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통계청(청장 한훈)은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 7백만명)의 고령층 진입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고령화* 대응을 위해 65세 이상 고령자를 65~74세, 75세 이상으로 세분하여 지난 10년간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를 분석하였다. * 고령자 비중(14%→20%) 도달연수 일 본: 10년 (1994년→2004년), 프랑스: 39년 (1979년→2018년) 한 국: 7년 (2018년→2025년 예상), 미 국: 15년 (2014년→2029년 예상) 고령자와 관련된 많은 자료가 65세 이상을 기준으로 작성되고 있으나, 본 보도자료에서는 고령자를 65~74세, 75세 이상으로 세분하여 인구‧가구, 건강, 노동·일자리, 소득, 참여, 노후 부문별로 다양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1. 인구․가구 ㅇ (인구) ’37년 7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전체인구의 16.0%로, 65~74세 인구(15.9%)보다 많아질 것으로 전망 ㅇ (교육정도) ’20년 고졸 이상 비중이 65~74세는 49.3%, 75세 이상은 22.8%이며, 10년 전보다 65~74세의 고졸 이상 비중은 21.7%p 증가 2. 건강 ㅇ (기대여명) ’21년 65세 기대여명은 21.6년, 75세 이상은 13.4년으로, 10년 전보다 각각 2.2년, 1.6년 증가 ㅇ (건강평가) ’22년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65~74세는 32.8%, 75세 이상은 18.9%이며, 10년 전보다 9.9%p, 5.2%p 각각 증가 3. 노동·일자리 ㅇ (취업의사) ‘22년 65~74세 59.6%가 장래 근로를 희망하였고, 75~79세는 39.4%이며, 10년 전보다 11.9%p, 11.8%p 각각 증가 ㅇ (일자리 선택기준) ’22년 65~74세, 75~79세 모두 일의 양과 시간대가 각각 33.5%, 43.1%로 가장 높았으며, 10년 전보다 5.7%p, 5.6%p 각각 증가 4. 소득 ㅇ (생활비마련) ’21년 65~74세는 근로·사업소득(54.2%), 75세 이상은 연금·퇴직급여(42.4%)가 가장 높았음 ㅇ (공적연금) ’21년 65~74세, 75세 이상의 공적연금 수급률은 각각 62.3%, 45.1%이며, ’13년보다 9.8%p, 27.0%p 각각 증가 5. 참여 ㅇ (계층의식) ’21년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 또는 ‘중’이라고 생각하는 65~74세는 53.2%, 75세 이상은 41.0%로 10년 전보다 10.5%p, 6.1%p 각각 증가 ㅇ (인터넷이용률) ’21년 60대 94.5%, 70대 이상은 49.7%로, ’15년보다 34.9%p, 31.8%p 각각 증가 6. 노후 ㅇ (노후준비) ’21년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 65~74세는 66.8%이고, 75세 이상은 42.7%이며, 준비 방법은 공적연금이 가장 많았음 ㅇ (장례방법) ’21년 65~74세의 85.8%, 75세 이상의 75.8%가 선호하는 장례방법으로 화장을 선택 한훈 통계청장은 “이번 보도자료를 통해 고령화 대응을 위한 사회 구성원(개인·가족·정부)의 역할과 관심도를 제고하고, 고령자에 대한 체계적․생산적인 정책 수립 및 지원에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통계청 2023-06-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80 당황스러운 상속세 고민, 국세청이 풀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8 10
12679 ‘예비군 훈련 불만’ 국민 목소리, 정책에 반영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09 10
12678 아동 예방접종 관리, 병역판정 신체검사 신청, 여권 재발급 신청 등 내 폰에서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1 10
12677 한국산업인력공단, 해외취업 희망 청년 대상 원스톱 지원 서비스 ‘해일로’ 개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5 10
12676 마약김밥 이제 그만!...식약처, 식품 등에 마약 표현 사용자제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10
12675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10
12674 원룸·오피스텔 등 관리비 투명화해 부당한 관리비 부담 덜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2 10
12673 노무제공자에 대한 거래상 지위남용행위 심사지침 제정안 행정예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4 10
12672 재난문자, 불필요한 수신 대폭 줄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4 10
12671 SOS! 불법사금융 피해, 1332(→3번)로 적극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10
12670 의약외품을 식품으로 혼동하게 하는 표시.광고 안 돼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5 10
12669 앞으로 코로나19 기초접종은 BA.4/5 2가백신 한 번이면 됩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30 10
12668 2023년 5월 소비자물가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02 10
12667 덩어리 치즈, 이제 마트에서 필요한 만큼 구매할 수 있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08 10
12666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및 과세특례 신고(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9.12 10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