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요 내용 -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를 제주와 부산에서 올해 최초 확인함에 따라 3 23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모기물림 주의 행동수칙 안내 및 준수 요청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제주 및 부산지역에서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를 확인(3 21 ~ 22함에 따라, 3 23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였다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 발령 기준

[주의보]

 ㅇ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당해연도 최초 채집될 시

[경보다음 4가지 중 한 가지 이상 해당 시

 ㅇ  2회 채집된 모기의 1일 평균 개체수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500마리

     이상이면서 전체 모기밀도의 50% 이상 일 때

 채집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분리된 경우

 채집된 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경우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질병청은 매년 일본뇌염 유행예측 사업(3~11월 수행)을 통해 일본뇌염 매개모기 최초 확인 시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고 있다.

 

 일본뇌염 유행예측사업 개요(붙임참조

 목적매개모기의 발생밀도병원체 감염여부를 감시·분석

 대상전국 시·도 보건환경연구원권역별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등 

              56개 조사지점

 내용축사도심철새도래지 등의 환경에서 3~11월까지 유문등을 이용한 매개

              모기 밀도 감시 및 매개체 내 병원체 검사

 

 올해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은 작년(2022 4 11)에 비해 19 가량 빨라졌는데

 

  - 이는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채집된 제주와 부산의 최근(2월 중순 ~ 3월 중순평균기온이 10로 작년에 비해 1.9 높았으며최고기온 평균이 14.9로 작년대비 2.5 증가하여 모기의 활동이 빨라진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 제주와 부산의 2월 중순에서 3월 중순 기간 동안 2022년 및 2023년 평균기온 비교

 

지역

평균기온

낮최고 평균기온

매개모기

채집일

2022

2023

2022

2023

제주

8.1

9.8

12.1

14.6

3 21

부산

8.1

10.1

12.7

15.2

3 22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일반적으로 6월에 남부지역(제주부산경남 등)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며, 7~9월에 매개모기 밀도가 높아지고 10월 말까지 관찰된다.

 

 <작은빨간집모기>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모기(4.5mm)로 논이나 동물축사웅덩이 등에 서식하고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함

 

 

 일본뇌염에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감염된 250명 중 1명은 바이러스가 뇌로 퍼지면서 고열발작목 경직착란경련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이 중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특히 뇌염의 경우 회복되어도 환자의 30~50%는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 최근 5년간(20182022신고된 일본뇌염 환자 92명 중 54(58.7%)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인지장애마비·운동장애언어장애발작정신장애 순으로 나타났음.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백신이 있으므로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2010.1.1. 이후 출생자)의 경우 표준 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할 것을 권고한다.  

 

구 분

일본뇌염 예방접종 실시기준

불활성화 백신

 5회 접종

 12(생후 1223개월, 1개월 간격)

 3(2435개월, 2차 접종 11개월 후), 4( 6), 5( 12)

약독화 생백신

 2회 접종

 12(생후 1235개월, 12개월 간격)

 

 

 또한 논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과 일본뇌염 위험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 등 고위험군에 대해서도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 호주방글라데시부탄브루나이버마캄보디아중국인도인도네시아일본라오스말레이시아네팔북한파키스탄파푸아뉴기니필리핀러시아싱가포르스리랑카대만태국동티모르베트남(출처: CDC)

    **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 외에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희망하는 경우의료기관에서 유료접종(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지영미 청장은 “일본뇌염은 매개모기에 물리면 치명적일 수 있는 질환으로 무엇보다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올해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활동이 시작된 만큼 앞으로 모기가 활동하는 기간에 지속적으로 모기물림예방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모기물림예방수칙 >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품이 넓은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 해주세요.

노출된 피부나 옷신발상단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해 주세요.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해 주세요.

캠핑 등 야외 취침 시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해 주세요.

 

[가정 및 주위환경]

방충망 점검 또는 모기장을 사용해주세요.

집주변의 물 웅덩이막힌 배수로 등은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고인 물을 없애주세요.

 

 

 

 [ 보건복지부 2023-03-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673 현대홈쇼핑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7.20
3672 리퍼타운마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7.19
3671 불법 고리사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업체 이용시 반드시 기억해야 할 10가지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3.07.18
3670 가장 효과적인 엠폭스 대응 수단은 예방접종과 방역수칙 준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3.07.17
3669 폭우·홍수지역 감염병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3.07.17
3668 화재보험 가입시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7.17
3667 리빙꿀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07.13
3666 이마트몰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3.07.13
3665 쓴 아몬드의 비율이 높은 dmBio 아몬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7.13
3664 트로판 알칼로이드 과다 함유한 Amisa 팬케이크 믹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7.13
3663 카드뮴 과다 함유해 사용자의 건강 위험 있는 귀걸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3
3662 전지 단자함 고정이 미흡한 Diyife 티라이트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07.13
3661 톱날 가드가 없어 부상 위험있는 YS-810 예초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7.13
3660 작동 불량으로 사고ㆍ부상 위험있는 BQQZHZ 연기감지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7.13
3659 화재 및 감전 위험있는 Tyzygmy 리튬 배터리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7.13
3658 카드뮴 과다 검출된 뱀 모양 반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0 2023.07.13
3657 과산화수소 과다 검출된 Crest 치아미백스트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3.07.13
3656 유해 성분 과다 함유한 HuPop 유아용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13
3655 미승인 성분 포함으로 리콜된 Sante 안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1 2023.07.12
3654 중금속 잔류물질이 존재하는 직물로 포장된 ALBERT MENES 향신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7.12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