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족구병 발생 증가에 따른 주의 당부 
- 손씻기의 생활화, 영유아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청결히 하기 -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손 씻기의 생활화
 ◇ 기온이 상승하고 외부활동이 증가하면서 본격적인 수족구 유행시기 돌입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기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수족구병* 유행 시작 시점에 접어들고 있어, 5세 이하의 어린이가 집단생활 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에서 전파에 의한 집단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손씻기 생활화 등 예방수칙 준수를 각별히 당부하였다.
     * 수족구병이란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영유아 등이 많이 걸리는 질환으로 혀, 잇몸, 뺨의 안쪽 점막과 손, 발등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며,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코) 또는 대변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됨
  [손, 발, 입안의 수포성 발진 사례]
    
사진 출처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59&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 전국 99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표본감시 결과, 의사환자(유사증상환자)*수는 ‘16년 15주 1.5명(외래환자 1,000명당), 16주 2.6명, 17주(4.17~23) 2.9명(잠정치)**으로 증가하였고, 앞으로 기온이 계속 상승하고 외부활동이 증가하면서 본격적인 유행 시기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 수족구병의사환자 발생분율(‰) : 수족구병의사환자수 / 전체 외래환자수×1,000
        ** 수족구병 표본감시결과 확인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 감염병관리→ 감염병감시→ 인플루엔자수족구병 주간소식지(매주 목요일 17시 이후)

□ 아울러,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는 신속하게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하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염기간(발병 후 1주일)에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 수족구병은 대부분의 경우 증상 발생 후 7~10일 이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질병이나, 드물게는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 등 중증 질환이 동반될 수 있으니,
   ○ 고열, 구토 등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종합병원을 방문하여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수족구병을 진단받은 영·유아가 아래와 같은 증상을 보이는 경우>
 ① 39도 이상의 고열이 있거나 38도 이상의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② 구토, 무기력증, 호흡곤란,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③ 팔다리에 힘이 없거나 걸을 때 비틀거리는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 수족구병 예방수칙 ▶

 

 ◇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손 씻기의 생활화
   * 특히 산모, 소아과나 신생아실 및 산후 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청결(소독)히 하기
 ◇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 등을 철저히 세탁하기
 ◇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기

 

[보건복지부 2016-04-2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89 고가수리비ㆍ렌트비 등 고가차량이 야기하는 각종 문제점을 개선하여 일반차량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겠습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9 122
12688 염화벤잘코늄이 규정보다 많이 포함된 FEG 눈썹강화제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2 122
12687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담배연기 성분 분석 분야‘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 받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0 122
12686 늘어나는 ‘지역주택조합 아파트’, 제도 보완 시급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0 122
12685 보험계약을 부활시킬 수 있는 기간이 연장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4 122
12684 귀가 먹먹하고 어지러운「메니에르병」, 평소 생활습관 관리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122
12683 포드, 페라리, 스카니아, 혼다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8 122
12682 자동차리스 관련 소비자 권익 제고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8 122
12681 직류전원장치, 유아용모자 등 중점관리대상 품목 42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122
12680 한국소비자원 부산지원, ‘신발 전문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1 122
12679 '15.5월 전월세 거래량은 11.6만건으로 전월대비 10.4%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6 122
12678 2014년도 하루 평균 요양기관 4.54개씩 증가 ´한방병원´ 확대 vs ´요양병원´ 둔화 추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3 122
12677 학교폭력 집중 관리 기간(3~4월), 학교폭력 예방에 총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5 122
12676 행복주택 입주자격, 간편하게 진단해 드려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02 122
12675 ‘소아암’, 성인과는 달리 ‘백혈병’ 비중이 높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2 122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