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 국가별 현황

 

 관세청이 해외직구 통계를 관리하기 시작한 ’05년 이후중국발 해외직구 점유율*

   건수 기준으로 ’20년 최초로 1에 오른데 이어금액 기준으로도 지난해 처음으로 1 등극

 

     * 건수 기준 : (’19) 33.8%  (’20) 48.3%  (’21) 53.6%  (’22) 57.7%
       금액 기준 : (’19) 18.7%  (’20) 24.4%  (’21) 27.9%  (’22) 36.2%

 

 다만품목당 구매단가 미국(51달러)이 중국(29달러)보다 1.8배 높아금액 기준 중국-미국 간

     점유율 격차(2.6%포인트)는 건수 기준(29.3%포인트)과 달리 크지 않음

 

 

 해외직구의 97% 이상 중국미국유럽일본에서 발송된 상품이며,
   품목당 구매단가 유럽(129달러)>일본(58달러)>미국(51달러)>중국(29달러) 

 

 

2. 품목별 현황

  

  ’2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건강식품 가장 많이 수입되었고(16.3%), 가전제품(13%),

     의류(11.9%), 기타 식품[커피주류과자류 등](10%), 신발류(5.9%)화장품·향수(4.9%),

      완구·인형(4.4%), 핸드백·가방(3.4%) 그 뒤를 이었는데상위 5대 품목 전체에서

      60% 가까이 차지

 

  중국미국에서는 각각 가전제품과 건강식품유럽과 일본에서는 기타 식품을 가장 많이 구매

 

  주요 품목 중 건강식품기타식품  화장품·향수 미국으로부터 가장 많이 구매됐으며

                          그 외 품목은 모두 중국에서 가장 많이 구매됨

 

 

3. 기간별 현황

 

 12월 구매 비중 가장 높고, 2 가장 낮음

 

  11월부터 시작되는 연말 중국 광군제·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세계적 대규모 할인행사

     영향으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요인

    

      12(9.8%) > 11(9.1%) > 5(8.7%) >  > 2(7.0%)

 

    - 반면2월 해외직구 이용 가장 낮은 이유중국 춘절(春節음력설) 연휴 동안 중국 현지에서의

       발송 지연으로 중국으로부터의 해외직구 통관물량 감소한 것이 원인

 

      2월 기준중국 점유율 49%(건수 기준)로 연중 최저 [‘22년 전체 점유율 58%]

 

 

  1월부터 11월까지 전체 해외직구 품목은 건강식품(17%)>가전제품(13%)>의류(12%)>

      기타식품(10%) 순이었으나12*에는 할인행사 등으로 할인금액이 높은 가전제품이 1 차지

 

       * 12월 주요 구매품목 : 가전제품(14%) > 건강식품(13%) > 의류(12%) > 기타식품(8%)

 

 

4. 연령별·성별 현황      외국인 등 연령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한 수치

 

 [연령별] 40대의 구매 비중(32%)이 가장 높고 30(29.6%) > 50대 이상(22.6%) > 20(14.6%) >

    10(1.2%)이 그 뒤를 잇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연령대별 주요 구매 품목은 다음과 같음

 

  (10의류(16%) 가전제품(12%) 완구·인형(9%) 기타식품(8%)

  (20건강식품(20%) 의류(13%) 가전제품(10%) 기타식품(9%) 

  (30건강식품(18%) 의류(12%) 가전제품(11%) 기타식품(10%)

  (40) 가전제품(15%) 건강식품(14%) 의류(12%) 기타식품(8%)

  (50대이상건강식품(18%) 가전제품(17%) 의류(11%) 기타식품(7%)

 

 [성별남성의 구매 비중(52.1%)이 여성(47.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주요 구매 품목은

    다음과 같음

 

  (남성가전제품(21%) 건강식품(15%) 의류(10%) 기타식품(6%)

  (여성건강식품(19%) 의류(14%) 기타식품(12%) 화장품·향수(7%)

  

 

 [연령별+성별해외직구가 가장 많은 집단 40대 남성으로 구입 비중이 17.4%에 달했고,

    30대 여성이 15.4%로 그 뒤를 이었으며,

 

  40대 남성의 주요 구매품목은 가전제품(23.8%) 건강식품(10.6%)  ,

     30대 여성의 주요 구매품목은 건강식품(17.8%) 의류(13.8%)  



[ 국제거래 소비자포털 2023-03-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95 땅콩 성분 미표기로 위해 우려 있는 쿠민파우더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1 107
7794 땅콩 성분 미표기로 위해 우려있는 쿠민 가루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8 316
7793 때 이른 더위, 여름철 음식 섭취·관리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7 103
7792 때 이른 더위, 음식물 섭취·관리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08 51
7791 떡, 김치에도 영양성분 표시 확대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01 18
7790 떡볶이, 계란, 순대 3대 국민다소비식품 안전 확보를 위한 특별 점검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114
7789 똑똑한 건강관리,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7월부터 확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7.02 32
7788 똑똑한 여름 휴가, 절주와 함께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10 20
7787 똑똑한 연말정산을 위해 꼭 알아야 하는 세법을 소개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2.11 9
7786 뜨거운 여름 햇볕, 휴가철 야외활동 시「일광화상」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4 81
7785 뜨거운 여름, 8월 문화가 있는 날과 쉬어가는 하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7 37
7784 뜨거운 여름, 일사병 열사병 이렇게 예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9 47
7783 뜨거운 여름『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조심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6 76
» 뜨거운 해외직구 열기, 여전히 진행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3.08 42
7781 라면 등 각종식품류, 숙박시설 전월 대비 상담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9.16 40
Board Pagination Prev 1 ...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