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하 평가원)65세 이상 고령자식품첨가물 섭취 수준평가한 결과, 인체 위해 우려가 없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최근 식품첨가물과 이를 사용한 식품 생산·수입량증가*함에 따라 평가원인구 계층별**선호하는 가공식품사용식품첨가물섭취 수준안전성조사(’21~’23)하고 있습니다.

 

* 가공식품 생산·수입 실적(): (’19) 53.9(6.2%)(’20) 54.8(1.6%)(’21) 61.1(11.5%)

  ➋ 식품첨가물 생산·수입 실적(): (’19) 3.2(4.2%)(’20) 3.6(10.2%)(’21) 3.8(16.9%)

** (‘21) 어린이 (’22) 고령자 (‘23) 1인 가구

 

’22년에는 고령자식품첨가물의 섭취 수준조사하기 위해 고령자 선호하는 김치류, 기타수산물가공품류, 발효주류 등 식품유형 60*(붙임 1, 1,934개 제품)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해당 식품유형많이 사용감미료, 보존료 식품첨가물 28(붙임 2)에 대한 섭취 수준 조사했습니다.

 

* 국민건강영양조사('18~'20)에 따른 고령자의 섭취량과 섭취빈도 등을 고려하여 김치류, 기타 수산물가공품류, 발효주류, 발효유류, 두유류 등 60종 선정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 조사 결과, 감미료 등 식품첨가물일일추정노출량*0.0~67.2 /kg bw/day이며, 인체위해도** 평가 결과 일일섭취허용량***0.5%이하 인체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없는 안전수준으로 확인했습니다(붙임 2 참조).

* 일일추정노출량 = Σ〔개인별 일일 식품섭취량 × 해당식품 중 식품첨가물 함유량 ÷ 개인별 체중/ 인원수

** 위해도(%) = [일일추정노출량(mg/kg bw/day)/일일섭취허용량(ADI, mg/kg bw/day)]×100

***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에 대해 평생 동안 섭취해도 위해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1인당 1일 최대섭취허용량

 

또한, 조사 대상 식품 섭취자 중 고섭취군(95 백분위수) 대상으로 위해도 분석결과 5.5% 이하안전한 수준이었으며(붙임 3 참조), 김치류 등 가공식품 총 1,934에 대한 식품첨가물 분석 결과 모두 사용기준적합했습니다.

 

그 밖에도 지역별 고령자의 식품첨가물 섭취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도시 지역에서 거주하는 고령자의 스테비올배당체(감미료) 섭취량그 외 지역보다 2배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식품첨가물섭취 수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않았습니다.

 

아울러, 식약처는 소비자의 선택권 보장을 위해 식품 등의 제조·가공 시 사용하는 식품첨가물의 종류, 용도 등을 제품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소비자제품 구매 시 식품첨가물 사용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식품첨가물 섭취 수준평가하는 등 과학적 근거기반으로 국민식품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5-1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05 복잡한 지하상가, 실내 내비게이션으로 길찾기 쉬워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25 10
12604 절수형 변기, 제품별로 세척성능·절수효과 등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1.25 10
12603 올해 4등급 경유차 조기폐차 본격적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20 10
12602 잠자는 퇴직연금 확인하고 찾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8 10
12601 시각·청각장애인용 맞춤형 TV 2차 신청 받는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03 10
12600 국토부 공공택지 발표지역 6곳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31 11
12599 겨울철 대설‧한파에 총력대응 추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15 11
12598 농촌지역 활성화 하려면 경제적 지원과 지방 공교육 강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8 11
12597 2019년에도 민자고속道 통행료 인하 지속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29 11
12596 문화누리카드 지원금 1만 원 인상으로 선택의 폭 확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30 11
12595 2019년 1월 소비자 빅데이터 트렌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0 11
12594 강원남부지역, 성폭력 등 피해자에 대한 신속한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2 11
12593 점자 주민등록증 발급대상 모든 시각장애인으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7 11
12592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2.25% 상승…3월 1일부터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7 11
12591 저소득층, 자활장려금 도입으로 소득 최대 42만 원 늘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2.27 11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