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시 메르스 감염 주의

- 낙타 접촉 금지,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감염 예방 수칙 철저 준수 당부

-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에서 입국 후 14일 이내에 발열 및 호흡기 증상(기침, 숨가쁨 등) 발생 시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로 신고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이슬람 성지순례*(하지,Hajj, ’23년 6월 26일~7월 1일) 시기를 맞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출국자의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이하 메르스) 감염 주의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 이슬람력 12월(순례의 달)에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성지를 순례하며 종교의례에 참가하는 것


  매년 180여 개국 200만~300만 명이 방문하던 이슬람 성지순례는 2020년부터 3년간 참여인원이 제한되어 열렸으나, 올해는 코로나19 공중보건위기상황 해제 및 각국의 출입국 조치 완화로 인해 예전 수준으로 인원이 증가*하여 감염 위험이 높아진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1천 명(’20년) → 6만 명(’21년) → 100만 명(’22년) → 200만 명 이상(’23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자의 경우 출국 전에 권장되는 예방접종*을 완료하고,  현지에서는 손씻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 수막구균성수막염 등, 기타 세부사항은 www.해외감염병now.kr 참조 


  특히, 메르스는 낙타 접촉 또는 선행감염자와의 접촉이 주요 전파원인이기 때문에 현지에서 생낙타유 및 익히지 않은 낙타고기 섭취, 낙타 타기 등의 낙타 접촉을 금지하고, 진료목적 외 의료기관 방문을 자제하는 등 추가적인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이슬람 성지순례 기간 중 메르스 감염 관리를 위해 외교부, 주한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 및 하지(Hajj) 대행기관(재단법인 한국이슬람교)과 협력하여, 참가자를 대상으로 ➊ 예방수칙을 안내하고, ➋ 입국 시 검역을 강화하는 한편, ➌ 지역사회 조기발견을 위한 신고를 독려할 예정이다. 


  먼저, 출국 전에 국내 성지순례 참가 예정자 250명에게 하지(Hajj) 대행기관을 통해 메르스 관련 다국어 안내문을 제공하고 중동지역 여행자 주의사항 및 메르스 감염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안내문*은 감염경로, 잠복기 등 메르스 관련 기본 정보와 여행 전 주의할 사항, 여행지에서 감염 예방법, 여행 후 증상 발현 시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신고 등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 6개 국어(아랍어, 인도네시아어, 우즈베크어, 러시아어, 영어, 한국어)로 제공 (붙임 3 참고)


  또한, 현지 도착 시 사우다아라비아 방문자(’23.6.14.~’23.7.15.)를 대상으로 메르스 감염예방수칙 관련 SMS 안전 문자를 외교부에 협조하여 발송할 예정이다.


  중동지역 입국자를 대상으로 검역 시 발열 체크 및 건강상태질문서(또는 Q-CODE :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 징구 등을 통해 유증상자가 확인될 경우 검역소에서 검사를 실시할 예정으로, 입국 시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있다면 검역관에게 즉시 알릴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입국 후 14일 동안 총 4회의 감염예방주의 문자메시지를 발송하여 자발적인 신고를 독려하고, 의료기관에는 DUR-ITS*를 통한 해외여행력 확인과 더불어 해당 지역 방문이력이 있는 호흡기 유증상자에 대해서 면밀한 조사 및 신속한 신고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 DUR(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 ITS(해외여행력정보제공시스템) 


  질병관리청은 중동지역 방문 후 의심증상이 있으면 언제라도 문의와 신고가 가능한 콜센터(☎ 1339)를 24시간 운영하고 있으므로, 중동지역 방문자 중 귀국 후 14일 이내에 발열 및 호흡기증상  발생 시 콜센터(☎ 1339)로 연락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내 메르스 발생 보고는 2018년 1명 이후로는 없지만, 중동 지역에서의 메르스 발생은 지속 보고 되고 있으므로,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중동지역 방문자 주의 안내, ▲입국자 특별 검역, ▲콜센터 운영 및 의료기관 정보 공유, ▲격리병상 운영, ▲즉각대응팀 대기 등을 통한 면밀한 감시로 메르스 조기 발견 및 지역사회 전파 차단에 힘쓸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 (확진자 발생) ´20년 65명(사우디61명) → ’21년 20명(사우디18명) → ´22년 17명(사우디 10명) → ´23년(5월기준) 1명(사우디1명) (붙임 1 참고)



[ 보건복지부 2023-06-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71 RUBIE’S, 목졸림 위험있는 어린이 코스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4 2017.06.02
3870 RXBAR 프로틴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 땅콩 미표기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9.04.11
3869 RXBAR 프로틴바,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9.06.14
3868 S&W 통조림,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2.07
3867 SA 모바일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2.01.26
3866 Sacla 소스에 알레르기 성분이 미표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7 2020.02.17
3865 Safety-1st, 쉽게 파손되는 유아용 안전문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9 2017.06.02
3864 Satelite City 강력접착제,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0 2020.05.21
3863 Satelite City 강력접착제,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0.05.21
3862 Satelite City 강력접착제,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0.05.21
3861 SCCPs 함유해 건강 및 환경 위험 있는 1More 무선이어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07.19
3860 Selecta Spielzeug AG 영유아용 모빌(Limbo Mini Mobile),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9 2017.12.06
3859 Selecta 당나귀모양 완구(Pia lah),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17.12.06
3858 SENJO COLOR 바디페인트 화장품, 피부알레르기 유발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19.06.14
3857 SFTS 환자‧사망자 증가에 따른 감염주의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18.05.31
3856 Shan Shi 간장, 이물 혼입되어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9 2018.09.07
3855 Shore Lunch 생선 튀김가루(Breading/Batter Mix)에서 살모넬라균 검출돼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8 2017.12.26
3854 SHRI SHIVA Foods社, 향신료(MTR Sambar Powder)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4 2017.04.10
3853 Sick Science브랜드 비눗방울놀이 기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7.07.10
3852 Siroca 전기오븐 2종, 누전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9 2017.10.27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