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제 내가 사는 고장의 살림살이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고, 이를 활용해 앱 개발 등 경제활동도 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지방재정의 투명성과 건전성이 강화되고, 일자리 창출도 촉진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장관 홍윤식)는 1일부터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 「지방재정 365(http://lofin.moi.go.kr)」 대국민 정식서비스를 개시했다.

「지방재정365」는 지방자치단체 뿐 아니라, 지방공기업, 지방출자·출연기관과 교육청의 정보까지 연계하여 통합 공개하는 시스템이다.

어려운 지방재정 정보를 누구나 이해하기 쉽도록 그래프 또는 그림으로 제공하고, 재정정보를 실시간 데이터(open API)로 개방해 국민들이 쉽게 활용하도록 했다.

행정자치부는 시범서비스 기간(3.15~4.30) 동안 ‘대국민 오류찾기 대회’ 등을 통해 일부 데이터 오류를 수정했고, ’16년 예산기준 통합공시를 실시하여 중기지방재정계획 등 3종을 추가로 공개했다.

시범서비스 기간 동안 「지방재정365」를 이용해 본 내세금국민감시단(대표 박찬우 세금바로쓰기납세자운동 이사장)은 모든 지방재정 정보를「지방재정365」에서 찾을 수 있고 시각화 자료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 점, 개방 데이터를 활용해 상용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해진 점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효 지방행정연구원 재정분석회계센터 이효 소장은 “방대한 지방재정 통계자료를 ‘맞춤형 조건검색’, ‘지자체 비교검색’ 등을 통해 조회·활용할 수 있어 지방재정을 연구하는 연구원의 입장에서도 심층 분석이 매우 편리해졌다.”라고 평가했다.

김성렬 행정자치부차관은 “금년 10월부터 지방자치단체·지방공공기관·교육청 재정정보를 통합한 ‘지역통합재정통계’를 산출하여 공개하는 등 「지방재정365」를 국민의 수요에 더욱 부합하는 공개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담당 : 재정협력과 김민정 (02-2100-3522)

 

[행정자치부 2016-05-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134 2015년 항공여객 강한 상승세로 출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5 104
12133 친환경 서비스 호텔, 환경보호 노력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6 103
12132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판결 동향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3 103
12131 보조 연장보육교사 채용 지원을 위해 사용자부담금 30%를 어린이집에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23 103
12130 회의실, 주차장 등 전국 15,000여개 공공자원 개방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24 103
12129 환경부, 53개 생활화학제품 회수 및 판매금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2 103
12128 패스트푸드점에서도 알레르기 유발 식품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26 103
12127 '17.1월 전월세 거래량은 10.9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3.6%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5 103
12126 일부 동충하초 제품, 식중독균 기준 초과 검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103
12125 전기찜질기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4 103
12124 '16년 연간 항공여객 1억 명 돌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9 103
12123 '16.10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10.9만 건으로 전년동월대비 2.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6 103
12122 LED 스탠드, 광 성능·수명성능 등 품질 차이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7 103
12121 아파트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지하주차장도 ´금연구역´으로 지정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2 103
12120 '16년 말 기준 도시개발구역 ‘전국 418개’ 지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9 103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