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기온이 높은 여름철(6~8)에 많이 발생하는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예방을 위해 식재료 취급주의하고 조리식품 보관온도 준수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최근 5년간(’18~’22, ’22년 잠정) 병원성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 162건 발생하였고 환자수 5,347이었으며, 이 중 6월부터 8월까지가 전체 발생의 60%(983,456)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발생장소는 음식점 69(43%), 학교급식소 45(28%), 유치원어린이집기업체 등 집단급식소 34(21%) 순으로 나타나 전체 발생 건 중 49% 집단급식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원인 식품은 무생채 등 채소류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외에는 김밥 등 복합조리식품, 육류 순이었습니다.

 

병원성대장균동물의 장 내서식하는 대장균 가운데 독소 생성병원성을 나타내는 으로 덜 숙성퇴비나 오염된 물로 인해 재배 중 채소오염시킬 수 있고, 도축 과정에서 고기오염될 수 있습니다.

 

병원성대장균은 발병 특성, 독소의 종류에 따라 5*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모든 연령층에서 감염될 수 있으나 특히, 장출혈성대장균의 경우 영유아·어린이, 노령자감염될 경우 중증으로 진행가능성높아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 장출혈성대장균(일명 햄버거병), 장병원성대장균, 장침입성대장균, 장독소형대장균, 장흡착성대장균

 

여름철 병원성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 위생관리, 식재료세척·보관·조리 등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우선 음식조리하기 전에는 비누 등 손 세정제이용 흐르는 물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을 씻어야 하며, 생고기 등을 만진 후에도 반드시 다시 씻고 조리해야 합니다.

 

, 도마 등 조리도구교차오염 방지하기 위해 육류, 생선, 채소·과일 등 식재료별구분사용해야 하며, 육류 조리도구 등을 세척할 때는 그 주변조리 없이 바로 섭취하는 식재료조리 음식은 미리 치워 세척한 물튀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육류냉장고보관할 때는 핏물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용기 담아 냉장고 가장 아래 보관하고 조리 시에는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중심온도 75, 1) 가열·조리합니다.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채소세척 한 후 실온방치하면 세척 전보다 세균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므로 세척 한 식재료바로 조리해 섭취하는 것이 좋고 바로 섭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냉장 보관해야 합니다.

특히, 집단급식소에서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채소류제공할 때는 염소살균제(식품첨가물, 100ppm) 등에 5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하고 절단 작업은 반드시 세척 후에 하여야 합니다.

 

여름철 집단급식소에서 가급적 나물, 볶음 익힌 음식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김치류잘 숙성된 김치볶은 김치제공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2시간 이내섭취하고 바로 섭취하지 않을 경우 냉장고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냉장고보관한 음식섭취할 땐 충분히 재가열한 후 섭취해야 합니다.

 

아울러 구토, 설사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이 있는 조리종사자조리참여하지 않고 증상회복된 후에도 2~3일간조리에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중독 예방을 위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일상생활에서 식중독 예방수칙 실천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여 국민안전한 식생활 환경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6-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09 포름알데히드 검출된 샴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6 2022.06.08
4008 폐렴간균 검출된 Honeywell 눈 세정제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69 2016.12.07
4007 편의점업계와 힘을 모아 메신저피싱(문자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공동 홍보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0 2020.11.25
4006 편의점 도시락, 안전기준에 적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894 2016.09.26
4005 편리한 휴대용 선풍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8.07.13
4004 편리한 카셰어링, 더욱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1 2017.09.01
4003 편리한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19.03.21
4002 편리한 전기모기채,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9 2019.08.09
4001 페인트 붓 완구 Crea-Play, 니켈 다량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4 2018.07.19
4000 페인트 벗겨지는 (주)한국몬테소리 교육용 교구 무상 교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128 2015.04.07
3999 페인트 가루 날리는 트램펄린, 자발적 회수 및 환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01 2016.07.07
3998 페룰(Ferrule) 부식으로 낙상 위험 있는 Wild Country 클라이밍 장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23.04.18
3997 페루 북부 국경지대 툼베스주 여행경보(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18.08.31
3996 퍼프린젠스 봄철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0.05.12
3995 팽이버섯 생산업체에 대한 위생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20.03.18
3994 패키지 해외여행 내 레저·체험활동 및 이동수단 안전관리 미흡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11.28
3993 패류독소 조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15 2017.03.21
3992 패류독소 조사현황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5 2017.03.06
3991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거제시 연안 일부 해역 패류독소 기준치 초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091 2016.03.25
3990 패류독소 발생 및 검사현황(거제시 연안 일부 해역 패류독소 기준이하 발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144 2016.03.17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