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65세 이상 고령자식품첨가물 섭취 수준평가한 결과, 인체 위해 우려가 없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최근 식품첨가물과 이를 사용한 식품 생산·수입량증가*함에 따라 평가원인구 계층별**선호하는 가공식품사용식품첨가물섭취 수준안전성조사(’21~’23)하고 있습니다.

 

* 가공식품 생산·수입 실적(): (’19) 53.9(6.2%)(’20) 54.8(1.6%)(’21) 61.1(11.5%)

  ➋ 식품첨가물 생산·수입 실적(): (’19) 3.2(4.2%)(’20) 3.6(10.2%)(’21) 3.8(16.9%)

** (‘21) 어린이 (’22) 고령자 (‘23) 1인 가구

 

’22년에는 고령자식품첨가물의 섭취 수준조사하기 위해 고령자 선호하는 김치류, 기타수산물가공품류, 발효주류 등 식품유형 60*(붙임 1, 1,934개 제품)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해당 식품유형많이 사용감미료, 보존료 식품첨가물 28(붙임 2)에 대한 섭취 수준 조사했습니다.

 

* 국민건강영양조사('18~'20)에 따른 고령자의 섭취량과 섭취빈도 등을 고려하여 김치류, 기타 수산물가공품류, 발효주류, 발효유류, 두유류 등 60종 선정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 조사 결과, 감미료 등 식품첨가물일일추정노출량*0.0~67.2 /kg bw/day이며, 인체위해도** 평가 결과 일일섭취허용량***0.5%이하 인체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안전수준으로 확인했습니다(붙임 2 참조).

* 일일추정노출량 = Σ〔개인별 일일 식품섭취량 × 해당식품 중 식품첨가물 함유량 ÷ 개인별 체중/ 인원수

** 위해도(%) = [일일추정노출량(mg/kg bw/day)/일일섭취허용량(ADI, mg/kg bw/day)]×100

***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에 대해 평생 동안 섭취해도 위해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인당 1일 최대섭취허용량

 

또한, 조사 대상 식품 섭취자 중 고섭취군(95 백분위수) 대상으로 위해도 분석결과 5.5% 이하안전한 수준이었으며(붙임 3 참조), 김치류 등 가공식품 총 1,934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결과 모두 사용기준적합했습니다.

 

그 밖에도 지역별 고령자의 식품첨가물 섭취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도시 지역에서 거주하는 고령자의 스테비올배당체(감미료) 섭취량그 외 지역보다 2배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식품첨가물섭취 수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았습니다.

 

아울러, 식약처는 소비자의 선택권 보장을 위해 식품 등의 제조·가공 시 사용하는 식품첨가물의 종류, 용도 등을 제품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소비자제품 구매 시 식품첨가물 사용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평가하는 등 과학적 근거기반으로 국민식품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5-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85 고령자용.암환자용 맞춤형 특수식품 나온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1.30 15
3784 고령자용 지팡이 비교정보 생산 결과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0 123
3783 고령자에 대해 계약금의 70%까지 주택도시기금 융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4 96
3782 고령자·청년·중소기업 근로자를 위한 특화 주택을 지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15 37
3781 고령자·주거취약계층 대상 맞춤형 주거복지 강화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8 9
3780 고령자-유병자-장애인-외국인 등을 위한 금융서비스 개선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22 88
» 고령자, 식품첨가물 섭취 평가 결과..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6
3778 고령자, 미끄러운 바닥재에서 가장 많이 다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2 82
3777 고령자 특별기획 보도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변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6 17
3776 고령자 안전사고 10건 중 6건이 낙상사고로 나타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30 11
3775 고령자 낙상사고 주로 ‘침대’에서 발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2 92
3774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제도를 활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8.09 9
3773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의 인지능력진단, 전국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에서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21
3772 고령운전자 교통안전교육의 인지능력진단, 전국 보건소의 치매안심센터에서 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10
3771 고령소비자에 대한 전자상거래·키오스크 등의 비대면 거래 교육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09 18
Board Pagination Prev 1 ...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