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가정의 달을 맞아 해외여행을 계획 중인 국민들의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위한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에 대해 안내했다. 


  특히, ➊여행 전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방문국가의 감염병 발생정보 확인, ➋여행 중 모기물림 주의 및 개인 위생수칙 준수 등을 포함한 예방수칙 준수, ➌여행 후 의심 증상 발생 시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진료 시 해외여행 여부를 알릴 것을 당부했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kdca.go.kr)>감염병 해외감염정보>국가별 감염병예방정보


  아울러, 최근 국외 발생 및 해외 유입 등을 고려하여 각별히 주의해야 할 6종의 감염병*을 선정하여, 질병 특성 및 국내외 발생 현황 등을 설명하고,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 각별 주의 감염병(6종) : 모기매개 감염병(뎅기열, 지카바이러스감염증, 치쿤구니야열, 말라리아), 호흡기 감염병(홍역),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콜레라)


  올해 4월 24일 기준 해당 6종 감염병의 발생은 총 60명으로 전년 동기간(6명) 대비 1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뎅기열 45명, 치쿤구니야열 7명, 말라리아 4명, 홍역 3명, 지카바이러스감염증 1명


1. 모기매개 감염병


  먼저, 모기에 물려 감염될 수 있는 모기매개 감염병(뎅기열, 지카바이러스감염증, 치쿤구니야열 및 말라리아)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모기 서식지 확대 및 개체수 증가 등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모기매개 감염병의 국외발생 증가에 따라, 올해 해외방문 후 모기매개 감염병으로 신고된 환자 수는 현재까지 총 57명으로, 전년(7명) 대비 714.3% 급증하였으며, 이 중 뎅기열 환자가 4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국가별 현황으로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필리핀 순이었다.


  감염병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뎅기열(Dengue Fever)은 129개국에서 매년 1억 명 이상이 감염되는 질환으로, 특히 최근에는 우리 국민들이 선호하는 여행지인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환자 발생이 급증하고 있다. 


  둘째, 치쿤구니야열(Chikungunya Fever)은 전세계 110개국 이상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특히 최근에는 파라과이, 브라질 등 중남미 지역에서 대규모 환자 발생이 확인되어 미주지역에 경보가 발령(’23.2.13.)되었다. 동남아시아도 태국, 필리핀 등에서 다수 환자 발생이 확인되고 있다. 

  셋째, 지카바이러스감염증(Zika Virus Infection)은 2016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의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 선포 이후 발생 보고는 전반적으로 감소세이나, 약 89개국의 풍토국가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넷째, 말라리아(Malaria)는 2021년 기준, 전 세계 84개국에서 발생하여 약 2억 4,700만 명의 환자와 약 61만 9천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질병부담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특히 해외에서 감염될 수 있는 말라리아는 병원성이 높은 열대열 말라리아로, 중증 진행 위험이 크고 합병증 및 치사율도 높아 신속한 진단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질병관리청은 모기 매개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며, 여행 중 ▲긴 팔 상의 및 긴 바지 착용, ▲모기 기피제 사용 등의 준수를 요청했다. 


  또한 예방약이 있는 말라리아의 경우, 여행 전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여행지역에 유행하는 말라리아의 약제내성을 고려한 예방약을 처방받아 정해진 복용 수칙에 맞게 복용할 것을 권고했다. 


2. 호흡기 감염병


  홍역(Measles)은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감염병으로, 최근 인도, 중동, 아프리카 등에서 다수 환자 발생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홍역 예방백신(MMR) 미접종자 및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은 해외여행 중 홍역에 감염될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2020년 해외유입 환자 발생이후  2년간 발생이 없다가 올해 해외유입 홍역 확진환자가 3명*(2023년 4월 22일 기준) 확인되고 있다.

  * 인도 2명, 기내노출(카타르 출발→바르셀로나 도착) 1명 


  이에 홍역 유행 지역의 해외여행을 계획한다면, 여행 전 홍역 예방백신(MMR)을 2회 모두 접종하였는지 확인하고,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출국 4~6주 전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을 완료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여행 중에는 감염예방을 위해 손 씻기, 기침 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아울러, 여행 후 홍역(잠복기 7∼21일) 의심 증상(발열을 동반한 발진 등)이 있어 의료기관 방문 시 마스크 착용 후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반드시 의료진에게 해외여행력을 알리도록 당부하였다. 


3.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콜레라(Cholera)는 최근 아프리카와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해당 지역 해외여행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아프리카) 부룬디, 카메룬, 콩고공화국, 에티오피아, 케냐, 말라위, 모잠비크, 나이지리아, 잠비아, 레바논, 소말리아. 시리아, (아시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필리핀

  콜레라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감염되는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으로, 2023년에는 아직 환자 발생이 없으나 2017년 이후 발생한 8건* 모두 해외 유입사례였다. 감염 시 쌀뜨물과 같은 수양성 설사와 구토를 동반하며, 감염자의 5~10%에서 심한 증상이 나타나 탈수, 저혈량성 쇼크 및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 (2017) 필리핀 4명, 인도 1명, (2018) 인도 2명, (2019) 인도 1명

  콜레라와 같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을 자주 씻고, 충분히 익힌 음식을 섭취하고, 위생 상태가 불분명한 물과 음식은 먹지 않는 등 개인 위생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해외유입 감염병 환자 발생이 급증하고 있어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계신 국민들께서는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위해 여행국가의 감염병 정보 확인 및 여행 중 예방수칙 준수 등에 각별히 주의하여 주실 것”을 당부 하였다.


  또한, “귀국 후 의심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해외방문 이력을 알리고, 신속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청 2023-04-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26 산불예방 위해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 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09 9
12625 2023년 3/4분기 소비자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0 9
12624 질병부담 3위 당뇨병 예방관리, 생활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3 9
12623 2023년 후원방문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9
12622 “나 몰래 전입신고 안 돼!”전입신고 절차 개선으로 전세사기 막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4 9
12621 벤츠 · 제이스모빌리티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15 9
12620 착한가격업소를 이용하여 소상공인도 돕고 1만 원도 환급받아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0 9
12619 전세버스, 렌터카 사고기록 데이터로 공개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0 9
12618 ‘아동학대 대응’ 민원, 작년 대비 1.88배 증가…민원주의보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2 9
12617 필수약제 공급 지원을 위한 약가 인상 및 중증질환 치료제 보장성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4 9
12616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분석한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변화(2000~2020)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7 9
12615 언제 어디서나 가상공간(메타버스) 꿈드림센터에서 만나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30 9
12614 2022년 생명표 작성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1 9
12613 정신건강정책 ‘예방-치료-회복’ 全단계 관리로 대전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5 9
12612 빈대 발생 감소세 전환, 국민 신고 안내 및 적극 방제 지속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06 9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