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65세 이상 고령자식품첨가물 섭취 수준평가한 결과, 인체 위해 우려가 없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최근 식품첨가물과 이를 사용한 식품 생산·수입량증가*함에 따라 평가원인구 계층별**선호하는 가공식품사용식품첨가물섭취 수준안전성조사(’21~’23)하고 있습니다.

 

* 가공식품 생산·수입 실적(): (’19) 53.9(6.2%)(’20) 54.8(1.6%)(’21) 61.1(11.5%)

  ➋ 식품첨가물 생산·수입 실적(): (’19) 3.2(4.2%)(’20) 3.6(10.2%)(’21) 3.8(16.9%)

** (‘21) 어린이 (’22) 고령자 (‘23) 1인 가구

 

’22년에는 고령자식품첨가물의 섭취 수준조사하기 위해 고령자 선호하는 김치류, 기타수산물가공품류, 발효주류 등 식품유형 60*(붙임 1, 1,934개 제품)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해당 식품유형많이 사용감미료, 보존료 식품첨가물 28(붙임 2)에 대한 섭취 수준 조사했습니다.

 

* 국민건강영양조사('18~'20)에 따른 고령자의 섭취량과 섭취빈도 등을 고려하여 김치류, 기타 수산물가공품류, 발효주류, 발효유류, 두유류 등 60종 선정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 조사 결과, 감미료 등 식품첨가물일일추정노출량*0.0~67.2 /kg bw/day이며, 인체위해도** 평가 결과 일일섭취허용량***0.5%이하 인체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안전수준으로 확인했습니다(붙임 2 참조).

* 일일추정노출량 = Σ〔개인별 일일 식품섭취량 × 해당식품 중 식품첨가물 함유량 ÷ 개인별 체중/ 인원수

** 위해도(%) = [일일추정노출량(mg/kg bw/day)/일일섭취허용량(ADI, mg/kg bw/day)]×100

***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에 대해 평생 동안 섭취해도 위해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인당 1일 최대섭취허용량

 

또한, 조사 대상 식품 섭취자 중 고섭취군(95 백분위수) 대상으로 위해도 분석결과 5.5% 이하안전한 수준이었으며(붙임 3 참조), 김치류 등 가공식품 총 1,934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결과 모두 사용기준적합했습니다.

 

그 밖에도 지역별 고령자의 식품첨가물 섭취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도시 지역에서 거주하는 고령자의 스테비올배당체(감미료) 섭취량그 외 지역보다 2배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식품첨가물섭취 수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았습니다.

 

아울러, 식약처는 소비자의 선택권 보장을 위해 식품 등의 제조·가공 시 사용하는 식품첨가물의 종류, 용도 등을 제품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소비자제품 구매 시 식품첨가물 사용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평가하는 등 과학적 근거기반으로 국민식품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5-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91 재가 의료급여, 73개 시·군·구로 확대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14
12690 ‘23년 5월 주택 통계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30 20
12689 지역별 탄소배출·흡수량 한눈에 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1
12688 우리 국민 당류 섭취량은 WHO 권고기준 미만…6~18세 어린이·청소년 3명 중 1명은 기준 초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4
12687 내 주변 민방위 대피소, 지도앱과 민간포털에서 쉽고 빠르게 찾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6
12686 이륜자동차 소음증폭 막는다…소음·진동 관리법령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0
12685 행정자료 연계로 살펴본 주택 소유 현황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5
12684 지난해 코로나19 외 주요 감염병 6.6%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0
12683 공인중개사 자격증 양도ㆍ양수 알선만 해도 처벌받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5
12682 7월 1일부터 영화관람료도 문화비 소득공제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5
12681 캠핑카 오·폐수, 주유소에서 깨끗하게 처리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14
12680 주택ㆍ중고차 미끼용 가짜매물 범정부 특별단속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9 21
12679 앱 마다 다르게 번역되는 공공표지판 실제 사용되는 표현으로 정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8 18
12678 편의점 도시락, 고기·반찬 양 제품별로 차이 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8 17
12677 2022 상반기 급성심장정지조사 통계 공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28 13
Board Pagination Prev 1 ...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