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의료기기 파라핀 욕조 및 유사 공산품의 온라인 광고·판매 200건 점검

 

- ‘통증완화’ 등 의료기기로 오인할 수 있는 공산품의 광고(35적발·조치

 

일부 의료기기의 거짓 광고(7), 광고기준 위반(11적발·조치

 

공산품의 외형·사용법이 의료기기와 유사구매 시 소비자 주의 필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의료기기 파라핀 욕조와 이와 유사한 공산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누리집 200점검한 결과, 의료기기법위반한 53 적발하고 관할 관청에 행정처분 등을 요청했습니다.

 

파라핀 욕조파라핀용해욕조통증부위담궈 보온유지, 발 등의 통증완화에 사용하는 인증 대상 2등급 의료기기고령자임산부 등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파라핀 욕조외형이 유사한 공산품 온라인상에서 동시유통되고 있습니다.

 

이번 점검은 최근 건강관리를 위한 가정용 의료기기 국민 관심 증가에 편승해 온라인상에서 공산품의료기기인 것처럼 광고하거나 인증받은 의료기기라 허더라도 인증된 사용목적 넘어서 광고하는 행위차단함으로써 소비자 피해예방하고자 실시했습니다.

 

점검결과 공산품의 경우 의료기기 파라핀 욕조사용목적통증완화 광고하거나 혈액순환등 의료기기로 소비자가 오해할 수 있는 광고를 한 누리집 등 35 적발했고, 의료기기의 경우 관절염 치료 허가받은 사용목적과 다른 광고 7과 그 밖에 체험담, 사용전·후 비교 등 의료기기법령에서 제한하고 있는 광고를 한 누리집 11을 적발했습니다.


< 광고 주요 위반 사례 >

(의료기기로 오인하도록 광고) 공산품을이 혈액순환’ ‘관절염 치료등 의료기기와 유사 또는 의료기기인 것처럼 광고

(인증받은 사용목적과 다른 광고) 인증 사용목적인 통증완화를 넘어선 (가락)발 관절염 치료’, ‘무좀 완화등 효능·효과를 광고

(체험담 이용 광고) 제품의 효능·효과가 검증된 것처럼 사용자의 주관적 경험과 후기 등을 사용한 광고

(사용 전후 비교한 효능·성능 광고) 개인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품 사용 전·(before/after) 효과 사진을 사용한 광고

(절대적 표현 사용광고) 국내유일등 절대적 의미를 내포한 표현을 사용한 광고

(기타) 해외에서는 의료기기로 허가 받은 것으로 광고하면서 국내에서는 공산품으로 판매(무허가 의료기기 수입·판매 점검 진행중)

 

통증완화 목적으로 파라핀 욕조구매할 경우 의료기기인증 사항을 사전확인해야 하며, 사용할 때 올바른 사용방법 주의사항 숙지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식약처에서 인증의료기기 파라핀 욕조사용목적, 성능·효과·효능 상세 정보의료기기 정보포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의료기기 정보포털(https://udiportal.mfds.go.kr) 의료기기 Database 검색에서 품목명파라핀욕조를 입력하고 검색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 관심 높은 생활 밀접 제품에 대한 허위, 거짓, 과대 광고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엄중 조치하는 등 의료기기 유통관리강화하겠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4-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06 음주운전,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9.21 37
3805 음주운전, 뺑소니 사고 중 27%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21 52
3804 읍·면·동장에 건축물 건축 신고 및 후속 행정 일괄 위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8 20
3803 읍면동 사무소가 주민을 위한 ´행정복지센터´로 거듭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7 111
3802 응급실 감염예방과 신속한 환자 진료를 위해 응급실 출입가능 보호자 수, 환자당 1명으로 제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2.01 41
3801 응급실 감염예방과 신속한 환자 진료를 위해 응급실 출입하는 보호자 수, 환자 당 1명으로 제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10 56
3800 응급실 방문 손상환자 중 추락·낙상이 3분의 1 차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2.09 13
3799 응급실 중환자실 모니터링 및 수술 처치분야 건강보험 적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07 26
3798 응급실, 중환자실 관련 기준비급여 건강 보험 적용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1.22 39
3797 응급의료기관 법정기준 충족률 전년대비 2.5%p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16 68
3796 응급의료서비스의 재도약으로 전국 어디서나 최종치료까지 책임지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22 101
3795 응급환자 등 예외적으로 사용되는 임상시험용의약품, 사용 가능한 병원 직접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0 41
3794 응급환자 전용 중환자실과 전문인력을 갖춘 권역응급의료센터, 전국 어디에서나 1시간내 도달가능하도록 41개까지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7 330
3793 응급환자의 적기 이송 및 효율적 치료를 위한 병원전(前) 중증도 분류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8.29 10
3792 의경 복무 중 질병 악화됐다면 ‘공상’ 인정할 수 있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6 82
Board Pagination Prev 1 ...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673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