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6월 15일(목) 비브리오패혈증 올해 첫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이번 확진자는 60대 남성으로 6월 12일 발열, 하지통증 등이 나타나 병원에서 입원치료 중 6월 15일 비브리오패혈증으로 확진되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매년 5~6월경에 발생하기 시작하여, 8~9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주로 어패류 섭취 또는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붙임 1 참고).


  여름철에는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해수와 접촉하는 기회가 늘어남에 따라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22년 비브리오패혈증 발생현황: 환자 46명, 사망자 18명 


  비브리오패혈증은 만성 간 질환자, 당뇨병, 알콜의존자 등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에서 주로 발생하며, 치사율은 50% 전후로 높기 때문에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 바닷물 접촉을 피하고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 >

간 질환자, 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알코올의존자, 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복용 중인 자, 악성종양,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병 환자, 장기이식환자, 면역결핍 환자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어패류, 게, 새우 등의 날 것 섭취를 피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만성 간질환자, 당뇨병, 알콜의존자 등의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은 치사율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비브리오패혈증 예방수칙>


 ○ 어패류는 충분히 익혀 먹는다.

 ○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접촉하지 않는다. 

 ○ 어패류 관리 및 조리를 할 때 아래와 같은 사항을 준수한다. 

   - 어패류는 5도 이하로 저온 보관한다.

   - 어패류는 85도 이상 가열처리한다. 

     * 어패류는 껍질이 열리고 나서 5분동안 더 끓이고, 증기로 익히는 경우에는 9분이상 더 요리해야 함

   - 어패류를 조리 시 해수를 사용하지 말고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 어패류를 요리한 도마, 칼 등은 반드시 소독 후 사용한다.

   - 어패류를 다룰 때 장갑을 착용한다.



[ 질병관리청 2023-06-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19 살모넬라균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크레이프 믹스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17.07.20
3618 알레르기 성분(완두콩, 겨자) 미표시한 Nomad Nutrition Caribbean Curry 카레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1.10.08
3617 금융감독원을 사칭하여 추가 신규대출은 금융법위반이라며 자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 주의 경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0.12.24
3616 2019-2020절기 인플루엔자“유행주의보 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20.03.27
3615 La Bella 헤어젤, 박테리아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19.07.22
3614 해외식품 구매대행 안전하게 이용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18.04.26
3613 모바일게임 피해급증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17.08.14
3612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7 2017.07.17
3611 잠금 단추가 쉽게 분리되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있는 버켄스탁(Birkenstock) 유아신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1.10.14
3610 5월은 겨울보다 등산 사고가 많아 조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20.05.14
3609 Eternal Ink 문신잉크, 발암 물질 허용기준 초과 검출돼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19.04.11
3608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이 검출된 무신고 수입 ‘이엑스티파워플러스’ 제품 회수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6 2017.09.05
3607 '데메칠타다라필' 검출된 수입 캔디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21.10.13
3606 4개 브랜드(Graco, Britax, Dream On Me, B.O.B) 8개 유모차 모델, 안전기준 위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7.10.31
3605 안전·표시기준 위반 순간접착제 2개 제품, 회수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7.10.27
3604 감전위험 있는 패널커넥터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7.06.02
360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2.10.∼2017.2.1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75 2017.02.20
3602 대광프라자몰 / DG프라자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22.02.24
3601 다비드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22.02.07
3600 버튼 작동 오류로 인해 감전 위험 있는 Klein Tools 검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21.07.28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