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메르스 감염 주의

- 낙타 접촉 금지,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감염 예방 수칙 철저 준수 당부

-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에서 입국 후 14일 이내에 발열 및 호흡기 증상(기침, 숨가쁨 등) 발생 시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로 신고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이슬람 성지순례*(하지,Hajj, ’23년 6월 26일~7월 1일) 시기를 맞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출국자의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이하 메르스) 감염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 이슬람력 12월(순례의 달)에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성지를 순례하며 종교의례에 참가하는 것


  매년 180여 개국 200만~300만 명이 방문하던 이슬람 성지순례는 2020년부터 3년간 참여인원이 제한되어 열렸으나, 올해는 코로나19 공중보건위기상황 해제 및 각국의 출입국 조치 완화로 인해 예전 수준으로 인원이 증가*하여 감염 위험이 높아진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1천 명(’20년) → 6만 명(’21년) → 100만 명(’22년) → 200만 명 이상(’23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자의 경우 출국 전에 권장되는 예방접종*을 완료하고,  현지에서는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수막구균성수막염 등, 기타 세부사항은 www.해외감염병now.kr 참조 


  특히, 메르스는 낙타 접촉 또는 선행감염자와의 접촉이 주요 전파원인이기 때문에 현지에서 생낙타유 및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 섭취, 낙타 타기 등의 낙타 접촉을 금지하고, 진료목적 외 의료기관 방문을 자제하는 등 추가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 중 메르스 감염 관리를 위해 외교부, 주한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 및 하지(Hajj) 대행기관(재단법인 한국이슬람교)과 협력하여, 참가자를 대상으로 ➊ 예방수칙을 안내하고, ➋ 입국 시 검역을 강화하는 한편, ➌ 지역사회 조기발견을 위한 신고를 독려할 예정이다. 


  먼저, 출국 전에 국내 성지순례 참가 예정자 250명에게 하지(Hajj) 대행기관을 통해 메르스 관련 다국어 안내문을 제공하고 중동지역 여행자 주의사항 및 메르스 감염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안내문*은 감염경로, 잠복기 등 메르스 관련 기본 정보와 여행 전 주의할 사항, 여행지에서 감염 예방법, 여행 후 증상 발현 시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신고 등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 6개 국어(아랍어, 인도네시아어, 우즈베크어, 러시아어, 영어, 한국어)로 제공 (붙임 3 참고)


  또한, 현지 도착 시 사우다아라비아 방문자(’23.6.14.~’23.7.15.)를 대상으로 메르스 감염예방수칙 관련 SMS 안전 문자를 외교부에 협조하여 발송할 예정이다.


  중동지역 입국자를 대상으로 검역 시 발열 체크 및 건강상태질문서(또는 Q-CODE :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 징구 등을 통해 유증상자가 확인될 경우 검역소에서 검사를 실시할 예정으로, 입국 시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있다면 검역관에게 즉시 알릴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입국 후 14일 동안 총 4회의 감염예방주의 문자메시지를 발송하여 자발적인 신고를 독려하고, 의료기관에는 DUR-ITS*를 통한 해외여행력 확인과 더불어 해당 지역 방문이력이 있는 호흡기 유증상자에 대해서 면밀한 조사 및 신속한 신고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 DUR(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 ITS(해외여행력정보제공시스템) 


  질병관리청은 중동지역 방문 후 의심증상이 있으면 언제라도 문의와 신고가 가능한 콜센터(☎ 1339)를 24시간 운영하고 있으므로, 중동지역 방문자 중 귀국 후 14일 이내에 발열 및 호흡기증상  발생 시 콜센터(☎ 1339)로 연락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내 메르스 발생 보고는 2018년 1명 이후로는 없지만, 중동 지역에서의 메르스 발생은 지속 보고 되고 있으므로,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중동지역 방문자 주의 안내, ▲입국자 특별 검역, ▲콜센터 운영 및 의료기관 정보 공유, ▲격리병상 운영, ▲즉각대응팀 대기 등을 통한 면밀한 감시로 메르스 조기 발견 및 지역사회 전파 차단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 (확진자 발생) ´20년 65명(사우디61명) → ’21년 20명(사우디18명) → ´22년 17명(사우디 10명) → ´23년(5월기준) 1명(사우디1명) (붙임 1 참고)



[ 보건복지부 2023-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91 가상자산 투자를 권하는 유사투자자문서비스 연락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6 2023.03.20
3690 가상통화 투자설명회를 통한 코로나19 확산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0.09.07
3689 가소제 검출‘증류주(酒)’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17.12.29
3688 가스 누설 위험 있는 Russell Hobbs 가스레인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09.08
3687 가스 누출 및 화재 위험 있는 Optimus 휴대용 가스스토브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4 2022.11.15
3686 가스가 누설되는 Dometic 차량용 가스쿡탑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1.11.03
3685 가스레인지 과열방지장치의 정상작동을 차단하는 센서캡 유통·판매 중지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8 2017.07.18
3684 가스보일러 가동 전, 철저한 점검으로 사고 예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0.11.13
3683 가습기살균제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살생물제 안전관리 법률 등 제·개정 정부안 확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4 2017.08.08
3682 가연성 기준 위반 우려가 있는 Helly Hansen 남성용 상의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3.03.16
3681 가연성 기준에 미흡해 쉽게 불 붙을 수 있는Amascan 장난감 가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2.08.23
3680 가연성 및 끼임 사고 위험 있는 California Beach Co. 유아용 플레이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8.24
3679 가연성 요건 미준수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Kids Tales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2.08.24
3678 가연성 요건 미준수로 인해 화상 위험 있는 아동용 목욕가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2.07.14
3677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Hatley 유아용 잠옷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23.04.07
3676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2.12.09
3675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2.12.09
3674 가연성 요건 미준수하여 화상 위험 있는 Kidoozie 유아용 놀이 텐트(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2.12.09
3673 가연성 표준 미준수한 Newcosplay 동물잠옷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23.04.10
3672 가열된 물이 새어나와 화상 위험 있는 Dretec 전기포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1.06.24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