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우리나라 국민과 외국인에게 발급되는 국가신분증의 운영 표준이 제정된다.

 

행정안전부는 올해 초부터 신분증 소관부처*들과 협의하여 국가신분증 운영 표준()’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 외교부, 법무부, 국가보훈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경찰청

표준() 적용 대상은 정부가 발급하는 주민등록증, 청소년증, 국가보훈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 등 7가지이다.

행안부는 68일부터 628일까지 행정예고를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하고 신분증 표준을 확정·시행할 계획이다.

 

지금은 신분증마다 운영 기준과 방식이 달라, 일부 불편과 비효율이 발생하는데, 이번에 신분증 표준을 제정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신분증에 기재되는 한글 성명의 최대 글자 수가 주민등록증은 18, 청소년증·운전면허증·장애인등록증은 10, 여권은 8, 이달 초까지의 국가유공자증은 14자로 각기 달랐다.

로마자 성명의 경우, 여권과 외국인등록증은 37자로 국제표준에 부합하나, 운전면허증과 장애인등록증에는 20자까지만 기재되고 있다. 앞으로는 모든 국가신분증에서 국민과 외국인의 성명이 온전하게 표기되도록 할 계획이다.

 

신분증 발급 신청 때 제출하는 사진의 규격도 가로 3.5cm, 세로 4.5cm 여권용 사진으로 모두 표준에 맞춘다.

현재, 대부분의 신분증은 여권용 사진으로 제출되나, 일부 신분증의 경우 다른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운전면허증의 유효기간은 10년이지만, 일부 신분증은 유효기간이 없어 10, 20년이 지난 신분증도 쓰이고 있다.

오래된 신분증으로 인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국가신분증 운영기관의 장에게 신분증이 주기적으로 갱신되도록 노력하게 하였다.

 

한편, 표준()65()부터 개편된 국가보훈등록증에 먼저 적용되었으며, 각 신분증의 소관부처와 함께 표준이 적용되도록 지속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신분증 소관부처는 법령 개정, 예산 확보, 전산시스템 보완 등 준비가 필요한 경우에는 표준 적용을 일시 유보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국가신분증 운영 표준으로 신분증을 사용하는 우리 국민과 외국인이 더 편리해지고, 행정처리의 효율성과 정확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가신분증 운영 표준안과 내용은 국민참여입법센터(http://opinion.lawmaking.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의견은 우편, 국민참여입법센터를 통해 제출할 수 있다.

 

정선용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여러 부처가 각기 제도나 서비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불편함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정부혁신이라며, “행정제도와 민원제도 전반을 대상으로 정비를 추진해 이용 편의성과 행정 효율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23-06-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50 현대·기아·벤츠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2 13
12649 주민등록증, 모바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14
12648 품질 비교정보, 소비자의 제품 구매·선택 결정에 영향력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13
12647 2022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19
12646 [금융꿀팁] (146) 신입사원의 금융상품 현명하게 가입하기(시리즈 제2편 예적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24
12645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19
12644 “보훈보상대상자도 가족수당 등 지원방안 마련” 민원 예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0 33
12643 소아(5-11세)도 기초접종으로 BA.4/5 2가백신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9 13
12642 복지로를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 사회서비스 45종에서 50종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9 21
12641 시각장애인 혼자서도 금융상품 가입 가능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9 24
12640 5월 국외여행 관련 소비자상담, 전년 동월 대비 4배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6 17
12639 고령자 특별기획 보도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6 17
12638 정신질환, 가족교육으로 함께 극복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6 16
12637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6 14
12636 할부거래법 시행령·시행규칙 등 개정안 입법(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5 21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