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기온이 높은 여름철(6~8)에 많이 발생하는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예방을 위해 식재료 취급주의하고 조리식품 보관온도 준수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최근 5년간(’18~’22, ’22년 잠정) 병원성대장균으로 인한 식중독 162건 발생하였고 환자수 5,347이었으며, 이 중 6월부터 8월까지가 전체 발생의 60%(983,456)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발생장소는 음식점 69(43%), 학교급식소 45(28%), 유치원어린이집기업체 등 집단급식소 34(21%) 순으로 나타나 전체 발생 건 중 49% 집단급식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원인 식품은 무생채 등 채소류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외에는 김밥 등 복합조리식품, 육류 순이었습니다.

 

병원성대장균동물의 장 내서식하는 대장균 가운데 독소 생성병원성을 나타내는 으로 덜 숙성퇴비나 오염된 물로 인해 재배 중 채소오염시킬 수 있고, 도축 과정에서 고기오염될 수 있습니다.

 

병원성대장균은 발병 특성, 독소의 종류에 따라 5*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모든 연령층에서 감염될 수 있으나 특히, 장출혈성대장균의 경우 영유아·어린이, 노령자감염될 경우 중증으로 진행가능성높아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 장출혈성대장균(일명 햄버거병), 장병원성대장균, 장침입성대장균, 장독소형대장균, 장흡착성대장균

 

여름철 병원성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 위생관리, 식재료세척·보관·조리 등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우선 음식조리하기 전에는 비누 등 손 세정제이용 흐르는 물30초 이상 깨끗하게 손을 씻어야 하며, 생고기 등을 만진 후에도 반드시 다시 씻고 조리해야 합니다.

 

, 도마 등 조리도구교차오염 방지하기 위해 육류, 생선, 채소·과일 등 식재료별구분사용해야 하며, 육류 조리도구 등을 세척할 때는 그 주변조리 없이 바로 섭취하는 식재료조리 음식은 미리 치워 세척한 물튀어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육류냉장고보관할 때는 핏물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용기 담아 냉장고 가장 아래 보관하고 조리 시에는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중심온도 75, 1) 가열·조리합니다.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채소세척 한 후 실온방치하면 세척 전보다 세균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므로 세척 한 식재료바로 조리해 섭취하는 것이 좋고 바로 섭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냉장 보관해야 합니다.

특히, 집단급식소에서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채소류제공할 때는 염소살균제(식품첨가물, 100ppm) 등에 5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하고 절단 작업은 반드시 세척 후에 하여야 합니다.

 

여름철 집단급식소에서 가급적 나물, 볶음 익힌 음식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김치류잘 숙성된 김치볶은 김치제공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2시간 이내섭취하고 바로 섭취하지 않을 경우 냉장고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냉장고보관한 음식섭취할 땐 충분히 재가열한 후 섭취해야 합니다.

 

아울러 구토, 설사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이 있는 조리종사자조리참여하지 않고 증상회복된 후에도 2~3일간조리에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중독 예방을 위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일상생활에서 식중독 예방수칙 실천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여 국민안전한 식생활 환경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6-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53 작은 부품 탈락으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Atoylink 목재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8.16
3652 배터리 문제로 화재 위험 있는 Zooby 차량용 베이비 모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09.07
3651 가을, 등산과 낚시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10.18
3650 불법적인 채권추심 관련 금융소비자 주의사항 금융소비자 2차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12.06
3649 전문의약품 성분이 함유된 FEG 속눈썹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3.12.19
3648 납 성분 과다 함유된 Creativity Street 단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4
3647 감전 우려 있는 UV 수건 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4
3646 뚜껑 바니시의 결함으로 인해 녹이 발생한 Faro 고추 통조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4
3645 케이블 플라스틱에 SCCPs 등을 함유한 디지털 달력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5
3644 금지 성분인 시부트라민이 함유된 Ketodiet 커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8
3643 캡사이신이 과다 함유된 Hot Chip challenge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1.08
3642 26일부터 2차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2.16
3641 의약품 성분 함유된 The Grind 운동 보조제(아이스 체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2.15
3640 미허용 감미료 검출된 Super Bubur 인스턴트 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2.29
3639 최근 일부 보험상품 불완전판매 우려 및 절판마케팅 등 과당경쟁에 대한 소비자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3.18
3638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3.19
3637 해외직구를 통한 건강식품 소비자 구매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4.01
3636 배터리 잠금장치 오작동 및 화재발생 위험 있는 전기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7.11
3635 폭염을 피해 떠난 물놀이, 예방수칙 준수로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7.12
3634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JIF 땅콩버터(16)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07.22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