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최근 기온상승으로 세균성 식중독 발생 증가하고 있어 가정과 음식점 등에서 개인 위생관리 식품 보관온도 준수  식중독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올해 1월부터 4까지 접수 식중독 의심신고는 총 198건으로 현재 원인 조사 진행중이며최근 5(’18~’22) 같은 기간에 비해 병원성대장균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이하 퍼프린젠스)  세균성 식중독균에 의한 신고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원인 식품이 확인된 사례 중에는 부주의하게 조리제조된 샐러드겉절이 등 익히지 않은 채소류 조리음식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병원성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예방하려면 날 것으로 섭취하는 채소류 세척 후 냉장보관 하거나 바로 섭취하고대량으로 조리하는 경우에는 염소계 소독제(100ppm) 5분가량 담갔다 2~3회 이상 흐르는 수돗물에 헹궈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 달걀 만진 뒤 손을 씻지 않고 음식을 조리하거나 다른 조리기구를 만져 생기는 교차오염으로 인해 주로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살모넬라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달걀, 닭 등 가금류를 취급한 뒤에는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로 손을 씻은 후 조리하여야 하며 조리 시에는 중심 온도 75에서 1분 이상 가열 후 섭취하여야 합니다.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은 씻지 않은 맨손으로 조리한 음식을 실온에 방치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시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는  청결한 환경에서 조리하고 조리 후에는 냉장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퍼프린젠스균은 산소를 싫어하고 아미노산이 풍부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제육볶음갈비찜 등을 대량으로 조리하고 그대로 실온에 방치하면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퍼프린젠스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가열조리 후 제공 전까지 가온 보관하거나 소분해 빠르게 식힌 후 냉장 보관하는 등 실온에 방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올해 여름은 평년보다 더울 것이라는 기상 예보에 따라 세균성 식중독 발생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또한,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식중독 여전히 유행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비누 등 세정제로 손씻기익혀먹기  식중독 예방수칙*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씻기육류, 달걀류 등 조리 시 중심온도 75에서 1분이상 익혀먹기지하수는 끓여 마시기식재료조리기구는 깨끗이 세척소독하기 날음식과 조리음식은 칼도마 구분사용하기냉장식품은 5이하, 냉동식품은 18이하에서 보관하기

 

 식약처는 앞으로도 계절에 따라 증가할 수 있는 식중독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국민의 안전한 식생활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5-2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9 우유 성분 미표기한 비타민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4 2017.03.06
388 인조손톱, 다수 제품 안전성에 문제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4 2017.07.04
387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5.27~2016.6.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5 2016.06.07
386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4.22∼2016.4.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6 2016.05.02
385 Little Giant Velocity, LT, Liberty 브랜드의 접이식 사다리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6 2017.04.26
384 마감처리 불량에 따라 손 열상 위험있는 다이소 'NEW 양푼이' 회수·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6 2017.07.10
383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2016.7.15~2016.7.21)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7 2016.07.25
382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8.12.∼2016.8.1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57 2016.08.22
381 부상 위험 있는 No.CH-MX 휴대용 블렌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7 2023.04.20
380 날카로운 하단부에 전선손상 및 감전 우려 있는 SEKO 전기 티팟·트레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9 2023.04.20
379 주간제품안전동향(2016.07.18~ 2016.07.24)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0 2016.10.10
378 스토케(Stokke) 신생아용 의자(Tripp Trapp Newborn Set), 낙상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2 2019.09.20
377 재료 결함으로 베임 우려 있는 Mammut 눈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2 2023.04.20
376 핸들바 파손위험 있는 킥보드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6 2017.04.27
375 일부 동충하초 제품,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7 2017.02.03
374 2016년 4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69 2016.06.01
373 2016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0 2016.06.01
372 "원금과 고수익을 동시에 보장" 한다고 유혹하는 유사수신 업체 투자권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0 2020.11.23
371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5.20∼2016.5.2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1 2016.05.30
370 작동불량 가능성이 있는 무선 경보장치(Wireless personal panic devices) 판매중단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71 2017.03.06
Board Pagination Prev 1 ...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