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는 불법·불량제품 52개 리콜
- 어린이/유아용품(35건), 가정용 전기용품(17건) -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제대식)은 ‘5월 가정의 달’을 앞두고 어린이·유아용품*과 가정용 전기용품** 등 25개 품목 654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결과, 52개 제품(유·아동복 28개, 형광등안정기 15개 등) 이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해당제품을 전량 결함보상(리콜)명령 조치했다.
  
* 완구, 유아동복, 보행기, 유모차, 유아용 삼륜차, 유아용 의자ㆍ침대 등 12품목
** 전기그릴, 전기오븐, 전기프라이팬, 전기주전자, 형광등안정기 등 13품목
  
□ 결함보상(리콜)명령한 52개(8.0%) 제품의 결함내용은 다음과 같다.(상세내용은 붙임참조)
  
<어린이·유아용품(35건)>
  
ㅇ 유·아동복 28개 제품에서 납, 프탈레이트가소제, 아릴아민, 카드뮴 등 생명·신체상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물질과 접촉 피부염을 유발시키는 수소이온농도(pH)가 기준치를 초과 검출되었다. 
  
- 일부 제품에서는 어린이의 질식사고 가능성이 있는 코드 및 조임끈 불량과 장식용 작은 부품(단추) 탈락도 확인됐다. 
  
ㅇ 완구제품 중 3개 제품에서는 납이 최대 166.1배 초과되었고, 1개의 제품에서 날카로운 끝(조종기 안테나) 발생도 확인됐다.
ㅇ 유아용욕조(합성수지제) 1개 제품에서 납이 2.9배, 보행기 1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가소제가 4.0배, 유아용침대 1개 제품에서 폼알데하이드가 9.7배 기준치를 초과 검출되었다. 
  
<가정용 전기용품(17건)>
  
ㅇ 형광등안정기 15개 제품은 인증당시와 다르게 주요부품(라인필터, 커패시터)을 변경하여 제조한 것으로, 전류파형의 파고율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 이러한 제품들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형광등의 깜박임 정도가 심해져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ㅇ 전기그릴 1개 제품에서 인증당시와 다르게 온도조절기 삭제하고 온도퓨즈를 변경하여 제조한 것으로 나타나, 장시간 사용시 전원코드의 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어 화재 위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ㅇ 전기프라이팬 1개 제품은 과전압 인입 등 비정상상태에서도 안전에 문제가 없어야 하나 가열판 중심온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화재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표원은 이번 리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품안전정보센터(www. safetykorea.kr)에 공개하고,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 제품바코드를 등록해 전국 대형 유통매장에서의 판매를 즉시 차단토록 조치하기로 했다.
  
ㅇ 이번 결함보상(리콜) 처분된 기업들은 제품안전기본법 제11조 등에 따라 유통매장에서 해당 제품을 즉시 수거하고, 소비자에게 이미 판매한 제품에 대해서는 교환 등을 해주어야 하며, 이를 위반하면 최고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또는 3년 이하의 징역 처분을 받을 수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2016-04-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46 임의단체 계좌 관련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7 134
3345 임의보험 음주 뺑소니 운전 사고시 사고부담금 신설 등 자동차보험 표준약관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5.27 12
3344 임직원 전용 자동차보험에 가입하고 세제혜택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09 670
3343 임차인의 주택 임차보증금을 두텁게 보호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27 10
3342 입국 검역조사 비대면으로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3.07 37
3341 입국 전·후 검사 및 18세미만 접종 완료 기준 개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5.13 58
3340 입술용 화장품에 사용되는 타르색소 기준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1 11
3339 입시비리·근로강요 등도 공익신고로 보호받는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4.13 20
3338 입원․격리자 생활지원비 지원기준 개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2.14 33
3337 입원이 꼭 필요한 정신 응급·행정입원 치료비 본인부담금 전액 지원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2.05 36
3336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 비자의입원 환자의 권리를 다시 한 번 살핀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5 41
3335 입원환자의 16.8%는 손상환자, 질병군 중 1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1.29 20
3334 입주 즉시 어린이집 가고 주차장은 유료 개방 가능해져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8 38
3333 입주민 부담 경감 위해 아파트 관리비 지출항목 점검 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6 222
3332 입찰·계약보증금 50% 인하, 대금 지급기간 단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8 9
Board Pagination Prev 1 ...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