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A씨는 지난 2에스디컬렉션이라는 온라인쇼핑몰에서 381만원상당의 명품가방을 구매했다. A씨의 하루 카드결제 한도가 300만원이라 2회에 걸쳐 결제를 완료했는데 2주 후 배송된다는 가방은 한 달이 지나도 도착하지 않았다. 환불요청을 했지만 업체는 카*메신저 응답도 없고 전화도 받지 않는 상황이다.

 

# B씨는 타 사이트보다 가격이 저렴하게 책정된 에스디컬렉션에서 113만원상당의 명품 신발을 구매하고 계좌이체를 완료했다. 하지만 한 달이 지나도 물건이 오지 않아 환불을 요청했지만 차일피일 미루기만 하고 있다.

 

<최저가 광고 후 배송환불지연·연락두절 등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10여일간 23백만원 피해 접수>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와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명품브랜드 가방지갑의류 해외구매대행쇼핑몰 에스디컬렉션’(https://sdcollection.shop)관련 피해가 늘고 있다며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14() 밝혔다.

 

현재 인터넷쇼핑몰, 네이버카페 등은 정상 영업 중이며 안전거래 가맹점으로 표시되어 있어 소비자 피해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해당 쇼핑몰은 인터넷(https://m.sdcollection.shop) 네이버카페(https://cafe.naver.com/sdcollection)카카오톡채널(https://pf.kakao.com/_xkEpbxi) 등을 통해 해외 명품을 저렴하게 판매한다고 광고 후 소비자가 결제를 완료하면 배송지연 및 연락두절 등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이 업체는 판매방식 및 피해유형이 지난해 다수의 소비자피해를 일으켰던 사크라스트라다 및 하이트랜드(럭스돌)와 유사하여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명품 위탁배송 및 도매도 가능하다고 광고하고 있어 영세사업자의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 사크라스크라다: ’227~11, 피해건수 174, 피해액 227백만원(현재 폐쇄)

* 하이트랜드(럭스돌): ’226~’23.2, 피해건수 42, 피해액 28백만원(현재 폐쇄)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와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45()까지 접수된 관련 피해상담은 25, 전자상거래센터 접수 10(3.25.~4.5.)의 피해금액만 2,300만원에 달하고 있다. 품목은 고액의 가방과 지갑이 대다수다.

 

주요 피해 유형은 배송 지연과 환불 지연이며, 카드결제와 계좌이체 시 이용 가능한 에스크로서비스(구매안전서비스)는 결제사에 의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는 무통장입금만 가능한데 현금 입금의 경우 구매취소환불 요청시 환불 거부와 지연 등의 피해가 더 커질 수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유사피해 소비자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또는 1372소비자상담센터로 상담 신청>

해당업체로부터 배송 및 환급 지연 피해를 본 소비자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https://ecc.seoul.go.kr) 또는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상담 신청하면 대응 방법을 자세하게 안내받을 수 있다.

소비자가 피해 접수를 하면 확보된 업체 연락처 및 이메일로 피해 접수 사실을 알리고 처리를 요청하고 있으며, 환급 처리가 지연되는 경우 신용카드 결제 건은 신용카드사에 협조를 구해 피해구제를 지원하고 있으나 현금결제는 사업자가 직접 처리를 해야 해 한계가 있다.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는 명품은 판매가격 자체가 수백만 원을 넘는 경우가 많아 피해 건수 대비 피해액이 크다며, 시중보다 저렴하게 판매한다고 광고하는 쇼핑몰, SNS채널 이용시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포털사이트 최저가 쇼핑몰은 즉시 구매하지 말고 후기와 결제방법 등을 꼼꼼하게 확인한 후 결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현금 구입 시 처리가 지연되거나 구제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고가의 상품을 구매할 때는 현금보다 카드 결제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할부기간 3개월 이상결제금액 20만원 이상인 경우 할부거래에 관한 법률16조에 의해 상품 미배송시 카드사에 할부계약에 대한 청약 철회를 요청할 수 있다.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관계자는 지난해에 유사한 방식의 수억대 명품쇼핑몰 피해가 있었다해당 쇼핑몰은 물론 온라인으로 명품 구매시 결제방법, 후기 등을 꼼꼼하게 살핀 후 결제하고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전자상거래센터에 상담을 신청해 구제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2023-04-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40 절연체 열화로 전류 흐를 수 있는 Zojirushi 전기 조리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4 2023.01.17
3539 절연장치가 미흡해 감전의 위험 있는 수족관 LED 조명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1 2021.02.08
3538 절연 조치 미흡으로 감전 우려 있는 DSHOW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3.09.07
3537 절연 미흡해 감전 위험있는 Micro-mobility 전기 킥보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3.02.13
3536 절연 미흡해 감전 위험 있는 LED 손전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4.03.21
3535 절연 미흡으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 있는 스마트 전기오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2.04.01
3534 절연 미흡으로 감전 위험 있는 Out Well 전기아이스박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3 2022.03.07
3533 절연 미흡 등으로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트리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3.09.18
3532 절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주방용 칼 판매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219 2017.06.02
3531 절대로 신분증.신용카드 사진을 보내지 마세요.-질병관리청 사칭, 지원금 지급한다며 신분증.신용카드 사진 요구한 사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22.02.21
3530 절단사고 위험이 있는 전기대패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770 2017.04.07
3529 전화금융사기, 요즘은 이렇게까지도 속인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8.31
3528 전화금융사기 범죄피해 증가에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1 2022.04.26
3527 전화금융사기 범죄피해 경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8 2022.05.27
3526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7 2021.07.28
3525 전지함 고정이 미흡해 삽입된 단추형 전지로 인한 질식 위험 있는 어린이 손목시계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7.28
3524 전지 단자함 고정이 미흡한 Diyife 티라이트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7.13
3523 전자파 차단제품 차단효과 없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552 2016.12.09
3522 전자아울렛 / DIGITAL-ASOT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22.07.06
3521 전자상거래로 구입한 가구, 소비자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9.04.01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