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가사·간병 방문지원 등 사회서비스를 「복지로(https://www.bokjiro.go.kr)」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에서 손쉽게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신규 5종)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발달장애인 방과후 활동지원, 발달재활, 가사‧간병 방문지원(기존서비스 확대) 장애인활동지원 중 긴급활동 추가

복지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직접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으나, 복지로 온라인 신청서비스가 추가 개통됨에 따라 보다 많은 대상자가 홈페이지나 모바일앱을 통해 손쉽게 신청할 수 있다.

이로써, 6월 14일(수)부터 복지로를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 사업은 45종에서 50종으로 확대되었다.

보건복지부 전병왕 사회복지정책실장은 “특히 발달장애 및 가사간병 지원 복지서비스는 직접 신청이 어려운 분들의 이용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온라인 확대로 복지 접근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상세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가사간병 방문지원 등 사회서비스를 「복지로(https://www.bokjiro.go.kr)」 및 모바일 앱에서 손쉽게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신규 5종)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발달장애인 방과후 활동지원, 발달재활, 가사‧간병 방문지원(기존서비스 확대) 장애인활동지원 중 긴급활동 추가


복지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직접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으나, 복지로 온라인 신청서비스가 추가 개통됨에 따라 보다 많은 대상자가 홈페이지나 모바일앱을 통해 손쉽게 신청할 수 있다.

이로써, 6월 14일(수)부터 복지로를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 사업은 45종에서 50종으로 확대되었다.

①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사업은 발달장애인 부모의 우울감 등 부정적 심리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해 집중적인 심리·정서적 상담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회당 50~100분 월 3~4회 규모로 12개월간 제공한다.

 
* (지원기준)「장애인복지법」상 지적·자폐성 장애인으로 등록된 자녀의 부모 및 보호자 (붙임1)
- 지적장애 또는 자폐성 장애를 부장애로 가진 경우도 포함 

 * (지원금액) 1인당 바우처 정부지원금 16만 원

②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지원 서비스는 성인 발달장애인(만 18세 이상 만 65세 미만)이 지역사회 기반 그룹활동 참여를 통해 의미 있는 낮 시간 활동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서비스로, 월 176시간의 프로그램 활동 바우처를 제공한다.

 
* (지원대상) 만 18세 이상 만 65세 미만 성인 발달장애인 (붙임2)

 * (지원내용) 바우처 월 132시간(기본형) 또는 176시간(확장형) 제공

③ 발달장애인 방과후 활동지원 사업은 청소년(만 6세~만 18세 미만) 발달장애인의 방과후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성인기 자립 준비를 지원하는 서비스이며, 월 66시간의 프로그램 활동 바우처를 제공한다.

 
* (지원대상) 만 6세 이상 만 18세 미만 청소년 발달장애인 (붙임3)

 * (지원내용) 바우처 월 66시간 제공(월~토, 9~21시)


④ 발달재활 서비스는 만 18세 미만의 시각·청각·언어·지적·자폐성·뇌병변 장애아동에게 발달재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소득 수준(기준중위소득 180% 이하)에 따라 최대 월 25만 원을 지원한다.

 
* (지원기준)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 만18세 미만 / 시각·청각·언어·지적·자폐성·뇌병변 등록장애아동 (붙임4)

 * (지원금액) 장애아동 1인당 月 25만원 상당(본인부담 포함)의 바우처 제공, 소득기준별 차등지급


⑤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은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중증질환자 등과 같이 장애 및 질병으로 혼자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취약계층에게 직접 방문하여 가사 및 간병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지원기준) 기준 중위소득 70% 

 * (지원금액) 소득수준 및 서비스 이용시간에 따라 차등지급(붙임5)


⑥ 장애인활동지원 중 긴급활동 지원사업은 수급자가 아닌 만 6세 이상 만 65세 미만의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 보호자 부재나 천재지변 등 긴급한 돌봄이 필요한 경우 장애인활동지원 신규 신청 절차 진행 중에 최대 월 120시간의 활동지원 급여를 60일간 제공한다.
*  장애인활동지원은 2013년부터 온라인 신청 서비스 제공 중

* (지원기준) 수급자가 아닌 만 6세 이상 65세미만의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이 활동지원 신청시 아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①가족의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요양시설 입소, 입원 등 돌볼 가족이 없는 경우 ②천재지변, 화재 또는 이에 준하는 사유 ③「국민기초생활 보장법」제32조에 따른 보장시설에서 갑작스런 퇴소 또는 이에 준하는 사유(보장시설 휴·폐업 등)로 사전에 활동지원급여를 신청할 수 없는 경우 (붙임6) 

 * (지원금액) 월 120시간, 60일


복지로는 중앙부처 360여 개 사업 및 지자체 4천여 종의 복지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온라인 신청(50종), 복지멤버십 가입, 위기가구 도움 요청 및 부정수급 신고 등을 지원하는 사회복지분야 종합포털서비스이다.

복지로 온라인신청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지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신청자의 공동·금융인증서,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후 신청하면 된다.

보건복지부 전병왕 사회복지정책실장은 “특히 발달장애 및 가사간병 지원 복지서비스는 직접 신청이 어려운 분들의 이용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온라인 확대로 복지접근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23-06-1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00 예금을 담보로 한 신용카드 발급 가능 및 후불교통카드 기능이 결합된 체크카드 발급 금융회사 확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7 116
4399 예금통장 매매 등 불법금융광고에 속지마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2 120
4398 예방은 접종으로 시작됩니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8 150
4397 예방접종 2차까지 받으면 요양병원·시설 대면(접촉) 면회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21 65
4396 예방접종 용어변경 (정기 → 필수) 및 접종 후 부작용 관련 정보 제공 절차 신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8 36
4395 예방접종 전문가,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안전성 재확인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6 173
4394 예비 부모라면 꼭 알아야 하는 법령 조례를 소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7.25 24
4393 예비·7년차 신혼부부도 영구·국민임대주택 입주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5 42
4392 예비엄마에게 「맘편한 임신」서비스를 온라인으로 한 번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7.01 44
4391 예술 분야 취업 정보, ‘아트모아’ 누리집에서 한번에 찾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29 39
4390 예식업 분야 소비자분쟁해결기준 개정(안)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10 13
4389 예식업 분야 소비자분쟁해결기준 및 표준약관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9 13
4388 예식장 등 뷔페 음식점 및 패스트푸드점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7 122
4387 예식장, 계약금 환급 거부나 위약금 과다 청구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7 97
4386 예식장, 부대시설·서비스 등 끼워팔기 관행 여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05 15
Board Pagination Prev 1 ...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