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엠폭스 5월 1주(4.30~5.6) 확진환자 16명 발생

- 국내발생 누적 확진환자 60명, 국내 감염 추정 환자 54명 

-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신고 및 모르는 사람과의 성접촉 삼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5월 3일 엠폭스 발생현황 발표 이후 6명(#55~60)의 추가 확진환자가 발생*하여 5월 1주간 엠폭스 확진환자는 16명이며 현재까지 국내 발생 누적 확진환자는 총 60명이라고 밝혔다. 

   * 5월 4일 5명, 5월 5일 1명




  5월 1주 확진환자 거주지역*은 서울(11명), 경기(2명), 인천·부산·광주(1명)순으로 수도권에서의 발생이 많았고, 국적**은 내국인 14명, 외국인 2명이다. 

  * 환자 거주지역(누적): 서울 30명, 경기 12명, 인천 3명, 경남 3명, 대구 3명, 경북 2명, 대전 1명, 전남 1명, 강원 1명, 충북 1명, 충남 1명, 부산 1명, 광주 1명

  ** 국적(누적): 내국인 56명, 외국인 4명


  인지경로를 살펴보면 의심증상 발생 후 본인이 신고한 사례가 11건, 의료기관 신고가 5건이었다. 

  * 인지경로(누적) : 본인 신고 사례 38건, 의료기관 신고 21건, 환자 역학조사 중 확인된 밀접접촉자 1건


  주간 신규환자의 추정 감염경로는 모두 최초 증상 발현 전 3주 이내 해외 여행력이 없거나 관련성이 없어 국내 감염으로 추정되며 성접촉에 의한 감염이었다.

  ※ 추정 감염경로(누적) : 국내 감염 추정 사례 54건, 해외 유입 및 관련 사례 6건

  동 환자들의 주요 임상증상은 항문·생식기 통증을 동반한 국소 피부병변(궤양, 종창, 발진)으로 이외 발열, 오한, 근육통, 림프절비대 등이 확인되었다.

  그간 누적 확진환자 60명 중 남성이 58명(96.6%)이었으며 20대가 10명(16.6%), 30대 42명(70.0%), 그 외는 40~50대이다. 


  또한, 최초 증상 발생 전 3주 이내 익명의 모바일 앱 등을 통한 성접촉이 있었던 경우가 58명(96.6%)이었으며 이 중 51명은 모르는 사람과의 성접촉이 확인되었다. 


  국내 발생 환자는 대부분 경증으로 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엠폭스 치료제 사용 환자는 32명이다. 현재 32명이 입원 치료 중이고 28명은 격리해제되어 퇴원하였으며 후유증 보고 및 접촉자 중 추가 확진사례는 현재까지는 없다.  


  방역당국은 엠폭스 진단, 치료제 확보 및 공급, 백신 접종 확대, 전담병상 지정까지 의료대응 체계도 구축하였으며, 적극적인 증상 홍보 및 신고 독려, 예방수칙 제작·배포, 고위험시설 지도 및 안내 등 위험소통을 강화하여 전파 차단 및 접촉자 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오늘부터 접촉자 뿐만 아니라 고위험군에 대한 노출 전 예방접종을 확대 실시한다. 이번 접종계획은 수두·대상포진분야 전문가 자문회의(4.27.), 예방접종전문위원회(4.28)를 거쳐 수립하였다. 

  감염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이 접종대상이며, 2세대 백신 보다 효과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3세대 백신(진네오스)을 이용하여 피내접종을 1회 시행한다


  * 백신의 감염 예방효과는 86%로 고위험군의 감염위험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 확인(Nature Medicine, 2023), 이상반응은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접종부위 통증, 주사부위 발적, 부기, 가려움증 등 경증이 대부분을 차지(미국 FDA, 2021)


  예약방법과 접종기관 목록은 고위험군에게 별도로 안내하여 사전예약을 실시하고 있으며, 5월 7일까지 접종 예약자는 1,119명이다. 5월 8일부터 전국 19개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접종을 시작하였으며 접종수요에 따라 접종기관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지영미 방역대책본부장은 “엠폭스는 일반적인 인구집단보다 고위험집단에서 발생과 전파 위험이 크고 백신·치료제를 통하여 관리가 가능한 질환이므로 과도한 불안보다는 감염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의심증상이 있을 시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찾아 진료, 검사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익명의 사람과의 밀접접촉(피부․성접촉) 삼가 ▴피부병변을 긴팔 옷 등으로 감싸 다른 사람들과 직접 접촉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 ▴유증상기(피부발진,궤양,림프절병증,발열 등)에 다른사람들과의 밀접접촉(피부․성접촉) 삼가 ▴ 손씻기 준수 ▴ 유증상자와의 화장실, 식기, 세면대 등 공동사용 자제 ▴ 유증상자외의 접촉이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검사․진료받고 백신 접종 등

  더불어, 방역당국에서는 엠폭스 의심증상 신고자의 개인정보를 철저히 보호하고 있으므로,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주저하지 말고 신속하게 신고 및 문의(콜센터1339)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23-05-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05 어린이집·유치원 관련 불법행위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15 60
9304 교육부, 유치원 방과후 ‘놀이 중심 영어’ 허용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4 60
9303 '18.5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6.8만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20.3%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9 60
9302 기초생활보장, 저소득 국가유공자·일하는 청년 보호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6 60
9301 대규모유통업법 과징금 고시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31 60
9300 스포츠브랜드 운동화의 기능성과 내구성, 제품에 따라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6 60
9299 금융꿀팁 200선 - (60) 일상생활배상책임보험 잘 활용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2 60
9298 지역가입자 성·연령 보험료 없어지고, 자동차 보험료 절반 이상 줄어든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8 60
9297 체중계, 체중·체지방률 정확도 등 품질에 차이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7 60
9296 쥬시(주)의 부당한 표시 광고행위에 대한 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4 60
9295 사례로 알아보는 ´우리동네 출산장려정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7 60
9294 2000㎡ 이상 업무·근린시설에 남녀분리 화장실 의무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25 60
9293 설 연휴 기간 특별안전점검반 가동, 항공안전 보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6 60
9292 푸드뱅크에 세제.치약 등 생활용품도 기부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60
9291 “밤에 차 끊겨도 걱정마세요” 캡슐호텔 인천공항에 문 열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3 60
Board Pagination Prev 1 ...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