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엠폭스 5월 1주(4.30~5.6) 확진환자 16명 발생
- 국내발생 누적 확진환자 60명, 국내 감염 추정 환자 54명
-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신고 및 모르는 사람과의 성접촉 삼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5월 3일 엠폭스 발생현황 발표 이후 6명(#55~60)의 추가 확진환자가 발생*하여 5월 1주간 엠폭스 확진환자는 16명이며 현재까지 국내 발생 누적 확진환자는 총 60명이라고 밝혔다.
* 5월 4일 5명, 5월 5일 1명
5월 1주 확진환자 거주지역*은 서울(11명), 경기(2명), 인천·부산·광주(1명)순으로 수도권에서의 발생이 많았고, 국적**은 내국인 14명, 외국인 2명이다.
* 환자 거주지역(누적): 서울 30명, 경기 12명, 인천 3명, 경남 3명, 대구 3명, 경북 2명, 대전 1명, 전남 1명, 강원 1명, 충북 1명, 충남 1명, 부산 1명, 광주 1명
** 국적(누적): 내국인 56명, 외국인 4명
인지경로를 살펴보면 의심증상 발생 후 본인이 신고한 사례가 11건, 의료기관 신고가 5건이었다.
* 인지경로(누적) : 본인 신고 사례 38건, 의료기관 신고 21건, 환자 역학조사 중 확인된 밀접접촉자 1건
주간 신규환자의 추정 감염경로는 모두 최초 증상 발현 전 3주 이내 해외 여행력이 없거나 관련성이 없어 국내 감염으로 추정되며 성접촉에 의한 감염이었다.
※ 추정 감염경로(누적) : 국내 감염 추정 사례 54건, 해외 유입 및 관련 사례 6건
동 환자들의 주요 임상증상은 항문·생식기 통증을 동반한 국소 피부병변(궤양, 종창, 발진)으로 이외 발열, 오한, 근육통, 림프절비대 등이 확인되었다.
그간 누적 확진환자 60명 중 남성이 58명(96.6%)이었으며 20대가 10명(16.6%), 30대 42명(70.0%), 그 외는 40~50대이다.
또한, 최초 증상 발생 전 3주 이내 익명의 모바일 앱 등을 통한 성접촉이 있었던 경우가 58명(96.6%)이었으며 이 중 51명은 모르는 사람과의 성접촉이 확인되었다.
국내 발생 환자는 대부분 경증으로 상태가 양호한 편으로 엠폭스 치료제 사용 환자는 32명이다. 현재 32명이 입원 치료 중이고 28명은 격리해제되어 퇴원하였으며 후유증 보고 및 접촉자 중 추가 확진사례는 현재까지는 없다.
방역당국은 엠폭스 진단, 치료제 확보 및 공급, 백신 접종 확대, 전담병상 지정까지 의료대응 체계도 구축하였으며, 적극적인 증상 홍보 및 신고 독려, 예방수칙 제작·배포, 고위험시설 지도 및 안내 등 위험소통을 강화하여 전파 차단 및 접촉자 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오늘부터 접촉자 뿐만 아니라 고위험군에 대한 노출 전 예방접종을 확대 실시한다. 이번 접종계획은 수두·대상포진분야 전문가 자문회의(4.27.), 예방접종전문위원회(4.28)를 거쳐 수립하였다.
감염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이 접종대상이며, 2세대 백신 보다 효과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3세대 백신(진네오스)을 이용하여 피내접종을 1회 시행한다
* 백신의 감염 예방효과는 86%로 고위험군의 감염위험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 확인(Nature Medicine, 2023), 이상반응은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접종부위 통증, 주사부위 발적, 부기, 가려움증 등 경증이 대부분을 차지(미국 FDA, 2021)
예약방법과 접종기관 목록은 고위험군에게 별도로 안내하여 사전예약을 실시하고 있으며, 5월 7일까지 접종 예약자는 1,119명이다. 5월 8일부터 전국 19개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접종을 시작하였으며 접종수요에 따라 접종기관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지영미 방역대책본부장은 “엠폭스는 일반적인 인구집단보다 고위험집단에서 발생과 전파 위험이 크고 백신·치료제를 통하여 관리가 가능한 질환이므로 과도한 불안보다는 감염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의심증상이 있을 시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찾아 진료, 검사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익명의 사람과의 밀접접촉(피부․성접촉) 삼가 ▴피부병변을 긴팔 옷 등으로 감싸 다른 사람들과 직접 접촉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 ▴유증상기(피부발진,궤양,림프절병증,발열 등)에 다른사람들과의 밀접접촉(피부․성접촉) 삼가 ▴ 손씻기 준수 ▴ 유증상자와의 화장실, 식기, 세면대 등 공동사용 자제 ▴ 유증상자외의 접촉이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검사․진료받고 백신 접종 등
더불어, 방역당국에서는 엠폭스 의심증상 신고자의 개인정보를 철저히 보호하고 있으므로,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주저하지 말고 신속하게 신고 및 문의(콜센터1339)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