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 국가별 현황

 

 관세청이 해외직구 통계를 관리하기 시작한 ’05년 이후중국발 해외직구 점유율*

   건수 기준으로 ’20년 최초로 1에 오른데 이어금액 기준으로도 지난해 처음으로 1 등극

 

     * 건수 기준 : (’19) 33.8%  (’20) 48.3%  (’21) 53.6%  (’22) 57.7%
       금액 기준 : (’19) 18.7%  (’20) 24.4%  (’21) 27.9%  (’22) 36.2%

 

 다만품목당 구매단가 미국(51달러)이 중국(29달러)보다 1.8배 높아금액 기준 중국-미국 간

     점유율 격차(2.6%포인트)는 건수 기준(29.3%포인트)과 달리 크지 않음

 

 

 해외직구의 97% 이상 중국미국유럽일본에서 발송된 상품이며,
   품목당 구매단가 유럽(129달러)>일본(58달러)>미국(51달러)>중국(29달러) 

 

 

2. 품목별 현황

  

  ’2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건강식품 가장 많이 수입되었고(16.3%), 가전제품(13%),

     의류(11.9%), 기타 식품[커피주류과자류 등](10%), 신발류(5.9%)화장품·향수(4.9%),

      완구·인형(4.4%), 핸드백·가방(3.4%) 그 뒤를 이었는데상위 5대 품목 전체에서

      60% 가까이 차지

 

  중국미국에서는 각각 가전제품과 건강식품유럽과 일본에서는 기타 식품을 가장 많이 구매

 

  주요 품목 중 건강식품기타식품  화장품·향수 미국으로부터 가장 많이 구매됐으며

                          그 외 품목은 모두 중국에서 가장 많이 구매됨

 

 

3. 기간별 현황

 

 12월 구매 비중 가장 높고, 2 가장 낮음

 

  11월부터 시작되는 연말 중국 광군제·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세계적 대규모 할인행사

     영향으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요인

    

      12(9.8%) > 11(9.1%) > 5(8.7%) >  > 2(7.0%)

 

    - 반면2월 해외직구 이용 가장 낮은 이유중국 춘절(春節음력설) 연휴 동안 중국 현지에서의

       발송 지연으로 중국으로부터의 해외직구 통관물량 감소한 것이 원인

 

      2월 기준중국 점유율 49%(건수 기준)로 연중 최저 [‘22년 전체 점유율 58%]

 

 

  1월부터 11월까지 전체 해외직구 품목은 건강식품(17%)>가전제품(13%)>의류(12%)>

      기타식품(10%) 순이었으나12*에는 할인행사 등으로 할인금액이 높은 가전제품이 1 차지

 

       * 12월 주요 구매품목 : 가전제품(14%) > 건강식품(13%) > 의류(12%) > 기타식품(8%)

 

 

4. 연령별·성별 현황      외국인 등 연령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한 수치

 

 [연령별] 40대의 구매 비중(32%)이 가장 높고 30(29.6%) > 50대 이상(22.6%) > 20(14.6%) >

    10(1.2%)이 그 뒤를 잇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연령대별 주요 구매 품목은 다음과 같음

 

  (10의류(16%) 가전제품(12%) 완구·인형(9%) 기타식품(8%)

  (20건강식품(20%) 의류(13%) 가전제품(10%) 기타식품(9%) 

  (30건강식품(18%) 의류(12%) 가전제품(11%) 기타식품(10%)

  (40) 가전제품(15%) 건강식품(14%) 의류(12%) 기타식품(8%)

  (50대이상건강식품(18%) 가전제품(17%) 의류(11%) 기타식품(7%)

 

 [성별남성의 구매 비중(52.1%)이 여성(47.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주요 구매 품목은

    다음과 같음

 

  (남성가전제품(21%) 건강식품(15%) 의류(10%) 기타식품(6%)

  (여성건강식품(19%) 의류(14%) 기타식품(12%) 화장품·향수(7%)

  

 

 [연령별+성별해외직구가 가장 많은 집단 40대 남성으로 구입 비중이 17.4%에 달했고,

    30대 여성이 15.4%로 그 뒤를 이었으며,

 

  40대 남성의 주요 구매품목은 가전제품(23.8%) 건강식품(10.6%)  ,

     30대 여성의 주요 구매품목은 건강식품(17.8%) 의류(13.8%)  



[ 국제거래 소비자포털 2023-03-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81 2019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7 11
12480 「주택법 시행령」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3 11
12479 보육료.양육수당.유아학비.아이돌봄서비스 지원 전국 어디서나 신청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4 11
12478 노인 재가생활을 돕는 장기요양 복지용구 급여기준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2 11
12477 생활민원 불편사항, 이제는 국민이 직접 고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6 11
12476 성인 하루 커피 4잔, 청소년 에너지음료 2캔 이내로 섭취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8 11
12475 2020년 2월,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자상담 16.9%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8 11
12474 2019 혼인 이혼 통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0 11
12473 종교시설, 실내 체육시설, 유흥시설에 대한 15일 간 운영 중단 권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3 11
12472 2019년 결핵 신규환자 2만 3821명, 최근 10년 간 전년 대비 최대폭 9.9% 감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3 11
12471 도로 설계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람 우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3 11
12470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법 개정…피해 인정범위 크게 넓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3 11
12469 지방세 체납자 예금·급여 압류금지 기준액, 150만→185만원으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24 11
12468 입술용 화장품에 사용되는 타르색소 기준 강화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1 11
12467 학교생활기록부와 학생평가에 대한 궁금증, 한 번에 해결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2 11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