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진종욱이하 '국표원')과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하 '소비자원')은 자발적 리콜이 진행 중인 위니아 노후 김치냉장고에서 화재가 계속 발생함에 따라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신속하게 리콜 조치 받을 것을 소비자에게 당부하는 소비자안전주의보를 24일 재차 발령했다.

 

 대상 제품은 위니아가 2005 9월 이전에 생산한 뚜껑형 구조의 김치냉장고일부 부품 노후화에 따른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제조사가 2020 12 2일부터 자발적 리콜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발령은 국표원과 소비자원이 2021 5 13일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하고 리콜을 적극 독려해 왔음에도 해당 제품으로 인한 화재가 끊이지 않고 있어리콜 미조치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성을 거듭 알리고 소비자의 적극적인 리콜 신청을 촉구하기 위함이다.

 그간 국표원과 소비자원 자발적 리콜 공표와 동시에 해당 제조사  유관기관지자체 등과 민관 협업체계를 구축해 리콜 조치가 적극적으로 진행되도록 독려해왔다.

 

 국표원은 한국전기안전공사 및 한국도시가스협회 등과 민관 합동 노후 김치냉장고 화재 예방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여 리콜 대상 제품이 신속하게 발굴·접수될 수 있도록 지원했으며(21.1~),

 

전국 17개 시·도 지자체와 공동으로 리콜 김치냉장고 찾기 운동 실시 및 한국전력공사와 협업을 통해 전기요금 고지서에 리콜 홍보를 위한 공익광고 게재 등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전개했다.

 

 소비자원은 2017년 이전 생산된 제품에 대한 이력 추적 한계가 리콜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함을 고려해 다년간 김치냉장고 발굴과 리콜 정보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전방위적인 홍보활동을 펼쳤다.

 

특히정수기 사업자와 협업해 방문점검원을 통해 리콜 제품을 찾고지자체 및 한국가스안전공사 등과 함께 전광판지하철지버스(G-버스), 지역방송사, KTX 역사도시가스 요금고지서에 공익광고를 게재하는 등 생활밀착형 홍보를 통해 리콜 정보를 반복적으로 노출했다.

 

 그 결과사업자는 리콜 대상 제품 총 278만대 중 146만대(52.69%, ‘22.12월말)에 대해 리콜 조치를 완료하였으며조치완료 제품과 폐기 등 자연 감소분을 고려해 2022 12월 말 기준 소비자가 사용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잔여 수량  4 7천여 대로 추정*하고 있다.

위니아 자체 추산제조사는 전국 22,064가구 대상 방문 실태조사(’21.9.10.) 결과 확인된 김치냉장고 보유율과 리콜 미조치율을 적용해 리콜 대상을 재산정

 

이처럼 리콜 조치가 실시됨에 따라 해당 제품으로 인한 화재 건수는 매년 감소추세*이나 여전히 지속 발생하고 있어 노후 김치냉장고가 화재 위험성이 내포된 채 사용 중인 것으로 보인다.

 *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20 285  ’21 248  ’22 193(평균 0.53/)


실제로 최근 3년간 발생한 김치냉장고 화재 총 909건을 분석한 결과, 79.9%(726) 위니아 김치냉장고였고이 중 제조 연월이 확인되는 567건의 94.0%(533) 2005 9월 이전 생산된 제품으로 나타났다.

 

 또한리콜 시행('20.12이후 위니아 노후 김치냉장고 화재( 381분석 결과*에 따르면 화재 피해자 대부분이 60대 이상(262, 68%)의 고령자에 집중되어 있어 해당 연령대가 있는 가정은 리콜 대상 제품 사용 여부에 좀 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출처위니아 제품 리콜 및 사고발생 주간 보고서

 

 추가화재로 인한 인명·재산피해를 막기 위해 미조치 잔여분에 대한 제조사의 리콜 이행노력과 함께 소비자의 적극적인 리콜 신청이 요구된다.

 

 국표원과 소비자원은 해당 제품을 보유한 소비자에게 리콜 미조치된 상태에서의 김치냉장고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위니아홈페이지나 고객상담실 등을 통해 신속히 리콜 조치** 받을 것을 거듭 당부했다.

 홈페이지(www.winiaaid.com/service/free/request), 고객상담실(1588-9588), 핫라인(080-400-0001), 전화 연결이 어려운 경우 홈페이지에 접속해 모델명과 개인정보 기재 후 리콜 접수신청 가능

 ** 노후부품 무상교체를 포함한 안전점검제품 폐기를 원하는 경우 무상 방문 수거

 

 위니아는 김치냉장고 리콜이 조속히 완료될 수 있도록 기존 조치와 함께 3월 한 달간 재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보상판매를 실시하기로 했다.

 양 기관은 앞으로도 위니아의 리콜 이행 현황과 화재 발생 동향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마지막 한 대까지 리콜될 수 있도록 독려해 나갈 방침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2023-02-2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9 녹농균 오염 가능성 있는 Livia One 유산균 스프레이[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9 2022.03.07
3158 녹농균 오염 가능성이 있는 영유아용 Maryruth’s 유산균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21.12.27
3157 녹농균 오염 위험 있는 Activilong Acticurl 샴푸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5 2021.10.28
3156 녹말 이쑤시개는 식품이 아닙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1.24
3155 녹을 위험이 있는 무선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3154 녹이 발생할 수 있는 스프링이 혼입된 GEX 반려동물용 물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5.12
3153 농기계 사고 절반은 경운기 운행 중 발생, 이중 74%가 전도 및 추락!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1.03.18
3152 농기계 사고에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19.10.24
3151 농기계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9.04.11
3150 농기계 체인·벨트에 신체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3.04.28
3149 농기계사고 경운기가 절반, 60세 이상 67%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4 2020.04.10
3148 농번기, 농기계 안전수칙 지켜 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8.04.19
3147 농약의 잔류 허용기준 초과된 소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9 2022.07.14
3146 농작업 중 진드기 물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6.20
3145 높아지는 기온, 얼음 깨짐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3.02.09
3144 높은 수준의 라돈이 감지되지 않는 Elifecity 라돈측정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1.14
3143 높은 수준의 아크릴아마이드를 함유한 Gopure 야채칩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3.12.19
3142 높은 수준의 아플라톡신이 검출된 dmBio 유아용 과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12.20
3141 높은 수준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Zwergenwiese 토마토 소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3.12.20
3140 누드본즈 / NUDEBONES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7 2021.09.16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