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202311일 시행소비기한 표시제*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식품 영업자대상으로 613일까지 소비기한 전국 순회 설명회개최합니다.

 

* 식품 등의 날짜 표시에 유통기한대신 소비기한을 표시하는 내용으로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개정(’21.8.17 개정, ’23.1.1 시행, 다만 우유류(냉장보관 제품)’31.1.1 시행)

 

설명회에서는 소비기한 표시제도 개요, 소비기한 설정기준과 설정방법 등에 대해 상세히 안내하고, 식품별 소비기한 참고값 활용방법소비기한 산출 시점 소비기한 적용을 위해 영업자가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제공합니다.

 

* 식품별 소비기한 참고값 활용 유사제품 비교를 통한 다양한 소비기한 설정방법 선물세트의 소비기한 설정, 소비기한 산출시점 등

 

설명회는 전국 6개 권역에서 1회씩 개최되며, 현장 참석과 유튜브 중계 등 원격참여 방식을 병행하여 진행합니다.

 

* 관련 교육자료·녹화영상은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식품·안전> 식품표시광고> 소비기한)에 공개

 

참고로 식약처는 소비기한 표시제원활한 도입지원하기 위해 식품 등의 소비기한 설정실험 가이드라인마련했으며, 소비기한 설정 실험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영업자들이 소비기한 참고값* 활용설정할 수 있도록 현재까지 34개 식품유형 430개 품목에 대한 소비기한 참고값제공**했습니다.

 

* 식약처가 품목별로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정한 잠정 소비기한으로, 영업자 자신이 제조·판매하는 제품의 특성, 포장재질, 유통환경 등을 고려해 소비기한 안내서에서 가장 유사한 품목을 확인하고 해당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 이하로 소비기한 설정 가능

 

** 식품유형별 소비기한 설정 보고서

 

아울러 2025까지 식품공전에 있는 200여개 식품유형 2,000여개 품목 소비기한 참고값 등을 확대·제공하여 영업자 스스로 안전한 소비기한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예정입니다.

 

식약처는 이번 설명회 소비기한 표시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소비기한 적용준비하는 영업자애로사항 해소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영업자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는 기회지속적으로 마련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5-0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25 소비자 대상 직접(DTC) 유전자검사를 받을 때 주의사항과 활용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9 17
7924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보험약관을 만들기 위해 보험약관 이해도 평가제도를 개선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5 54
7923 소비자 기본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2.20 32
7922 소비자 권익제고를 위한 변액보험 적합성 진단제도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66
7921 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민간자격 표준약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1.11 55
7920 소비자 권익 제고를 위해 합리적인 카드 포인트 적립 개선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26 20
7919 소비자 권익 제고를 위한 「자동차보험 제도 개선방안」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0 8
7918 소비자 건강 관심 반영해 내년부터 주류 열량 표시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07 13
7917 소비자 93.7%, 사물인터넷 제품 가격에 부담 느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6 72
7916 소비자 5명 중 1명이 렌터카 이용 중 차량 고장을 경험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19 20
7915 소비자 2명 중 1명, 키오스크 이용 중 불편·피해 경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4 9
7914 소비심리 둔화, 친환경농산물 판매는 오히려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29 213
7913 소비생활만족도 2년 전보다 7.8점 낮아져, 제주·서울 높고 경남·충북 낮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6 78
7912 소비생활 중요 3대 분야, 식·주·의에서 식·주·금융으로 변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3 24
7911 소비량이 급증하는 즉석조리식품, 단위가격 표시 품목 지정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28 42
Board Pagination Prev 1 ...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