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농막 불법 증축, 별장 사용 등 법을 위반하는 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농지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하여 입법예고(2023.5.12.6.21.)를 한다고 밝혔다.

 

  농막은 농작업에 직접 필요한 농자재 보관, 수확 농산물 간이처리 또는 농작업 중 잠깐 휴식을 취하기 위해 설치하는 시설(연면적 20이하)로서 주거는 할 수 없는 시설이다.

 

  최근 감사원은 전국적인 가설건축물(농막) 설치 및 관리실태 감사를 실시(2022 412)하고 농막 형태기준 마련 등 농막 설치요건 보완 등이 필요함을 농식품부에 통보하였다.

 

  이에 감사원 감사결과 지적된 사항과 그동안 지자체 등이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건의한 사항들을 바탕으로 농지법령 개정을 추진한다. 농지법상 농막 관련 규정을 명확하게 정비하여 농막이 입법 취지에 맞게 활용되도록 하는 한편, 지자체의 농막 사후관리의 한계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이다.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농막은 전원주택, 별장 등 주거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음에도 그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지자체가 사후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농막에서의 주거를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였다.

 

  특히, 소방 기준을 적용받지 않는 가설건축물인 농막에서의 주거는 화재 등 안전사고에 취약하며, 1가구 2주택 회피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농막으로 전입 신고하거나 농작업 중 일시 휴식을 벗어나는 행위(야간 취침, 숙박, 농작업 없는 여가 시설 활용 등)를 하는 경우 또는 내부 휴식 공간이 바닥면적의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거로 판단하게 하여 농막이 입법 취지에 맞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농막 설치 시 농지로 원상복구가 가능한 건축법상 가설건축물로 신고하도록 하였다. 이는 농막을 건축물로 신고하여 농지가 훼손되거나 영구적으로 별장 등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가설건축물로 신고된 경우에는 건축법 3년마다 불법증축 등 위반사항을 확인하게 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농지법과 교차점검이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농막이 불법 증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법상 연면적 산정 시 제외되는 데크, 테라스 등 부속시설이 농막의 연면적에 포함되고 있음을 농지법령에 명확하게 명시하였다. 그간 업무편람이나 지침, 해석사례 등을 바탕으로 운영해오던 연면적 규정을 농지법령에 구체적으로 규정하여 현장 업무에 혼란이 없도록 한 조치이다.

 

  마지막으로 소규모 농지에 별장 등 사실상 주거목적으로 농막을 설치하거나 대규모 농지를 잘게 쪼개어 주거용 불법농막 단지를 형성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비농업인에 한해 농지 면적에 따른 농막 면적 기준을 마련하였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번 농지법 시행규칙 개정 내용과는 별개로 최근 농막이 많이 설치되고 있는 지역을 위주로 지자체와 합동으로 농막 설치실태를 점검(2023.3.6.3.24.)하였다.

 

  그 결과, 총 점검대상 252개 농막 중 51%에 해당하는 129개 농막이 주거용으로 불법 증축되었거나 농사는 제대로 짓지 않고 정원이나 주차장 등으로 불법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이번 점검 결과와 감사원 감사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농지에 대한 농지대장 정비를 통해 농막 설치실태를 파악해 나갈 것이며 관련 부처와의 협업 등을 통해 철저히 사후관리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농식품부 박수진 농업정책관은 이번 제도개선으로 미흡한 농막 규정을 보완하여 가설건축물인 농막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한편, 현장에서 사후관리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농림축산식품부 2023-05-1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95 전화-인터넷-홈쇼핑 등을 통한 금융상품 판매관행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70
12694 안과 관련 소비자피해,‘백내장’등 노인성 질환 부작용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75
12693 할부거래법 개정안에 대한 문제제기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108
12692 공공아이핀, 꼭 필요한 곳에만 사용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105
12691 「노인장기요양보험법」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83
12690 신규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실.경보설비 등 설치 의무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131
12689 어르신 겨울건강을 위한 맞춤복지 10월 인플루엔자 무료접종이 가까워집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86
12688 체외수정 시 이식 배아 수 최대 5개에서 3개로 줄인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152
12687 ‘귀뚜라미’, 이제 먹거리로 즐긴다 !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3 154
12686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의 불건전 자기매매 근절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01
12685 9월 4일부터 신협, 수협, 새마을금고에 가입한 연금정보도 '통합연금포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96
12684 1월 대비 양파 판매가격 상승률 가장 높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29
12683 LG전자㈜, 스마트폰 G2 자발적 무상 수리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151
12682 롯데네슬레코리아㈜, 사은품 보온병 대체상품으로 교환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94
12681 인감 제도’, 주민이 편리한 방향으로 대폭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7 88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