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에 대한 국민 인식을 높이고 관련 제도를 정착하기 위해 오는 5월부터 두 달간 전국의 지자체와 함께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제' 집중 홍보 기간을 운영한다.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제'는 무색·투명한 생수 및 음료 페트병을 일반 플라스틱 및 유색 페트병과 구분하여 별도로 분리 배출하는 제도이다. 별도 분리배출된 투명페트병은 의류를 만드는 장섬유, 화장품 용기, 페트병 등 가치가 높은 제품 소재로 다시 활용된다. 


이번 집중 홍보기간 동안 각 지자체는 지역별 특색을 반영하여 다채로운 행사를 진행한다. 


먼저, 지자체에 따라 국민들이 투명페트병 등 재활용품을 가져오면 지역화폐 등으로 보상하는 가칭 '자원순환가게'를 운영한다.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등에서는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하고, 부산광역시 동래구, 광주광역시 북구 등에서는 종량제봉투나 지역화폐, 상품권으로 교환해줄 예정이다. 특히 광주광역시는 올해부터 '이동식 자원순환가게'를 운영하여 주민들을 직접 찾아간다.


국민들의 분리배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원순환 가상체험(AR·VR) 교육관을 운영하여 분리배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한다. 충청북도에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퀴즈 행사로 분리배출 방법을 알린다. 인천광역시에서는 '차이나는 자원순환 클래스'를 운영하는 등 주민들의 인식개선에 힘쓸 예정이다. 


분리배출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시설 및 도구 등의 보급도 확대한다. 세종특별자치시, 부산 영도구 등에서는 투명페트병 배출 시 상표띠(라벨) 제거를 쉽게 하기 위한 제거기를, 경기도 이천시·가평군 등에서는 투명페트병 배출 전용 봉투 또는 전용 수거함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지자체별로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수거 현장을 점검하고, 수거업체 관계자 및 주민 인터뷰 등으로 현장의 어려움을 파악할 예정이다.

  

이러한 지자체의 활동에 더해, 환경부는 지자체의 활동을 확산하기 위한 홍보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자원순환가게'를 운영하는 지자체에 대해서는 협의를 거쳐 홍보 기간동안 해당 지자체가 지급하던 포인트에 더하여, 킬로그램(kg)당 200원의 탄소중립포인트를 추가로 지급하여 국민들의 참여를 이끈다.


또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제 홍보 영상 및 카드 뉴스 등을 적극 배포하고, 분리배출 방법을 노래로 만들어 라디오 등 각종 매체에 홍보할 예정이다.


김승희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의 기본은 내용물은 비우고 상표띠(라벨)는 뜯고 뚜껑은 닫는 것"이라며, "순환 경제 활성화를 위해 투명페트병 별도 분리배출에 적극적으로 동참해주기를 요청드린다"라고 말했다. 



[ 환경부 2023-04-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63 2022년 6월 기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3 9
12562 호우와 태풍 풍수해보험으로 미리 대비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2 24
12561 원룸·오피스텔 등 관리비 투명화해 부당한 관리비 부담 덜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2 10
12560 “처분서 송달 확인 없이 관례적으로 이루어진 행정처분에 경종”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22 9
12559 4월 ‘커피’ 품목의 소비자상담 증가율 두드러져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9 22
12558 한부모가족 자녀도 위기청소년 특별지원…청소년보호 사각지대 해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8 15
12557 수입 ‘능이버섯’ 진위 확인 검사 결과, 부적합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8 11
12556 ‘콜대원키즈펜시럽’ 자발적 회수, 잠정 제조.판매중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8 9
12555 [금융꿀팁200선] 중대한 질병보험 등 가입시 대리청구인을 미리 지정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8 18
12554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10
12553 이제 건강정보도 구독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9
12552 생활인구를 통해 지역 활력 높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8
12551 마약김밥 이제 그만!...식약처, 식품 등에 마약 표현 사용자제 권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10
12550 고령자, 식품첨가물 섭취 평가 결과..안전한 수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6
12549 “대한민국은 절찬 여행 중”, 6월 여행가는 달에 여행 버킷리스트 완성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5.17 23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