.23.-7.2.), 뉴욕(6.25.)


  올해는 코로나19 공중보건위기상황 해제 및 각국의 출입국 조치 완화, 대규모인원의 참여로 고위험군의 집단에서의 감염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주의가 필요하며, 방대본은 축제기간 홍보부스에서 엠폭스 예방접종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안내하고 홍보물을 배포할 예정이다. 


  누구나 엠폭스에 걸릴수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발생 양상은  20~30대의 남성이 89.1%, 성접촉에 의한 것이 95.5%로 79.1%가 수도권(서울․인천․경기) 거주자이다. 


 지영미 본부장은 “엠폭스는 주로 밀접한 접촉으로 전염되는 만큼 증상이 있는 경우 성접촉 등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엠폭스 고위험대상자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엠폭스 백신을 접종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3-06-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399 리본에 목졸림 위험 있는 유아용 텐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2.20
3398 잠금 기능에 결함이 있는 반려견용 리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2.20
3397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XIAOVV 베이비 모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2.29
3396 과도한 농도의 붕소 함유로 화학적 위험성 있는 슬라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3.13
3395 과도한 농도의 붕소 함유로 화학적 위험성 있는 슬라임 판매차단 안내(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3.13
3394 독성 식물로 확인된 테호코테(Tejocote) 다이어트 보조제(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3.15
3393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3.19
3392 볼트가 탈락하여 낙상 위험이 있는 자전거 변속 브레이크 레버(Rival 모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4.01
3391 부품 이상으로 낙상 위험이 있는 청소년용 스키 부츠(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2 2024.04.15
3390 보툴리누스균 오염 위험 있는 Primula 치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0.11.23
3389 살모넬라 오염가능성 있는 초콜릿(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07.21
3388 해외 브랜드 노트북 A/S 관련 피해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1.10
3387 손가락 끼임사고 위험 있는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06
3386 단추형 전지 노출되어 삼킬 경우 사망 위험 있는 LED 머리띠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3385 손가락 끼임 위험 있는 People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15
3384 겨울 스포츠 안전사고 발생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21
3383 핸들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볼트EUV 차량 무상수리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5.22
3382 과산화수소 과다 검출된 Crest 치아미백스트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3.07.13
3381 화재 및 화상 우려 있는 Kids Stuff 유아용 버블클렌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4.01.04
3380 화재 발생 위험 있는 Harley Wei 전기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4.01.08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